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품으로

대선 | 2023.03.30 17:13 | 조회 2744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품으로

 
 
 

  지난 2월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가 30일 서울 종로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됐다.

  ‘대동여지도’는 조선의 지리학자이자 지도 전문 출판자인 고산자 김정호(金正浩, 1804∼1866 추정)가 1861년 처음 제작·간행하고, 1864년에 재간한 22첩의 병풍식 전국 지도첩이다. 크기는 각 30×20㎝로 모두 펼쳐 맞춰놓으면 6.7×4m 규모다.

30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가 공개되고 있다. 뉴스1
30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가 공개되고 있다. 뉴스1© 제공: 세계일보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1864년 제작된 목판본에 가필, 색칠하고 ‘동여도’에 기술되어 있는 지리정보를 필사(筆寫)해 추가한 것으로, ‘동여도’와 ‘대동여지도’가 하나의 지도에 담긴 것이라 보면 된다.

  ‘동여도’는 김정호가 ‘대동여지도’의 저본(底本: 개정이나 번역 따위를 하기 전 본디 서류나 책)으로 삼았던 조선전도로, 조선시대 교통로, 군사시설 등 지리정보와 1만8000여개에 달하는 지명이 실려 있는 채색 필사본이다. 이에 반해 ‘대동여지도’는 목판으로 새겨야 하는 한계 때문에 다수 지명과 주기(註記)가 생략되어 있다.

  ‘동여도’의 주기 내용을 필사해 목판본인 ‘대동여지도’의 한계를 보완한 최초의 사례다. ‘대동여지도’가 보급·사용되면서 변용된 형태로 추정된다. 국내에 소장된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구성과 내용을 담고 있어, 이번 환수는 더 큰 의미를 가진다.

 
30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가 공개되고 있다. 뉴스1
30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통해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가 공개되고 있다. 뉴스1© 제공: 세계일보

  이번 필사본은 총 23첩(목록 1첩, 지도 22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동여도’의 형식을 따른 것이다. 일반적인 ‘대동여지도’는 목록이 따로 없으며 22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나라를 남북으로 120리 간격마다 구분하여 총 22층을 만들고, 각 층을 병풍처럼 접을 수 있는 첩으로 만든 것은 ‘동여도’와 ‘대동여지도’가 같다.

  주기 내용이 대부분 필사되어 상세한 지리정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주목할 만하다. 백두산 일대가 묘사되어 있는 제2첩의 경우 ‘대동여지도’ 판본에는 없는 ‘백두산정계비’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필사되어 있다. 또한 울릉도 일대가 묘사되어 있는 제14첩에는 ‘대동여지도’엔 기재되지 않은, 울릉도 가는 배 출발지 등의 내용이 필사로 적혀 있다.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품으로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품으로© 제공: 세계일보
조선의 꿈을 그리다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가 30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됐다. 1864년에 재간한 22첩의 병풍식 전국 지도첩으로, 각 30×20㎝ 크기를 모두 펼쳐 맞춰놓으면 6.7×4m 규모다. 제2첩에는 ‘백두산정계비’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필사되어 있고, 제14첩은 울릉도 가는 배 출발지 등을 묘사하고 있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동여도’에 기술돼 있는 지리정보를 필사(筆寫)해 추가한 것이다. 남정탁 기자·뉴스1
조선의 꿈을 그리다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가 30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공개됐다. 1864년에 재간한 22첩의 병풍식 전국 지도첩으로, 각 30×20㎝ 크기를 모두 펼쳐 맞춰놓으면 6.7×4m 규모다. 제2첩에는 ‘백두산정계비’와 군사시설 간의 거리가 필사되어 있고, 제14첩은 울릉도 가는 배 출발지 등을 묘사하고 있다. 이번에 환수된 ‘대동여지도’는 ‘동여도’에 기술돼 있는 지리정보를 필사(筆寫)해 추가한 것이다. 남정탁 기자·뉴스1© 제공: 세계일보

  세부적 구성에서도 그동안 국내에서 확인된 ‘대동여지도’와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대동여지도’의 지도유설은 1첩에 간인(刊印)되어 있으나 이번 유물은 지도의 빈 공간에 필사되어 있으며 그 내용도 ‘동여도’의 것과 같다. 판본에서는 2개 면에 걸쳐 인쇄되어 있던 강원도 삼척부와 울릉도 일대가 1개 면으로 축소되어 배치되어 있는 점도 ‘동여도’의 배치 형식을 따른 것이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에 따르면 이번 ‘대동여지도’는 유물 소장자가 매도 의사를 밝히면서 존재가 확인됐다. 지난해 7월 정보를 입수한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사장 김정희)은 12월 1, 2차 평가위원회를 열어 면밀한 조사를 진행한 데 이어, 올해 1월 긴급매입심의위원회를 구성해 관계자 간 긴밀한 협업을 바탕으로, 이달 반입에 성공했다.

<참고문헌>

  1.  김신성별 이야기, "동여도 품은 대동여지도 고국 품으로",  세계일보, 2023.3.31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165개(7/7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47881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208711 2018.07.12
1073 [역사공부방] 경술국치일 113주년을 맞이하여 대선 2001 2023.08.28
1072 [역사공부방] 광복회장, 국방부에 “당신들은 독립영웅이 귀찮나” 공개서한 대선 2395 2023.08.28
1071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옥봉 이숙원의 생애와 업적을 추모하고 관광자원화해 사진 대선 2367 2023.08.25
1070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8·15 광복 7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행사 사진 대선 1754 2023.08.15
1069 [역사공부방]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 이화여대서 열려 사진 대선 2260 2023.08.15
1068 [역사공부방] 충북 옥천 출신의 김규흥은 상해임시정부를 파괴하는 밀정이었다 대선 2034 2023.08.08
1067 [역사공부방] 시기 김부용과 김이양 대감 묘 찾기 사진 대선 1688 2023.08.07
1066 [역사공부방]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화 하자 사진 대선 2585 2023.08.05
1065 [역사공부방] 천안 봉서초 단군상 무단철거 규탄 사진 대선 1871 2023.08.05
1064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제헌절 75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대선 1562 2023.07.17
1063 [역사공부방] 단군(檀君)은 신화 아닌 대한민국 국조 (國祖) ​ 사진 대선 2022 2023.07.13
1062 [역사공부방]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준 일본의 지식인 오에 겐자부로 사진 대선 1817 2023.07.03
1061 [역사공부방] 국조 단군을 아시나요 사진 대선 1864 2023.06.29
1060 [역사공부방] &lt;특별기고&gt; 대한민국 국조인 단군 왕검 탄강 제 사진 대선 1533 2023.06.29
1059 [역사공부방] 역사와 사회정의 실현에 헌신하신 강만길 선생 사진 대선 2042 202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