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복기대 교수 < 한국에서 본 이키섬의 역사> 발간

대선 | 2025.05.05 20:24 | 조회 1369

목차

  • Ⅰ. 이키는 어떤 섬인가

    1. 이키섬의 지리적 환경

    2. 이키섬의 역사 및 고고학조사 현황
    Ⅱ. 한국 관련 기록
    1. 교류에 관한 기록
    1) 선사시대
    2) 신라시대 이전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
    2. 왜구의 본거지
    1) 고려말 조선초
    3. 조선에 의지하는 이키섬
    1) 조선시대
    4. 조일전쟁의 전진기지
    1) 조선시대
    Ⅲ. 이키섬의 문화재
    1. 주요유적
    1) 고분
    2) 사지
    3) 전쟁유적
    4) 성터
    5) 기타
    2. 중요유물

    Ⅳ. 이키섬과 쓰시마섬
    1. 쓰시마섬
    1) '대마도'는 조선땅
    2) 대표유적

    Ⅴ. 맺음말

    ■ 부록 소로쿠고분(双六古墳) 조사보고서

출판사 서평

한국과 일본 양국의 관계는 매우 오래되었다. 지리적인 관계로 볼 때 두 지역 간의 교류가 없는 것이 이상하다. 이 과정에서 이키섬을 드나드는 것은 거의 필수적이었다고 본다. 규슈지역이나 혼슈지역으로 가기 위한 경유지로 활용할 수도 있고, 이키섬과 교류하는 것 자체에 목적을 두었을 수도 있다. 그 흔적은 이키섬에서 발견되는 여러 유물들 중에 한국계 유물들에서 찾을 수 있다. 거꾸로 이키섬을 출발하든지 아니면 경유하든지 간에 한국과 관련된 전설들이 남아 있기도 하다. 그러나 이런 교류관계가 문헌으로 남아있는 것은 후대의 것뿐이다. 원래 기록이 있지만 아직 찾지 못했거나 아예 사라졌을 가능성이 있다. 또는 이키섬이 주된 교역지역이 아니고 경유지였기 때문에 문헌 기록에 자세히 남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유야 어떻든 지금으로서는 찾기 어려우니 현재 남아있는 문헌기록과 유적유물을 위주로 정리하고자 한다.

이키섬은 대외의 선진기술을 받아들이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고, 규슈를 중심으로 하는‘ 왜(倭)’로 상징되는 일본의 고유문화가 성립되는 과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대부분의 일본학자들 역시 이 과정에서 한국계의 영향을 받았다는 것은 인정한다. 그런데 이것을 시기적으로 구분해서 말하지는 않는다. 필자는 일본 고대문화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살펴보다가 기원 2, 3세기 이전과 이후는 구분이 되어야 한다는 것과 규슈와 혼수의 차이는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기원 2, 3세기 이전은 주로 규슈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그 후는 이른바 율령시기와 고분시대라고 불리는 시대인데 이때부터 혼슈를 중심으로 발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본정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19개(2/10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14150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80641 2018.07.12
1602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0부.단군의 후손 구영탄 165 2025.07.06
1601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9부.해인사 구영탄 173 2025.07.06
1600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8부.죽은 자를 살리신 예수 구영탄 176 2025.07.05
1599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7부. 예수 부활 구영탄 173 2025.07.05
1598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6부. 오병이어 고쳣음 죄송 구영탄 171 2025.07.05
1597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5부. 바벨탑 구영탄 181 2025.07.05
1596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4부.허준 구영탄 169 2025.07.05
1595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3부.태음력 구영탄 173 2025.07.05
1594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2부.황산벌 구영탄 167 2025.07.04
1593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7부.윤동주 일본이름 유관순 영어이름 사진 구영탄 177 2025.07.04
1592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6부. 연개소분, 계백 구영탄 156 2025.07.04
1591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5부. 환단고기 구영탄 160 2025.07.04
1590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4부. 조선 구영탄 169 2025.07.04
1589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3부. 명나라 구영탄 162 2025.07.04
1588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2부.원나라 구영탄 169 2025.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