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대선 | 2023.05.08 17:37 | 조회 8578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   ‘연자루 앞 버들개지/ 버들개지 제비 새끼 석양에 비껴나네/ 제비는 꽃을 쫓고, 꽃은 제비를 쫓아/ 성안의 여러 집으로 흩어져 들어가네 (燕子樓前楊柳花(연자루전양류화)/ 楊花燕子夕陽斜(양화연자석양사)/ 燕逐飛花花逐燕(연축비화화축연)/ 城中散入萬人家(성중산입만인가))’.

      이 시는 조선 후기 ‘지재당 강담운(只在堂 姜澹雲)’의 시집 ‘지재당고’에 ‘금릉잡시’라는 제목으로 수록된 34수 연작시 중 한 편이다. 시에 등장하는 ‘연자루’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으로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와 함께 영남의 3대 누각이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연화사와 동상동 칼국수 타운이 들어서 있다.


      조선시대 기녀 중 송도의 황진이, 부안의 이매창 등은 뛰어난 글 재주로 후대에까지 이름을 남기며 많이 알려져 있다. 김해에도 한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김해의 아름다운 풍경을 시로 노래하며 여성한문학의 맥을 이었던 기녀이자 시인이었던 ‘지재당 강담운’이 있다.

      지재당은 김해의 자연을 노래한 34수 금릉잡시를 썼다. ‘금릉’은 김해를 아름답게 이른 말이다. 금릉잡시에는 구지봉, 수로왕릉, 후릉(수로왕비릉), 파사석, 사충단, 연자루, 함허정, 만장대, 무척산, 분산, 불암, 영운동 등 김해의 문화유적지와 지명이 등장하며 19세기 당시의 풍경을 정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이에 김해시는 ‘지재당과 금릉잡시’라는 고유의 역사문화자원을 관광콘텐츠화하기로 했다.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연화사./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연화사./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동상시장 모습./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동상시장 모습./김해시/

      우선, 다음 달 지재당의 시집 ‘지재당고’를 우리말로 번역한 ‘그대, 그리움을 아는가’의 저자 이성혜 교수를 초청해 김해문화관광해설사 대상 교육을 실시한다. 기녀 지재당의 삶과 금릉잡시에 묘사된 김해, 금릉잡시의 성취와 의미 등에 대한 지식을 불어넣어 새로운 문화관광해설을 추가하기 위해서다.

      또 문화관광해설사와 함께하는 새로운 도보 해설 관광프로그램 ‘금릉로드’ 도입을 추진한다. 1820년경 제작돼 전해지고 있는 김해 옛 지도(김해부내지도)의 길을 따라 걸으며 조선시대의 김해를 떠올릴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올 하반기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금릉잡시에 등장하는 장소 중 현재 연화사와 동상시장은 조선시대 객사 후원지로서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비석 하나, 풀 하나에 이야기가 숨어 있으며 연화사에는 지재당의 이야기도 있다. 지재당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곳이 김해 객사 후원의 연자루, 함허정, 분성대 등이기 때문이다.

      김해시는 역사적 장소와 진정성 있는 이야기로 관광자원을 창출하고 체험을 통해 관광객들이 재미와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관광객들은 김해 원도심 길을 걸으며 과거와 현재가 혼재된 김해의 문화 다양성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은숙 김해시 관광과장은 “지재당과 금릉잡시라는 고유의 자원을 김해의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김해 원도심의 새로운 활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   1. 이종구, "조선 송도에 황진이가 있다면, 김해엔 ‘지재당 강담운’이 있었다", 경남신문, 2023.3.28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02개(11/107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11980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78437 2018.07.12
1450 [역사공부방]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대선 2632 2024.11.13
1449 [역사공부방] 휴머노이드 로봇 대선 2776 2024.11.13
1448 [역사공부방]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대선 3071 2024.11.12
1447 [역사공부방]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대선 2589 2024.11.12
1446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대선 3888 2024.11.11
1445 [역사공부방] 성심당 경영학 사진 대선 2734 2024.11.10
1444 [역사공부방]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대선 2753 2024.11.10
1443 [역사공부방]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대선 2960 2024.11.10
1442 [역사공부방]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대선 2816 2024.11.10
1441 [역사공부방]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대선 3208 2024.11.09
1440 [역사공부방] 근대적 시간 관념 사진 대선 2872 2024.11.08
1439 [역사공부방]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대선 3332 2024.11.08
1438 [역사공부방]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대선 3012 2024.11.07
1437 [역사공부방]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대선 2709 2024.11.07
1436 [역사공부방]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대선 3289 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