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봉창과 윤봉길 의사 의거 90주년을 기념하며

신상구 | 2022.01.22 03:15 | 조회 4032

                                                      이봉창과 윤봉길 의사 의거 90주년을 기념하며

   올해는 이봉창(1901~1932) 의사와 윤봉길(1908~1932) 의사가 일제에 항거해 의거를 일으킨 지 9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의거 당시 두 사람은 각각 31세와 24세 청년이었어요. 
   이들은 독립운동에 본격 투신하기 전에 각각 '도시의 모던보이'와 '농촌의 계몽운동가'로 볼 수 있는 삶을 살았어요.
   서로 다른 삶을 살았지만 결국은 조선 독립을 위한 같은 길을 걸었죠. 여기서 '의사(義士)'란 '의로운 뜻을 지닌 선비'란 의미예요. 
   그들은 어떤 의로운 뜻을 갖고 의로운 행동을 했을까요?


                                         이봉창 "차별받는 동포를 위해 일하겠다"

   "일본인의 습관을 빨리 배워 그들과 같은 대우를 받아야겠다!" 일본인으로부터 기술을 습득해 성공해야겠다는 마음을 가진 청년이 있었어요. 이봉창이었습니다.

   이런 마음에 그는 열심히 직장에 다녔어요. 
   열두 살 때부터 일본인 상점의 점원으로 일했고요. 17세이던 1918년엔 용산역에 취직해 4년 동안 역무원과 운전 수습생 등으로 근무했습니다. 

   철도는 당시의 최첨단 교통수단이었고 용산은 한반도 철도의 중심지였죠. 그러나 조선인 직원은 일본인에 비해 승진과 봉급에서 철저한 차별을 겪어야 했습니다.


   이봉창은 '일본에서 일하는 게 오히려 차별이 덜하다'는 말을 듣고 1925년 일본으로 갔습니다. 철공소 같은 여러 직장에서 성실하게 일했죠. 
   그는 술 마시고 카페에 가거나 영화를 보고 골프를 치기도 했어요. 
   이런 모습을 보고 그를 '근대의 최신 소비문화를 누렸던 모던보이'라고 보는 사람도 있어요.

    그런데 1928년 11월 일왕 히로히토의 즉위식이 그의 인생 행로를 완전히 바꿔 놓게 됩니다. 
일을 하루 쉬고 즉위식을 보러 갔으나, 경찰이 그를 수색하며 한글 편지를 발견한 뒤 일주일 동안 유치장에 구금한 거예요. 이봉창은 결심했습니다. 

    "조선인 주제에 일본 임금 같은 것을 볼 필요는 없다는 것 아니냐? 이제 우리 2000만 동포의 자주권을 위해 일해야겠다." 
   일제의 조선인 차별을 실감하면서 민족정신에 눈을 뜨게 된 거죠.

   1931년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한인애국단에 들어간 이봉창은 일왕 암살 계획을 밝혔어요. 그리고 김구 선생에게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인생의 목적이 쾌락이라면 지난 31년 동안 육신의 쾌락은 대강 맛보았습니다. 이제는 영원한 쾌락을 꿈꾸며 우리 독립 사업에 헌신하겠습니다."

   1932년 1월 8일, 그는 도쿄 요요기 연병장에서 일왕 히로히토 마차를 향해 수류탄을 던져 명중시켰지만 목적을 달성하지는 못했어요. 
   일왕은 다른 마차에 타고 있었던 거지요. 

   사형선고를 받고 일본 형무소에 갇힌 그는 그해 10월 10일 순국(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침)했습니다.

                                   윤봉길 "나는 일본인의 교육을 받지 않겠다"

    충남 예산 출신의 윤봉길은 한때 일본의 사회 체제 속에서 살려고 했던 이봉창과는 다른 환경에서 자랐어요. 

    "일본인의 교육을 받지 않겠다"고 말한 뒤 보통학교(지금의 초등학교)를 자퇴했답니다. 그는 충남 지역에서 일어났던 3·1 운동을 보고 일본의 잔학함을 깨닫게 됐어요. 

    그리고 일본어 시간에 "나는 일본인입니다"란 문장을 따라 하던 짝꿍의 발을 밟으며 "왜놈 된 기분이 어떠냐?"고 쏘아붙였다고 합니다. 

    이후 한학을 공부하던 청년 선비 윤봉길은 1926년부터 농민 계몽운동에 뛰어들었습니다. '월진회'를 만들어 문맹 퇴치와 한글 교육, 민족의식 고취에 힘썼는데, 농민을 깨우쳐야 조선이 산다는 생각에서였지요. 이런 결심을 한 계기가 있었다고 해요. 

    글을 모르는 한 농부가 근처 무덤 묘비를 모두 뽑아 와 윤봉길에게 "아버지 무덤을 찾아 달라"고 했다는 겁니다.

    그의 나이 22세이던 1930년 윤봉길은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이란 글을 남기고 훌쩍 만주로 떠났습니다. 
     '장부(건강하고 씩씩한 사내)'가 집을 나가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이었죠.

    1931년 8월 윤봉길은 임시정부가 있는 상하이로 가서 이듬해 4월 한인애국단에 입단했습니다. 그리고는 "나를 이봉창 의사와 같은 일로 써 달라"고 했죠.

