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천부경의 핵심은 참나(眞我)의 회복
천부경의 핵심은 참나(眞我)의 회복
천부경의 핵심은 '생명중심의 집'에 들어가는 일이다. 그 생명중심의 집이 숫자로는 6이요,① 형상으로는 육각형이 되기도 하고, 여섯 개의 삼각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만 물의 결정과 벌집은 정육각형이나, 천부경을 통해 만들어지는 '생명중심의 집'은 사각형 안에 여섯 개의 삼각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정육각형과는 다르게 여섯 개의 삼각형이 만들어질 때는 일곱 개의 꼭짓점②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사각형 안에서 여섯 개의 삼각형이 만들어질 때에 일곱 개의 꼭짓점이 만들어지는 것은 정육각형의 중심에 생명의 근원체가 들어와 있는 것과 같다. 이것은 '생명중심의 집'을 떠난 생명의 근원체가 다시금 돌아온 것과 같은 의미이다. 이런 점에서 보아 천부경의 핵심은 여섯 개의 삼각형이 있는 생명의 근원처로 나의 참나(眞我)를 회복하기 위하여 다시금 되돌아오는데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생명의 근원처로 다시금 되돌아 오게 되면 나의 참나(眞我)에 모습인 하나(1)는 6을 얻은 상태가 되기에 일곱성령의 은혜를 받는 것과 같이 인존칠성(人尊七星, 1+6)의 인간으로 거듭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여섯 개의 삼각형이 있는 중앙으로 나의 의지에 의해 만들어진 후천일기(後天一氣)가 들어오게 되면서 내 자신을 참나로 다시 태어나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태백일사} [삼신오제본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한다.
"7월 7일은 곧 나반께서 천하天河를 건너신 날이다.
이날 천신께서 용왕(龍王)에게 명하여 하백을 용궁(龍宮)으로
불러 사해四海의 모든 신을 주재하게 하셨다."
위의 내용에서 용왕이 있는 용궁은 6수(六水)가 있는 곳과 같다. 하백의 경우는 샘으로부터 시작되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물과 같으니 1수(一水)와 같다. 그런데 천신(天神)께서 하백으로 하여금 용궁으로 들어가게 했으니, 이것은 1수인 내 자신이 6수가 있는 용궁으로 들어간 것과 같은 의미가 된다. 더구나 그 때가 7월 7일이니 내 자신이 용궁에 들어가 일곱 불꽃(1水+6水)을 밝힌 존재와 같음에 따라 인존칠성이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천부경의 핵심은 내 자신이 하백이 되어 용궁(뇌해)에 들어가 참나(眞我)를 이루는데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주석 ① 6이 '생명중심의 집'이 될 수 있는 까닭은 자연을 통해서도 나타난다. 육각형으로 된 벌집은 안정된 구조와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둥글게 된 집이 표면장력에 의해 저절로 육각형이 된다고 하니, 물의 결정인 육각형과 더불어 벌집은 가장 중심이 되는 집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②여섯 개의 삼각형이 만들어질 때 일곱 개의 꼭짓점이 만들어지는 것은 피타고라스의 테트락티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테트락티스에서도 가운데 육각형 안에서 칠점육각(七點六角)의 도형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참조문헌 : 수행문화의 원전 천부경
천부경의 핵심은 '생명중심의 집'에 들어가는 일이다. 그 생명중심의 집이 숫자로는 6이요,① 형상으로는 육각형이 되기도 하고, 여섯 개의 삼각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다만 물의 결정과 벌집은 정육각형이나, 천부경을 통해 만들어지는 '생명중심의 집'은 사각형 안에 여섯 개의 삼각형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차이는 정육각형과는 다르게 여섯 개의 삼각형이 만들어질 때는 일곱 개의 꼭짓점②을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사각형 안에서 여섯 개의 삼각형이 만들어질 때에 일곱 개의 꼭짓점이 만들어지는 것은 정육각형의 중심에 생명의 근원체가 들어와 있는 것과 같다. 이것은 '생명중심의 집'을 떠난 생명의 근원체가 다시금 돌아온 것과 같은 의미이다. 이런 점에서 보아 천부경의 핵심은 여섯 개의 삼각형이 있는 생명의 근원처로 나의 참나(眞我)를 회복하기 위하여 다시금 되돌아오는데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생명의 근원처로 다시금 되돌아 오게 되면 나의 참나(眞我)에 모습인 하나(1)는 6을 얻은 상태가 되기에 일곱성령의 은혜를 받는 것과 같이 인존칠성(人尊七星, 1+6)의 인간으로 거듭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여섯 개의 삼각형이 있는 중앙으로 나의 의지에 의해 만들어진 후천일기(後天一氣)가 들어오게 되면서 내 자신을 참나로 다시 태어나게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태백일사} [삼신오제본기]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기도 한다.
