KBS 대전방송국 1943년 7월 15일 목동사옥에서 첫방송 전파발사

신상구 | 2020.07.25 02:17 | 조회 4838

                                                  KBS 대전방송국 1943년 7월 15일 목동사옥에서 첫방송 전파발사 

                    

▲ 첫 전파를 발사한 KBS 대전방송국 목동사옥 정문.
▲ 첫 전파를 발사한 KBS 대전방송국 목동사옥 정문.

    일본과 미국의 이른바 '태평양전쟁'이 절정이던 1943년 7월15일 대전에서 첫 방송의 전파가 발사 되었다.

호출부호는 일본 방송국에 부여 되는 JBIK, 주파수 880KHZ, 출력은 50W. 출력이 50W로 작았던 것은 미군 폭격기가 전파 감지를 통해 도시의 위치식별을 못하게 한다는 취지였다.

   방송은 일본어로만 했고 이름만 대전방송국이지 경성방송국(서울 중앙방송) 중계가 거의 전부였고 대전에서 하는 것은 충남도청이나 경찰의 공지사항 전달이 대부분 이었다.

   지금의 대전방송국 호출부호 HLKI가 된 것은 해방이 되고서 1947년 9월3일 미군정하에서였다.

   방송국 위치는 중구 목동 15-3. 당시는 이곳이 숲이 우거진 야산이었고 대지 6600평에 건평은 겨우 130평의 단층 기와집이었으며 직원은 모두 14명으로 단촐 하게 출발했다.

   첫 전파를 발사한 것은 1943년이지만 대전방송국으로 간판을 건 것은 1년 전인 1942년 7월15일 인데 이미 1940년부터 일제하 방송국을 관리하던 조선방송협회 대전 출장소가 개설돼 강경, 청주, 충주, 공주에 기술원을 파견하는 등 충남·북 방송업무를 총괄하고 있었다.

   방송내용은 거의가 태평양 전쟁의 전황보도로 일본이 필리핀의 미군과 싸워 이겼다던 지 싱가포르를 점령했다는 등의 뉴스가 주를 이루었으며 일본군이 패했다는 뉴스는 한 줄도 없었다.

그때는 TV나 인터넷이 없던 시절이어서 시민들은 대전방송국에서 방송되는 각종 뉴스가 유일한 정보원이었다.

▲ 대전시 중구청 자리로 옮겼던 시기의 대전방송국.
▲ 대전 갑천변에 우뚝 자리잡은 KBS 대전방송국.

   뉴스 문장은 "~했다" "할 것이다" 등 직설법이었으며 지금처럼 "~했습니다" "~할 것 같습니다"의 구어체(口語體) 로 바뀐 것은 해방 다음해인 1946년 부터였고 이 때부터 뉴스 끝에 보도 기자의 실명을 밝혔다. 그만큼 뉴스의 신뢰성을 높이겠다는 것이다.

   KBS 대전방송국의 가장 감동적인 뉴스는 1945년 8월 15일 낮 12시 정각에 행해진 히로히또 일왕(日王)의 항복선언 이었다.
   "짐은 깊이 세계의 대세와 제국의 현상에 감안하여 비상조치로써 시국을 수습코저 여기 충량(忠良)한 신민에게 고하노라"로 시작된 일왕의 방송은 몹시 침통하고 떨리는 목소리로 방송 음질마저 잡음이 많아 일부 지역에서는 알아듣기도 힘들었다.
   무조건 항복한다는 것이 골자인데 사족이 많아 자칫 방송 핵심을 흐리게 하는 측면도 있었다.
   방송이 나가자 대전시내 곳곳에서 만세를 부르는 등 시민들의 감동적인 모습이 목격되었다. 모르는 사람끼리 얼싸 안기도 하고 그냥 거리에서 박수를 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미처 방송을 듣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벽보를 써 붙이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대전을 비롯 공주, 천안 등 충청남도 시·군은 일본 경찰과 헌병들이 여전히 치안을 장악하고 있었기 때문에 해방의 기쁨을 표현하는 데는 제한적 일 수밖에 없었다.
   해방이 되자마자 닥친 문제는 좌익세력들의 끈질긴 방송 장악 음모. 맨 먼저 나타난 것이 '조선건국준비위원회 학도대'라는 이름의 좌익단체로 이들은 8월 16일 서울 중앙방송국에 나타나 목총을 들고 방송국 경비에 나서겠다고 떼를 썼다. 말이 방송국 경비지 속셈은 방송국 장악이었다.
   그러나 방송국 직원들이 이들에 맞서 방송국을 지켜 냈으며 9월 9일 미국이 서울에 진주함으로써 이 문제는 일단락되었다. 하지만 그 후에도 좌익들은 끈질기게 방송장악을 위한 공세를 멈추지 않았다.

                                                                                         <참고문헌>

   1. 변평섭, "항복선언 흘러나오자… 대전거리 기쁨으로 가득", 충청투데이, 2020.7.23일자. 9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163개(2/7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47460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208413 2018.07.12
1146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제주 4.3사건 76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추념식 사진 대선 131 2024.04.04
1145 [역사공부방] 日 교과서 ‘종군위안부’ 삭제, 독도는 ‘韓 불법 점거’ 주장 사진 대선 157 2024.04.02
1144 [역사공부방] 중국이 백두산을 ‘창바이산(長白山)’으로 바꿔 유네스코(UNESCO) 세 대선 166 2024.04.01
1143 [역사공부방] 소설가 김주영 <객주> 초고, 세상 다 줘도 못 바꿔 대선 191 2024.04.01
1142 [역사공부방]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사진 대선 158 2024.03.28
1141 [역사공부방] 물리학을 전공한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사진 대선 260 2024.03.21
1140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9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사진 대선 225 2024.03.21
1139 [역사공부방] 광복회장 이종찬, 독립운동가 집안 잊은 적 없다 사진 대선 212 2024.03.19
1138 [역사공부방] 북한의 역사학 및 고고학 등 인문학 연구 현황과 변화 심층 조명 대선 241 2024.03.18
1137 [역사공부방]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사진 대선 270 2024.03.18
1136 [역사공부방]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젇 사진 대선 239 2024.03.17
1135 [역사공부방]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대선 226 2024.03.16
1134 [역사공부방]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대선 247 2024.03.14
1133 [역사공부방] 땅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선 229 2024.03.14
1132 [역사공부방]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대선 245 2024.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