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대선 | 2024.08.10 06:02 | 조회 2688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국민을 상대로 역사 전쟁이라도 할 모양이다. 역사 우향우 작업을 암암리에 전개하며 뉴라이트의 활동 공간을 마련하더니 우리나라 역사연구기관장을 모두 이들에게 송두리째 내주면서다.

억장이 터진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다른 곳도 아니고 극일(克日)의 상징이자 민족 자존심인 독립기념관 관장에 대한민국임시정부 법통과 항일 독립운동 역사를 부정하고 반쪽 정부 수립, 이승만 독재를 미화하며 1948년 건국론을 적극 주장해 온 뉴라이트 계열로 분류된 인사를 아닌 밤중에 덜컥 앉혔으니 말이다.

79주년 광복절이 일주일도 남지 않은 시점에 국민 뒤통수를 거하게 때렸다. 아무리 반대해도 막무가내일 게 분명하다. 혹시나 새 관장이 독립기념관 경영 합리화나 전시를 비롯해 내부 조직을 개혁할 능력이 있는 인물일까 싶었다. 걸어온 이력을 보니 그건 아니다. 올 초부터 국사편찬위원장·한국학중앙연구원장·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에 뉴라이트 인사를 거침없이 기용하더니 끝내 독립기념관장 자리까지 그리 할 정도면 결론은 하나다. 윤 대통령 역사관의 뿌리는 식민지 근대화론을 수용하는 뉴라이트인 것말고 설명할 도리가 없다. 하기야 사도광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 문제로 일본과 협상하면서 조선인 노동자 강제 동원을 명시해달라는 요구를 대차게 묵살당하고도 이를 감춘 채 처음부터 등재에 덜컥 찬성해 준 윤 대통령과 정부였으니 또 그렇게 보면 이해가 되긴 한다.

국가보훈부가 밀어붙이고 윤 대통령이 임명한 김형석 관장이 뉴라이트 역사관을 가졌든, 아니든 그건 그의 자유다. 그러나 독립기념관의 상징적인 측면에서 김 관장의 역사관이 국익과 국민 정서에 정면 배치된다는 것도 사실임을 부인할 수 없다. 오죽하면 광복회장이 이번 독립기념관장 인사를 ‘헌법정신을 부인하는 반헌법적 행태’라고 했을까. 김 관장이 대체 그 자리에 어떤 능력으로 백범 김구 선생의 장손, 한국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의 후손을 제끼고 올라갔는지 모르겠으나 그에 관한 국민의 검증은 이미 끝났다. 자진 사퇴가 국민에 대한 도리다.

‘국익·실용·공정·상식.’ 윤석열정부가 내세운 국정운영 원칙이다. 하지만 이 정부는 이제 그런 말 할 자격을 잃었다. 헌법을 무시하면서 국가 정체성 확립을 말할 수 없고 자유와 민주주의를 파괴한 독재자를 칭송하면서 자유민주주의 확립 운운하는 건 말도 안 되는 얘기이기 때문이다.

광복이 두려웠던 이들이 있었다. 일제의 충성스런 주구 노릇을 하던 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이다. 그들은 정부 수립 후 독재 정권의 비호 속 민족·민주·자주 정신을 철저히 유린해 왔다. 그들이 한사코 광복을 건국으로 바꾸려는 배경은 거기에 있다. 윤 대통령과 정부는 임시정부의 법통 계승을 포기하고 건국을 강조하는 인물에게 독립기념관장을 맡기며 스스로 그들과 동류임을 인정했다. 이런 나라인 게 착잡하다.

                                                             <참고문헌>

  1. 이준섭, "역사 앞에서 국민 배신한 대통령", 금강일보, 2024.6.9일자. 2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505개(11/101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397120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561394 2018.07.12
1353 [역사공부방] 불교계 항일 거점은 어떻게 예술로 기록됐나 사진 대선 4622 2024.08.31
1352 [역사공부방] 교육수준 3위와 사회적 자본 107위 사진 대선 2753 2024.08.30
1351 [역사공부방] 동학의 본질은 계급투쟁 아닌 내면의 혁명 사진 [1] 대선 3628 2024.08.30
1350 [역사공부방] 경술국치일 114주년을 맞이하여 대선 2315 2024.08.30
1349 [역사공부방] 해방 다음날 우리집서 만든 신문 '건국시보'광복의 기쁨 함께 나눴다 사진 대선 2929 2024.08.30
1348 [역사공부방]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대선 2604 2024.08.30
1347 [역사공부방]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 뉴라이트의 역사 쿠대타 성공 못해 사진 대선 3320 2024.08.30
1346 [역사공부방]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대선 3424 2024.08.29
1345 [역사공부방]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대선 2972 2024.08.29
1344 [역사공부방]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대선 2418 2024.08.28
1343 [역사공부방]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대선 3134 2024.08.28
1342 [역사공부방]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대선 2966 2024.08.27
1341 [역사공부방]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대선 2679 2024.08.27
1340 [역사공부방]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대선 2578 2024.08.27
1339 [역사공부방]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대선 2843 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