"7월 7일은 곧 나반께서 천하天河를 건너신 날이다.
이날 천신께서 용왕(龍王)에게 명하여 하백을 용궁(龍宮)으로
불러 사해四海의 모든 신을 주재하게 하셨다."
위의 내용에서 용왕이 있는 용궁은 6수(六水)가 있는 곳과 같다. 하백의 경우는 샘으로부터 시작되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물과 같으니 1수(一水)와 같다. 그런데 천신(天神)께서 하백으로 하여금 용궁으로 들어가게 했으니, 이것은 1수인 내 자신이 6수가 있는 용궁으로 들어간 것과 같은 의미가 된다. 더구나 그 때가 7월 7일이니 내 자신이 용궁에 들어가 일곱 불꽃(1水+6水)을 밝힌 존재와 같음에 따라 인존칠성이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한다. 그러므로 천부경의 핵심은 내 자신이 하백이 되어 용궁(뇌해)에 들어가 참나(眞我)를 이루는데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주석 ① 6이 '생명중심의 집'이 될 수 있는 까닭은 자연을 통해서도 나타난다. 육각형으로 된 벌집은 안정된 구조와 많은 양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둥글게 된 집이 표면장력에 의해 저절로 육각형이 된다고 하니, 물의 결정인 육각형과 더불어 벌집은 가장 중심이 되는 집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②여섯 개의 삼각형이 만들어질 때 일곱 개의 꼭짓점이 만들어지는 것은 피타고라스의 테트락티스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테트락티스에서도 가운데 육각형 안에서 칠점육각(七點六角)의 도형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참조문헌 : 수행문화의 원전 천부경





1,593개(11/107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 관리자 | 511173 | 2023.10.05 |
![]() |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 환단스토리 | 677594 | 2018.07.12 |
1441 |
[역사공부방]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 |
대선 | 3180 | 2024.11.09 |
1440 |
[역사공부방] 근대적 시간 관념
![]() |
대선 | 2844 | 2024.11.08 |
1439 | [역사공부방]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 대선 | 3297 | 2024.11.08 |
1438 | [역사공부방]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 대선 | 2994 | 2024.11.07 |
1437 | [역사공부방]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 대선 | 2687 | 2024.11.07 |
1436 | [역사공부방]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 대선 | 3269 | 2024.11.06 |
1435 | [역사공부방] 광복회 시국선언 | 대선 | 3203 | 2024.11.06 |
1434 |
[역사공부방]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 |
대선 | 3166 | 2024.11.06 |
1433 | [역사공부방]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 대선 | 2955 | 2024.11.05 |
1432 |
[역사공부방]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 |
대선 | 3118 | 2024.11.05 |
1431 | [역사공부방]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 대선 | 3111 | 2024.11.05 |
1430 |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 대선 | 2631 | 2024.11.03 |
1429 |
[역사공부방] 석오 이동녕 선생
![]() |
대선 | 2664 | 2024.10.31 |
1428 | [역사공부방]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 대선 | 3445 | 2024.10.29 |
1427 | [역사공부방]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 대선 | 2966 |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