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태고시대 문명과 여신문화
- 기타
57개(1/6페이지)
57.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라틴 아메리카로 간 도깨비
2023.10.18,
조회 572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7>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7. 라틴 아메리카로 여행을 떠난 도깨비도깨비는 라틴아메리카 문화에도 등장합니다. 멕시코에서 가장 오래된 올멕문화에서부터, 마야, 아즈텍까지 도깨비가 등장합니다. 세계 3대 박물관이라...
56.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유럽으로 간 도깨비
[1]
2023.10.16,
조회 487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6>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6. 유럽으로 간 도깨비고대 세계에선 어디에도 확실히 구분되는 경계선이 없었습니다. 인종의 범위와 경계선도, 종교상의 신념의 범위, 종교의 경계선도, 심지어는 국경이라는 개념도 흐렸습...
55.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도통을 내려주는 신
[1]
2023.10.10,
조회 540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5>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5. 도통을 내려주는 신도깨비는 자연질서의 중심에서 즉 우주의 중심에서 우주를 다스리는 자연신입니다. 그런데 이런 도깨비가 유라시아 대륙 끝 유럽과 태평양 건너 아주 먼 라틴아메리카에...
54.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소원을 말해봐
[1]
2023.09.26,
조회 765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4>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4. 소원을 말해봐
사찰에서는 용의 얼굴처럼 한 도깨비 문양을 많이 만나는데요. 특히 대웅전 또는 대웅보전 안밖에서 많이 보입니다. 오래된 사찰에 가면 부처님을 모신 수미단이 도깨비...
53.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신
2023.09.19,
조회 681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3>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3.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신
도깨비 이름 중에선 신도, 울루, 이매, 망량이 전해져 옵니다. 조선시대 궁중에서 궁전의 문설주에 신도, 울루의 모습을 그린 그림을 붙이거나 이름을 써...
52.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전쟁의 신
2023.09.12,
조회 827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2>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2. 전쟁의 신도깨비는2002년 월드컵 때 붉은악마 응원단의 상징으로 주목받기 시작했습니다. 2016년도부터 우리나라 조폐공사는 월드컵 때면 항상 등장하는 붉은악마의 상징인 치우천왕(...
51.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도깨비 나라
2023.09.01,
조회 736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글 오동석
1. 도깨비 나라누군가 밤길을 걷다가 도깨비를 만나서 씨름을 했다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있나요? 집에 들어와 사는 도깨비가 쌀, 보리, 콩 등을 곡물을 다 쏟아서 섞어 놨는데 할머니가 호통치며 ‘원래대로 ...
50.
푸틴, 우크라이나Ukraine 침공
2022.04.07,
조회 5326
[지구촌 보편문화]
신新 얄타 체제 등장 예고푸틴, 우크라이나Ukraine 침공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격 침공 첫날 220여 명 사상💥키예프 루스에서 탄생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가 한반도 정세에 끼치는 영향
▲키이우 소피아 광장에 있는 우크라이나 독...
49.
『오리진』_천재 과학자가 말하는 '우주의 주기적 변화'와 '인류의 출현'
2020.09.28,
작성자:STB상생방송 이재국PD,
조회 14216
[지구촌 보편문화]
『오리진』 은 지구의 환경이 인류의 탄생과 문명과 역사, 정치문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말합니다. 그런데 책의 시작부분인 1, 2장에서 이런 지구의 환경 변화는 저자가 ‘우주의 시계’라고 부르는 우주의 주기적 변화에 의해 발생하며 이를 밀란코비치 주기로 설명...
48.
우리는 왜 검은코끼리를 놓쳤는가, 보려고하는 자에게만 보이는 것
2020.09.09,
작성자:STB 이재국PD,
조회 8652
[지구촌 보편문화]
블랙스완이란 말을 아실 겁니다. 검은 백조란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으나, 발생하면 그 영향이 매우 큰 것을 의미합니다. 2007년과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그럼, 코로나19도 블랙스완일까요? 발생 가능성은 매우 낮은 돌발적인 사건이었을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