     1932년 4월 29일, 일본은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일왕의 생일 겸 전승 기념 행사를 열었습니다. 윤봉길은 이 행사장에서 귀빈석을 향해 폭탄을 던졌습니다.
 
    거사는 성공이었습니다. 시라카와 요시노리 육군 대장 등이 사망했고, 많은 일본인 관리가 증상을 입었습니다. 
     윤봉길 의사는 사형선고를 받고 그해 12월 19일 순국했습니다.


    거사를 앞두고 윤봉길은 새로 산 자신의 회중시계(품에 지니는 시계)를 김구 선생에게 주면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건 6원, 선생님 시계는 2원짜리니 바꾸시죠. 제 시계는 앞으로 몇 시간밖에 쓸 일이 없으니까요." 김구는 윤봉길의 시계를 평생 간직했다고 합니다.

                                       우리 독립은 독립운동이 있었기 때문

    이봉창 의사의 의거는 실패한 듯 보였지만 그 영향은 컸습니다.  
    일제 침략자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 것은 물론, 국제적 관심을 일으켰던 거죠.
 
   중국의 민국일보는 이봉창 의거를 보도하면서 일왕이 '불행히도 맞지 않았다'고 써서 일본이 상하이 사변을 일으킨 원인 중 하나가 되기도 했습니다. 
상하이 사변은 1932년과 1937년 두 차례에 걸쳐 상하이에서 일어난 중국과 일본의 무력 충돌 사건이에요.

   윤봉길 의거를 보도한 중국 언론은 "수십만 중국 군대가 하지 못한 일을 한국인 한 명이 해냈다"고 했고, 장제스 중국 총통은 윤 의사 가족에게 '장렬천추(壯烈千秋·씩씩한 의기가 천년을 빛나리라)'란 휘호를 써 줬습니다. 

   두 의거는 우리나라의 독립운동을 세계인에게 각인시켰고 중국이 임시정부를 지원하는 계기가 됐습니다. 

   광복 이후 김구는 윤봉길의 모친 김원상 여사를 만나 "아드님 덕분에 이렇게 광복이 빨리 찾아왔습니다"라고 했습니다. 

   이봉창·윤봉길 의거처럼 끈질긴 독립 투쟁이 없었더라면, 그리고 한국인이 일제의 식민 통치에 순종하기만 했더라면 어떻게 됐을까요? 

   1943년 연합국이 카이로 선언에서 '일본이 강제 점거한 모든 영토를 탈환한다'고 했을 때 한국은 여기서 제외돼 전쟁이 끝난 뒤에도 일본 영토로 남아있었을 수도 있었겠지요. 우리는 독립운동을 했기 때문에 연합국 지원으로 독립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1945년 9월 2일 미국 전함 미주리호에서 일본의 항복문서 조인식이 열렸어요. 

   이때 일본 대표인 외무대신 시게미쓰 마모루는 지팡이를 짚은 채 다리를 절고 있었습니다. 왜 그랬던 걸까요?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사의 훙커우 공원 의거로 한쪽 다리를 잃었던 거지요. 우리의 독립운동이 결코 헛된 것이 아니었다는 걸 알려주는 상징적인 모습이었습니다.


                                                  [도시락 폭탄과 물통 폭탄]

    윤봉길 의사가 훙커우 공원 의거 때 던진 폭탄은 무엇이었을까요? 
    '도시락 폭탄'으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과 다릅니다. 

    윤 의사는 현장에 도시락 모양의 폭탄과 물통 모양의 폭탄 두 개를 가져갔어요. 
    하지만 실제로 던진 것은 물통 폭탄 하나였습니다. 
    도시락 폭탄을 자결용으로 준비해 간 것이라고 보기도 하지만, 윤 의사는 "2개를 모두 던질 여유가 없었고 물통 폭탄에 끈이 있어 던지기 쉽다고 생각해 도시락 폭탄을 내려놓고 물통 폭탄을 던졌다"고 했습니다. 
원래는 두 폭탄 모두 던질 계획이었다는 것이죠.

                                                      <참고문헌>

    1. 유석재/조유미, "독립 위해 日帝에 폭탄 투척… 31세,24세 꽃다운 삶 희생했죠", 조선일보, 2022..1.20일자. A30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144개(1/77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45717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206632 2018.07.12
1142 [역사공부방]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사진 new 대선 31 2024.03.28
1141 [역사공부방] 물리학을 전공한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사진 대선 116 2024.03.21
1140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9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사진 대선 109 2024.03.21
1139 [역사공부방] 광복회장 이종찬, 독립운동가 집안 잊은 적 없다 사진 대선 112 2024.03.19
1138 [역사공부방] 북한의 역사학 및 고고학 등 인문학 연구 현황과 변화 심층 조명 대선 128 2024.03.18
1137 [역사공부방]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사진 대선 130 2024.03.18
1136 [역사공부방]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젇 사진 대선 104 2024.03.17
1135 [역사공부방]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대선 98 2024.03.16
1134 [역사공부방]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대선 90 2024.03.14
1133 [역사공부방] 땅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선 96 2024.03.14
1132 [역사공부방]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대선 116 2024.03.14
1131 [역사공부방]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대선 122 2024.03.13
1130 [역사공부방]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대선 129 2024.03.13
1129 [역사공부방] 국제펜한국본부 창립 70주년 경축 대선 151 2024.03.13
1128 [역사공부방]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대선 86 202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