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기타
128개(11/13페이지)
28.
소도, 경당이란 무엇인가? (3)
2018.05.03,
조회 9473
[한국의 역사문화]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소도문화>
1. 중학교 교과서
◉ 삼한 사회의 중심, 소도 제사문화
삼한에는 종교를 주관하는 제사장인 천군이 있었다. 천군은 소도를 다스렸는데, 소도는 죄인이 들어가도 잡지 못하는 독립된 지역이었다.
특히 벼농사를 많이...
27.
소도, 경당이란 무엇인가? (2)
2018.05.01,
조회 5833
[한국의 역사문화]
소도, 경당이란 무엇인가? (2)
구당서의 기록
민간에서는 서적을 사랑하여 가난해서 천한 일에 종사하는 집에 이르기까지 각기 네거리에 큰 집을 지어 이를 경당扃堂이라 부른다.
자제들이 혼인하기 전에 여기에서 주야로 글을 읽고 활쏘기를 익힌다....
26.
소도, 경당이란 무엇인가?
2018.04.25,
조회 6647
[한국의 역사문화]
소도, 경당의 정의
① 이 소도라는 것은 환국, 배달, 조선의 문화 창조의 중심지입니다. 인류의 모든 문화는 어디서 나왔는가? 인류 역사 문화는 솟터, 소도에서 나왔습니다.
소도蘇塗라는 말에서, 소蘇라는 것은 끊임없이 소생한다, 솟구친다는 뜻입니다.
...
25.
[단군세기 문화코드] 17. 9년 홍수와 도산塗山
2018.04.10,
조회 6725
[한국의 역사문화]
17. 9년 홍수와 도산塗山
도산塗山은 현재 회계산會稽山으로 하夏나라를 연 우禹임금의 치수治水전설이 깃든 곳이다.
우가 홍수를 다스릴 수 방법을 얻기 위해 간절히 기도한 뒤, 현이玄夷의 창수사자蒼水使者로 부터 금간옥첩金簡玉牒을 전수받고 깊이 연구하여 마침내 홍...
24.
[단군세기문화코드] 16. 오방색
2018.03.29,
조회 5216
[한국의 역사문화]
16. 오방색
오방색五方色은 오방에 해당하는 다섯 가지 색이다. 남[赤]·북[玄]·동[靑]·서[白]·중앙[黃]을 가리키며, 색의 조화와 천지만물의 조화를 나타낸다. 중앙과 사방을 기본으로 삼아 오방이 설정되며, 색상 또한 오방이 주된 골격을 이룬다. 양의 색으로써 ...
23.
[단군세기문화코드] 15. 단오
2018.03.14,
조회 4383
[한국의 역사문화]
신윤복의 단오 풍정
15. 단오
음력 5월 5일은 수릿날·천중절天中節이라고도 한다. 중국에서는 중오重午·중오重五·단양端陽·오월절이라고도 한다.
단오는 초오初五의 뜻으로 5월 첫째 오일午日을 말한다. 음력으로 5월은 오월午月에 해당하며, 기수奇數(홀수) 달과 날이 ...
22.
[단군세기 문화코드] 14. 가림토와 한글
2017.10.30,
조회 8125
[한국의 역사문화]
14. 가림토와 한글
고대문명의 또 하나의 중요한 조건이 문자의 사용이다. 한반도와 만주지역을 포함한 우리나라의 고대사회에서 일찍이 문자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BCE 2000~1500년경의 도화문자圖畵文字). 동아시아지역에서 문자가 창제되기 전에는 주로 결승문자結繩文字...
21.
[단군세기 문화코드] 13. 주거와 음악
2017.09.14,
조회 7058
[한국의 역사문화]
13. 주거와 음악
고조선의 주거 시설은 지배층과 백성들이 달랐을 것이다. 마을은 대부분 하천이나 해안, 또는 구릉지역에 형성되었는데 산을 등지고 물을 마주하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조건을 갖추었다.
주거지는 50~60cm 깊이로 판 반지하로 장방형이 주류를 이룬 지붕은...
20.
[단군세기 문화코드] 12. 고조선의 음식문화
2017.08.29,
조회 9206
[한국의 역사문화]
12. 고조선의 음식문화
고조선 사람들은 오곡을 주식으로 사용하고, 돼지·소·말·양·닭 등 집짐승을 길러 고기를 얻고, 사냥으로 산짐승을 잡아 고기와 가죽을 이용했다.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지역에서는 어렵이나 유목으로 생활하였다.
신석기시대부터 밭작물이 재배되었는데 곡...
19.
[단군세기 문화코드] 11. 고조선의 복식문화
2017.08.08,
조회 12713
[한국의 역사문화]
11. 고조선의 복식문화
고조선 사람들은 어떤 옷을 입고 살았을까.
『후한서』 「동이열전」 서序에는 “동이는 거의 모두 토착민으로서, 술 마시고 노래하며 춤추기를 좋아하고, 변弁(고깔모양의 모자)을 쓰거나 금錦(비단)으로 만든 옷을 입었다.”라고 하였다.
또 『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