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학자 ‘주시경’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 2020.12.31 18:12 | 조회 6988


                                                                     한글학자 ‘주시경’의 생애와 업적

   

    주시경 선생은 확고한 언어 의식과 독창적인 이론을 토대로 국어 문법을 기술한 학자로서 독보적인 인물이었다. 선생은 지금도 국어학사에서 상징적인 존재로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그가 제시한 문법 체계는 현대 국어 문법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는 데 여전히 유효하다. 그런 점에서 주시경 선생은 그 자체가 국어 문법 연구의 시작점이며 그의 문법 이론에 대한 계승, 발전은 여전히 진행형이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말, 조선의 국운은 그야말로 풍전등화의 상황으로 치달아 국권이 흔들리고 민족의 자존심이 훼손되는 어지러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때에 주시경 선생은 1876년 12월 2일 황해도 봉산에서 1녀 4남 중 셋째로 태어났다. 선생의 본관은 상주(尙州)로서 백운동서원을 세운 유학자 주세붕의 후손이며, 어릴 때 이름은 상호(相鎬)였다.
   주시경 선생은 갑오경장이 일어나기 한 해 전인 1893년에 배재학당 교사였던 박세양, 정인덕 등에게 신학문을 배우면서 또 다른 세계와 새로운 학문에 눈을 뜨게 됐다. 이어 1894년인 19세에 큰 뜻을 품고 배재학당에 입학해 학문에 매진하고 1900년 6월 25세의 나이에 배재학당을 졸업했다. 주시경은 21세인 1897년에 당시 나이 16세인 김명훈과 결혼해 가정을 이뤘으며, 슬하에 2녀 3남(솔메, 세매, 힌메, 봄메, 임메)을 두었고, 평생을 국어를 연구하고 실천했을 뿐만 아니라 조국의 독립과 민족의 계몽을 위해 헌신했다. 그러나 조국의 독립을 위한 더 큰 계획을 눈앞에 두고 1914년 불과 39세에 안타깝게도 생을 마감했다.
    주시경 선생의 학문은 크게 보아 문자론과 맞춤법, 음성학과 문법론, 사전 편찬의 노력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세 분야에서 선생의 업적은 우리말의 틀을 잡아 올바른 어문 생활을 교육해야 하겠다는 일념으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은 '대한국어문법'(1906), '國語文典音學'(1908), '國語文法'(1910), '말의소리'(1914) 등의 저서에 잘 나타나 있는데, 국어 문법의 규범적 기틀을 세우고 실용의 방편을 마련하는 데 일관된 입장을 견지했다고 할 수 있다.
    주시경 선생은 배재학당을 졸업한 1900년부터 한글을 가르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했는데, 당시 배재학당 인근에는 휘문, 명신, 보성, 중앙, 진명, 경신, 숙명, 이화 등의 신학문 학교들이 모여 있었으며, 이곳을 동분서주하면서 주야로 국어를 가르치면서 백성의 계몽을 일깨웠다. 이때 얻은 별명이 '주보퉁이'인데,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있으면 책을 보자기에 싸서 매고는 어디든 달려가 가르쳤던 주시경의 열정을 그대로 보여주는 영광스러운 별칭이다.
    1910년을 전후로 평안도·황해도 등 북서지역에서는 신민회(新民會)와 기독교계가 중심이 돼 신문화 운동을 통한 독립운동이 전개되고 있었는데, 급기야 1911년 일제는 무단통치의 일환으로 민족 독립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사건을 확대하고 조작해 105명의 애국지사를 투옥한 이른바 '105인 사건'(일명 신민회 사건)을 일으켰다.
   '105인 사건'이 일어나자 일제는 주시경 선생이 교육 활동의 본거지로 삼았던 상동교회를 조선 민족의 독립을 염원하는 거점 조직으로 간주하게 됐으며, 일제의 감시와 탄압이 심해지자 당시 민족주의자들은 만주나 해외로 떠나기 시작했다. 주시경 선생도 이런 상황에서 자유롭지 못해 결국 고심 끝에 만주로 떠날 준비를 했다. 
   모처럼 온 가족이 모여 저녁 식사를 하는 단란한 시간을 보내던 어느 날 주시경 선생은 갑자기 끊어질 듯한 복통을 호소하고 며칠을 앓아눕다가 끝내 눈을 감고 말았으니 이때가 1914년 선생의 나이 39살 때였다. 그 어느 때보다도 힘들었던 한 해가 저물어가는 12월, 혹독했던 시대 12월에 태어나 짧은 삶을 살았지만, 민족의 언어와 민족의 혼을 일깨우고 평생을 우리말 연구와 보급에 힘쓴 주시경 선생을 떠올려 본다.
                                                                                        <참고문헌>
    1. 백낙천, "한글학자 주시경 선생을 그리며", 중도일보, 2020.12.31일자. 18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160개(1/7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46789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207912 2018.07.12
1158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4.19혁명 64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new 대선 26 2024.04.19
1157 [역사공부방] 2024 기지시줄다리기 축제 성료 사진 대선 57 2024.04.17
1156 [역사공부방] 한암당 존페 위기 극복 요망 대선 51 2024.04.16
1155 [역사공부방] 한배달 신임 이시장 이종진 박사 초빙 뉴스 대선 45 2024.04.16
1154 [역사공부방] 머지않아 도래할 인간 수준 인공지능 사진 대선 66 2024.04.15
1153 [역사공부방] 茶山 글씨와 콩트의 저작이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 연구의 나침반 사진 대선 78 2024.04.14
1152 [역사공부방] 국조 단군 소고 대선 93 2024.04.12
1151 [역사공부방] 한 사람 한 사람이 우주의 주인이다 사진 대선 96 2024.04.12
1150 [역사공부방] 201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피터 힉스 별세 사진 대선 89 2024.04.11
1149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수립 제105주년을 경축하며 대선 92 2024.04.11
1148 [역사공부방] 청주대 출신 CJ그룹 대표이사 박근희의 성공 비결 대선 118 2024.04.08
1147 [역사공부방] 한국 임학의 대부이자 산림녹화의 선구자인 향산현신규 박사의 생애와 업적 대선 122 2024.04.06
1146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제주 4.3사건 76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추념식 사진 대선 116 2024.04.04
1145 [역사공부방] 日 교과서 ‘종군위안부’ 삭제, 독도는 ‘韓 불법 점거’ 주장 사진 대선 123 2024.04.02
1144 [역사공부방] 중국이 백두산을 ‘창바이산(長白山)’으로 바꿔 유네스코(UNESCO) 세 대선 125 2024.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