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선 | 2024.03.14 15:59 | 조회 4988

       

                                    땅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흔한 간식 중의 하나가 땅콩이다. 볶아서 멸치에 넣어 반찬으로 사용하고 땅콩밥이나 죽으로 만들어 환자 건강식으로 활용하기도 한다. 땅콩은 찌거나 삶아 먹으면 더욱 많은 영양소를 몸에 흡수할 수 있다. 땅콩밥의 경우 통곡물을 사용하면 건강에 더욱 좋다. 땅콩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

 

  “생각보다 많네”… 근육에 좋은 단백질, 피 맑게 하는 불포화 지방산이?

 

  국가표준식품성분표에 따르면 땅콩 100g에는 근육 유지에 기여하는 단백질이 25.74g이나 들어 있다. 닭가슴살 100g의 단백질 23g과 비교하면 상당히 많은 양이다. 핏속의 중성지방-콜레스테롤을 줄이는 불포화 지방산이 33.08g, 총식이섬유가 13.4g 들어 있다. 모두 핏속을 맑게 해서 중년에 늘어나는 동맥경화증, 심장병, 뇌졸중 등 혈관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고칼로리 부담… 한 번에 20개 정도 섭취, 과식하지 말아야

 

  땅콩은 고단백 건강식품이지만 고칼로리(열량) 음식인 점이 부담이다. 100g의 칼로리가 520㎉이나 된다. 밥 한 공기 칼로리(210g 기준/약 300kcal) 보다 높다. 땅콩 100g은 140개 정도에 해당한다. 체중 조절을 생각한다면 한 번에 20~25개 정도 먹는 게 좋다. 심심풀이로 먹다 보면 과식한다는 게 문제다. 호두 등 다른 견과류도 많이 먹지 않는 게 좋다.

 

  몸의 세포 보호, 피부 탄력, 혈압 조절 기여… 노화 늦추는 효과

 

  비타민 E도 풍부해 세포막을 보호하고 피의 흐름을 돕는다. 피부를 건강하고 탄력 있게 해줘 노화를 늦추는 효과가 있다. 몸속 짠 성분 배출에 좋은 칼륨도 많아 혈압 조절에 기여하고 비타민 B1, B2, 니아신, B5, E, 판토텐산, 엽산 등의 비타민이 많다. 아이소루신, 류신, 라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도 골고루 들어있어 두뇌 활동, 호흡기 보호에 좋다.


  땅콩 알레르기 조심… 땅콩+오징어, 숙취 해소에 기여

 

  땅콩은 일부 사람에게는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피부가 부어오르거나 호흡곤란이 걱정된다면 땅콩을 피해야 한다. 땅콩밥을 만들 때는 잡곡을 섞는 게 좋다. 쌀밥이나 땅콩 모두 열량-탄수화물이 높기 때문이다. 술 마실 때 땅콩+오징어를 먹으면 타우닌 성분이 알코올 성분 분해에 도움을 줘 숙취를 덜어준다. 땅콩은 과식하지 말아야 한다. 심심풀이 땅콩이 건강식이 되기 위해서는 절제해서 먹어야 한다.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19개(12/10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15328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81855 2018.07.12
1452 [역사공부방] 원불교 명상법 대선 3310 2024.11.14
1451 [역사공부방]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2] 대선 2916 2024.11.14
1450 [역사공부방]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대선 2710 2024.11.13
1449 [역사공부방] 휴머노이드 로봇 대선 2851 2024.11.13
1448 [역사공부방]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대선 3144 2024.11.12
1447 [역사공부방]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대선 2669 2024.11.12
1446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대선 3953 2024.11.11
1445 [역사공부방] 성심당 경영학 사진 대선 2809 2024.11.10
1444 [역사공부방]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대선 2820 2024.11.10
1443 [역사공부방]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대선 3022 2024.11.10
1442 [역사공부방]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대선 2880 2024.11.10
1441 [역사공부방]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대선 3284 2024.11.09
1440 [역사공부방] 근대적 시간 관념 사진 대선 2941 2024.11.08
1439 [역사공부방]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대선 3430 2024.11.08
1438 [역사공부방]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대선 3072 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