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대선 | 2023.02.17 06:29 | 조회 9962
주역과 천부경의 대가 대산 김석진 선생 타계를 추모하며

야산 이달의 제자로 말년까지 왕성한 활동
주역 관련 저서 10권 넘게 남겨...대중화 공헌


clip20230215183115

주역(周易)의 대중화를 이끈 대산(大山) 김석진 옹./연합

주역(周易)과 천부경의 대중화를 이끈 대산(大山) 김석진 선생이 15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95세.


  1928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난 김 옹은 19세에 주역에 입문했으며 야산 이달(1889∼1958) 선생의 문하에서 13년 동안 유학의 삼경(역경·시경·서경)을 배웠다.


  이달 선생은 당대 주역의 대가이자 빼어난 유학자로 역사학자 이이화(1937∼2020)의 부친이기도 하다.


  김 선생은 스승이 작고한 후 독학으로 주역을 파고들었으며 50대인 1980년대부터 약 30년 동안 전국 각지를 돌며 주역을 가르쳤다. 생계를 꾸리기 위해 한때 한약방을 운영하면서도 주역 연구를 포기하지 않는 결과였다.


  그는 미수(米壽·88세) 기념집 발간을 계기로 2015년 기자들을 만났을 때는 "주역은 세상이 변하는 것, 즉 이치를 알고 점을 쳐서 미래를 알려주는 것"이라며 "미래에 슬기롭게 대처해 나갈 수 있는 이치를 설명해준다는 점에서 일반인들도 주역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별세 소식을 알린 이찬구 한국홍역학회장은 "대산 선생의 제자로 공부한 이들이 약 1만 명, 1년 정도 공부해서 수료한 뒤 호를 받은 제자가 3000명에 달한다"며 "어려운 주역의 대중화에 공헌하신 분"이라고 말했다.


  고인은 주역을 현대인이 알기 쉽게 풀어낸 '대산 주역강의'를 비롯해 주역 관련 저서를 10권 넘게 남겼다.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고인은 2019년에 '새로 쓴 대산 주역강의'를 냈고, 지난달 언론 매체와 인터뷰할 정도로 왕성하게 활동했다.


  필자는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대학교 국학과 박사과정에 재학하고 있을 때에 국학원에서 

대산 김석산 선생의 천부경 강연을 듣고 감명을 받은 바 있다. 


  유족으로는 아들 김한성·한명·한기 씨와 딸 김한숙 씨가 있다.


  장례는 고인이 설립한 한국홍역학회의 학회장으로 치러지며 주역 제자인 김주한 전 대법관이 장례위원장을 맡는다.


  발인은 17일 오전 8시, 장지는 세종시 소재 대전공원묘원이다.


                                                    <참고문헌>

1. 황의종, "주역의 ‘큰산’ 대산 김석진 선생 별세...약 1만명 제자 배출", 아시아 투데이", 아시아투데이, 2023.2.15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25개(11/109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17543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84143 2018.07.12
1473 [역사공부방] 정답 지상주의에서 벗어나는 교육 대선 2740 2024.11.25
1472 [역사공부방] 세상 종말이 와도 사랑을 되살려내는 시의 힘 대선 2877 2024.11.24
1471 [역사공부방] 서울 광화문광장 100년사 사진 대선 2885 2024.11.24
1470 [역사공부방] 노벨상 위해선 느슨한 시스템 필요 사진 대선 2419 2024.11.23
1469 [역사공부방] 국내 서양근대사 연구 개척자, 나종일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대선 3740 2024.11.23
1468 [역사공부방] 한국교회, ‘선교 140주년’ 기념 사진 대선 2856 2024.11.23
1467 [역사공부방] 문명사회로 가는 멀고도 험한 길 사진 대선 3107 2024.11.23
1466 [역사공부방] 언더우드와 그로브 교회 대선 2750 2024.11.23
1465 [역사공부방] 대한민국 학교 교육과정 사진 대선 3234 2024.11.22
1464 [역사공부방] 나치 전범 재판 사진 대선 2687 2024.11.21
1463 [역사공부방] 정책 전환의 성공과 실패 대선 2681 2024.11.21
1462 [역사공부방] 대전국제사진축제 대선 2869 2024.11.20
1461 [역사공부방] 한반도 공룡 발자국 대선 2765 2024.11.20
1460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제85회 순국선열의 날의 유래와 국가기념행사 현황 사진 대선 3318 2024.11.19
1459 [역사공부방] 80년대 운동권의 성전 '전환시대의 논리' 50년 이어진 오류와 왜곡 사진 대선 3651 202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