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대선 | 2023.03.02 01:52 | 조회 3198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가난했던 보리고개 시절 우리 국민이 가장 원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실컷 쌀밥을 먹었으면 하는 염원이었을 게다. 지금도 식량사정이 좋지 않은 북한 주민들에겐 '하얀 쌀밥에 고기국'이 간절한 소망인지도 모른다.

  어린 시절 어머니들은 아침밥을 지을 때만 쌀을 사용했다. 깡 보리 위에 살짝 쌀을 올려놓고 도시락과 연세 많은 어른들의 밥을 푸고 나면 나머지 식구들은 쌀밥 구경하기가 힘들었다.

  내 고향 서산은 곡창지대라서 쌀이 풍부했지만 가난한 주민들의 삶은 마찬가지였다. 겨울 철 하얀 눈이 오면 대부분 어머니들은 '저 눈이 쌀이었으면 얼마나 좋을까'라고 탄식했던 것을 기억한다.

  지금은 쌀이 칼로리가 높은 탄수화물이어서 날씬한 몸매를 추구하는 현대인들이 외면하는 풍조가 생겼으니 금석지감이 있다. 쌀이 남아돌아가 전국의 쌀 창고마다 골치를 앓은 적이 있었다.

  삼사십년 전만 하더라도 쌀로 밀주를 만들어 먹다 걸리면 벌금을 물어야 했다. 새참용으로 쓸 가양주도 마음대로 만들어 먹지 못했다. 밀주 단속반이 시퍼런 눈을 뜨고 농가를 급습하는 일도 있었다.

   술독에 쌀밥과 누룩을 섞어 넣고 아랫목에 놓으면 보글보글 가스가 올라오면서 향긋한 술 냄새가 죽인다. 꿀꺽 침 넘어가는 것을 막을 수 없으니 어찌하랴.

   술이 아직 안됐는데 몰래 용수를 박고 살짝 떠먹으면 입에 쩍쩍 달라붙는 맛이 최고다. '엄니 술 다 됐어유~. '아이고 승질도 급혀~ 하루 더 둬야 혀~' 지금은 옛 분들이 모두 이 세상을 떠났으니 모두 그리운 추억이 되고 말았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쌀 종주국은 중국이며 양자강 상류에서 출토된 볍씨가 최고라는 지식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쌀 종주국은 한국이었으며 이는 청주시 소로리에서 출토 된 볍씨가 가장 오래 된 것이라는 연구결과 세계에서 공인 됐다는 지식을 얻었다.

   소로리볍씨는 중국 보다 훨씬 오래인 1만 2~3천년전의 탄소측정이 나왔다. 양자강 볍씨보다 2천여년이나 오래 된 것이라고 한다. 이를 소개한 한국 관광공사 유트뷰를 보니 재미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우리 한국의 벼농사 역사가 세계 최고라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다. 매일 쌀밥을 지어 먹으면서도 이런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청주 소로리는 바로 미호쳔 유역이며 세종시와 가장 가까운 곳이다. 이 곳을 흐르는 미호천은 세종시를 관통하여 대평리에서 공주 금강에 합류한다.

   소로리 볍씨는 이미 한국에서는 구석기 시대부터 쌀 농사를 지으면서 살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한다. 대전 괴정동에서 출토 된 청동기에서 농사를 짓는 그림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필자가 현재 살고 있는 갑천 일대에서도 수 천년 조상들이 쌀 농사를 지으며 살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자료라고 한다.

   얼마 전 한 신문을 보니 한국인의 IQ가 세계에서 가장 높다고 한다. 이웃인 일본, 중국인들보다 뛰어나다. 5천년 역사동안 이 민족의 숱한 외침을 당하면서 민족성을 지켜온 것도 이런 우수한 DNA가 있기 때문이 아닐까.

   세종대왕은 한글을 창제하여 우리가 세계 속에서 가장 우수한 민족으로 설수 있도록 했다. 지금 세계 여러 나라가 한글을 모국어로 쓰려고 배운다.

   미국, 영국, 프랑스, 아프리카, 동남아 청년들이 BTS의 한국 노래를 따라 부른다. 가난했던 한국, 쌀밥을 그리워했던 대한민국이 이제 선진국 대열에 섰다. 많은 분야의 지표가 일본을 앞지르고 있다. 오늘따라 뿌듯한 심정이며 한국인으로 태어난 것이 자랑스럽게 느껴진다. 
                                                                 <참고문헌>

   1. 한평용, "쌀 종주국 한국의 긍지", 중도일보, 2023.2.19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294개(11/87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68162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228813 2018.07.12
1142 [역사공부방] 낮은 곳에서 한 작은 일들은 버림받지 않는다 사진 대선 990 2024.03.28
1141 [역사공부방] 물리학을 전공한 세계적 수학자 이임학 사진 대선 1101 2024.03.21
1140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9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사진 대선 1067 2024.03.21
1139 [역사공부방] 광복회장 이종찬, 독립운동가 집안 잊은 적 없다 사진 대선 978 2024.03.19
1138 [역사공부방] 북한의 역사학 및 고고학 등 인문학 연구 현황과 변화 심층 조명 대선 1257 2024.03.18
1137 [역사공부방]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사진 대선 1067 2024.03.18
1136 [역사공부방] 남이홍 장군의 생애와 업젇 사진 대선 1155 2024.03.17
1135 [역사공부방] 초려 이유태의 무실론적 효사상의 현대적 의미 대선 1135 2024.03.16
1134 [역사공부방] 대전문단의 거목 백강 조남익 시인 별세 애도 사진 대선 1310 2024.03.14
1133 [역사공부방] 땅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선 1051 2024.03.14
1132 [역사공부방] 한국 서단의 대가(大家) 초정 권창륜 선생의 타계를 애도하며 사진 대선 1317 2024.03.14
1131 [역사공부방] 충북 노벨과학 리더키움 해외프로젝트 운영 사진 대선 1208 2024.03.13
1130 [역사공부방] 박목월 미공개 육필시 발견 “또 다른 작품세계” 사진 대선 1040 2024.03.13
1129 [역사공부방] 국제펜한국본부 창립 70주년 경축 대선 1419 2024.03.13
1128 [역사공부방] 대전시 2048년 그랜드 플랜 가동 대선 1252 2024.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