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대선 | 2024.08.21 04:24 | 조회 3980


                                       “역사 전담기관 수장 모두 친일적 인물

                                        광복회,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이종찬 광복회장이 79주년 8·15 광복절인 지난 15일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 내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광복회 주최 광복절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권도현 기자© 경향신문

이종찬 광복회장이 20일 “대통령 주변에 옛날 일진회(대한제국 시기 친일단체) 같은 인사들을 말끔히 청산하라”고 밝혔다. 뉴라이트 인사 논란의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에 대한 임명 철회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윤석열 정부에 포진한 뉴라이트 인사 전반으로 그 비판 범위를 넓힌 것으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이날 ‘내년 광복절 80주년, 한일국교정상화 60주년을 모두 한마음으로’라는 제목의 7페이지짜리 입장문을 통해 “광복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일 정책에 대해서도 실망하고 있다”며 “(일진회 같은 인사들을)청산하고 존경받는 인사들이 한·일관계를 풀어나가는 환경을 조성하라”고 밝혔다. 일진회는 1904년부터 1910년 일본의 조선 병탄에 적극적으로 나섰던 친일 단체다.

이 회장은 “윤 대통령은 당초 전전(2차대전 전) 일본, 제국주의 침략과 세계평화를 위협하고 우리나라를 강점·수탈한 일본과 전후(2차대전 후) 일본, 평화헌법을 준수하고 민주주의 가치를 공유한 일본을 구분하자고 했다”며 “(그러나)윤 대통령은 전전 일본과 전후 일본을 혼동하고 있는 것 같다”고 밝혔다.이 회장은 “전전 일본에 대한 책임을 묻는 자세는 없어지고, 국민 정서에 의한 공감 없이 일방적으로 일본과의 친선우호만 강조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은 “왜 그런 의구심이 생길까?”라고 자문한 뒤 “나라의 기본 정체성 확립에 가장 중요한 국민의 정통성·정체성·정신문화·독립과 역사를 전담하는 기관 수장을 모두 ‘친일적’ 인사로 채우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 회장은 “일본의 수탈을 항의하는 우리 국민을 ‘반일종족’이라 비하하는 사람을 한국학 중심연구기관장으로 기용했다”거나 “위안부를 ‘자발적인 매춘’이라 주장하는 단체의 수장을 독립기념관 이사로 못 박았다” 며 그 예시를 들었다.

이는 김낙년 한국학중앙연구원장 등 뉴라이트 인사들을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경향신문 분석결과 윤석열 정부의 역사·역사교육 관련 기관 임원 중 최소25개 자리를 뉴라이트나 극우 성향으로 평가되는 인사들이 차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회장은 “우리는 여도 아니고 야도 아니다. 보수도 진보도 아니다”며 광복회는 정치적 중립 기관임을 강조했다. 그는 “정치적이라고 매도하는 것 자체가 정치적”이라고 밝혔다. 보수단체를 중심으로 광복회에 대해 ‘야권 인사들과 공모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데 대한 대응으로 풀이된다.

앞서 광복회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임명 철회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항의 표시로 지난 15일 광복절 경축식을 정부 행사와 별도로 주최한 바 있다.

                                                                  <참고문헌>

  1. 곽희양, "역사 전담기관 수장 모두 친일적 인물, 광복회,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경향신문, 2024.8.20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593개(11/107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11170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77590 2018.07.12
1441 [역사공부방]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대선 3180 2024.11.09
1440 [역사공부방] 근대적 시간 관념 사진 대선 2844 2024.11.08
1439 [역사공부방]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대선 3297 2024.11.08
1438 [역사공부방]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대선 2994 2024.11.07
1437 [역사공부방]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대선 2687 2024.11.07
1436 [역사공부방]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대선 3269 2024.11.06
1435 [역사공부방] 광복회 시국선언 대선 3203 2024.11.06
1434 [역사공부방]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대선 3166 2024.11.06
1433 [역사공부방]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대선 2955 2024.11.05
1432 [역사공부방]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대선 3118 2024.11.05
1431 [역사공부방]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대선 3111 2024.11.05
1430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대선 2631 2024.11.03
1429 [역사공부방]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대선 2664 2024.10.31
1428 [역사공부방]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대선 3445 2024.10.29
1427 [역사공부방]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대선 2966 2024.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