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공부방

근로자의 날

대선 | 2025.05.01 14:43 | 조회 1282

 5월 1일 근로자의날은 모든 근로자의 노고를 위로하고 근무 의욕을 다지기 위해 제정한 법정 기념일이다. 외국에서는 노동절이라는 이름으로 기념하고 있습니다. 근로자의 날은 쉬는 날이라고 들었는데 막상 달력을 보면 빨간날이 아니라 의아해 하고 혼란스러운 분들이 계실 겁니다.  달력에는 법정 공휴일만 빨간날로 지정되기 때문에 근로자의 날은 공휴일이 아니라 법정 휴일이기에 빨간색이 아닙니다. 법정 공휴일은 관공서의 휴일로 기업에게 의무적으로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빨간날 정상 근무를 하는 기업들은 사실 법을 어기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법정 공휴일을 ‘약정휴일’로 정해 쉬는 기업들이 많습니다. 회사 내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국경일에 관한 법률이나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정한 바로 근로자의날 공휴일은 상관이 없기 때문에, 시/군/구청, 주민센터, 학교, 공무원 등의 공공기관은 정상적으로 운영됩니다.

  근로자의 날에 근무한 직원이 보상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퇴직한다면 회사는 미 사용한 보상휴가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보상휴가 계산을 위한 통상 임금은 보상휴가를 발생 시킨 연장, 야간, 휴일 근로를 한날의 급여를 기준으로 산정합니다.



[박상빈 노무사의 세상사는 法] 근로자의 날

  • 기자명 박상빈 노무사 
  •  
  •  입력 2024.05.01 09:35
  •  
  •  댓글 0
 
   

매년 5월 1일은 ‘근로자의 날’이다. 근로자의 날은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에 따라 근로기준법 상 유급휴일로 보게 된다.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짧은 법률이 아닐까 싶다. “5월 1일을 근로자의 날로 하고, 이 날을 「근로기준법」에 따른 유급휴일(有給休日)로 한다.” 이 한 문장이 이 법률의 전부다. 정말이다.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은 1963년 국가재건최고회의 시절에 제정되었는데, 당시에는 한국노총 창립기념일인 3월 10일을 근로자의 날로 정했었다. 반면 국제적으로는 ‘노동절(International Worker’s Day 또는 May Day)’을 1889년부터 매년 5월 1일로 정했는데, 이는 1886년 미국 시카고에서 있었던 1일 8시간 근무 쟁취를 위한 대규모 파업을 경찰과 군대의 발포로 유혈진압된 것을 기리기 위해서 정한 것이었다.

근로자의 날이 3월 10일에서 다시 5월 1일로 바뀌게 된 것은 1987년 노동자대투쟁 이후 지속적으로 국제 노동절, 즉 ‘메이데이(노동절)’ 집회가 이어지고, 이러한 대립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상당했기 때문에 1994년 「근로자의 날 제정에 관한 법률」 문구에서 날짜 부분만 개정하여 사회적 합의를 이룬 결과이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근로자의 날은 근로기준법 상 유급휴일로 보장된다.

근로기준법 상 유급휴일이라 함은 그 날 근로제공 의무가 있는 근로자들은 휴식케 하면서도 1일치 임금을 줘야 한다는 뜻이자, 근로자의 날에 근로를 제공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휴일근로 가산수당을 더 챙겨줘야 한다는 뜻이다.

근로자의 날은 5인 미만 사업장에게도 전부 유급휴일로 적용된다. 국가 공휴일의 경우 5인 이상 사업장에만 유급휴일로 적용되지만, 근로자의 날은 근거 법률이 다르고, 적용 사업장 규모에 대해서 별다른 정함이 없기 때문에 모든 사업장에 적용되는 것이다.

근로자의 날은 휴일대체 제도가 적용되지 않는다. 휴일대체 제도란 국가 공휴일에 대해서 적용되는데, 국가 공휴일에 근무를 해야 하는 사업장의 경우 그 날을 근로일로 보고, 다른 평일에 휴무케 하면 휴일근로 가산수당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는 제도다. 근로자의 날은 국가 공휴일을 정한 법률과 다른 법률로 정해져 있어 휴일대체 제도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다만 보상휴가제를 사용하는 사업장의 경우 근로자의 날에 근무한 근로자에게 보상휴가를 지급하면 추가적인 휴일수당 지급 의무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올해 근로자의 날인 수요일이 원래 주휴일인 근로자들의 경우, 별도의 유급휴일 추가 보상은 할 필요 없다. 두 유급휴일이 한 날에 겹칠 경우 하나의 유급휴일만 보장하면 된다는 것이 고용노동부의 입장이기 때문이다.(근로기준과-2571, 2005.5.11.)

월급제 근로자의 경우 근로자의 날에 휴무했다면 기존 월급만 지급하면 되고, 근무했다면 휴일수당 또는 보상휴가를 지급하면 된다. 시급제나 일급제 근로자의 경우 근로자의 날에 근무했다면 유급휴일 보장분 1일치 임금에 더하여 실제 근로한 시간에 대한 휴일근로 가산율을 더한 임금을 추가로 지급하여야 한다.

유의할 점은 일용직 또는 시급제 근로자라 하여도 근로계약이 유지되는 것으로 여겨질 경우 근로자의 날에 근무하지 않더라도 유급 1일치 임금을 추가로 지급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근로개선정책과-6257, 2014.11.12.)

이 점들 유의하시어 근로자의 날 유급휴일 처리 떄문에 분쟁이 발생하는 일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19개(2/10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14159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80655 2018.07.12
1602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0부.단군의 후손 구영탄 165 2025.07.06
1601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9부.해인사 구영탄 173 2025.07.06
1600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8부.죽은 자를 살리신 예수 구영탄 176 2025.07.05
1599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7부. 예수 부활 구영탄 173 2025.07.05
1598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6부. 오병이어 고쳣음 죄송 구영탄 171 2025.07.05
1597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5부. 바벨탑 구영탄 181 2025.07.05
1596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4부.허준 구영탄 169 2025.07.05
1595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3부.태음력 구영탄 174 2025.07.05
1594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2부.황산벌 구영탄 167 2025.07.04
1593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7부.윤동주 일본이름 유관순 영어이름 사진 구영탄 177 2025.07.04
1592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6부. 연개소분, 계백 구영탄 156 2025.07.04
1591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5부. 환단고기 구영탄 160 2025.07.04
1590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4부. 조선 구영탄 169 2025.07.04
1589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3부. 명나라 구영탄 162 2025.07.04
1588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2부.원나라 구영탄 169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