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2017년 9월 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행사 열려

대선 | 2024.03.18 10:24 | 조회 5298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행사 열려

제막식 2.png
 
    [천안신문] 천안시 광덕면에 소재한 ‘윤동주문학산촌’(촌장 박해환 시인)에서는 지난 23일 민족시인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 윤동주의 대표 시 서시, 슬픈족속 시비 제막식이 열렸다.

   충절의 고장 천안에 민족시인 윤동주의 문학 혼을 부활시키고 시인 윤동주의 생애와 문학사상을 기리기 위해 시인, 문학평론가 지역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시비 제막식, 축사, 시 낭송 축하연주 등의 순으로 진행됐다.
  
untitled.png▲ 윤동주 시인의 생가 기와
  
   이날 제막식은 조선시대 옛 선비들이 과거보러 가던 과거길 광덕면 쌍령리 언덕에 시비 제막을 통해 윤동주의 민족 사랑과 평화정신을 선양하는 일을 능수버들의 고장 천안에서 여는데 큰 의미가 있다.
 
untitled.png▲ 윤동주 시인이 마시던 우물 목판과 모교(명동소학교)의자

   특히 '윤동주문학산촌' 개관의 서막을 알리는 윤동주시비제막식에서는 그의 시 '자화상' 시작(詩作)의 소재가 되었던 윤동주 생가 우물목판, 굴뚝, 기와를 비롯, 모교 의자, 등사기 등 그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유품과 윤동주 친필 원고 <서시>영인본 등 문학 자료를 공개 전시했다.

  
untitled-tile.jpg▲ 윤동주 생가 굴뚝 목판(좌), 윤동주 시인이 소학교 4년에 문예지<새명동>를 만든 등사기(우)
 
   구본영 천안시장을 대신해 축사에 나선 부인 정혜정 여사는 "윤동주 시인의 문학 혼을 기리고 문학체험과 윤동주 시향을 맡을수 있는 윤동주문학산촌 시비 제막은 천안시의 자랑이며 의미 있는 문화공간이 되도록 염원한다"고 말했다.

untitled.png▲ 모교 전화기 카메라 생가 다리미 다딤이방망이 등 소품
 
   허승욱 충남도 부지사는 "역사적인 과거길 쌍령리 언덕에 윤동주문학산촌이 들어서고 .시비가 세워진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충남의 문화적 상징의 터이며 천안시민의 고급문화를 향유 할 수 있는 공간이다"라고 강조했다.

   앞으로 천안 '윤동주문학산촌'에서는 윤동주상시상식, 윤동주시낭송대회, 백일장, 윤동주음악회, 천안호두 천안삼거리 시집 발간, 과거길 걷기대회 등 윤동주 시인을 기리는 다양한 문화 행사를 진행 할 계획이다.

  
untitled.png▲ 윤동주 모교 서류가방
  
   촌장 박해환은 "테마가 있는 윤동주문학산촌은 쉼과 힐링 문화의 숲 공간으로서 천안 시민들의 사랑 받는 명소가 될 것이며 윤동주 시비 조성 후 천안시에 기부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윤동주문학산촌 촌장 박해환 시인은 2005년 윤동주상을 제정 윤동주문학대상 민족상 평화상 예술상 해외동포문학상을 시상하고 있으며 2009년 6월 서울시 종로구와 윤동주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한 협약을 맺고 인왕산에 '윤동주 시인의 언덕' 조성과 '윤동주문학관'을 개관하여 백만 여명이 다녀가는 윤동주문학 순례지를 만든 견인차 역할을 한 바 있다.

  
untitled.png▲ 시인 윤동주 영혼의 터
 
   또한 2008년 8월 겨레의 옛 땅 용정 윤동주묘지에서 문인 80여 명이 묘지 흙을 한 줌씩 담아 윤동주문학산촌에 모아 한미중일 4개 국어로 '윤동주 영혼의 터'라고 새겨 윤동주 문학적 정신문화의 맥을 잇는 상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제막식 2.png

<참고문헌>

   1. 이현자, "윤동주 탄생 100주년 기념...23일 윤동주문학산촌 개관 행사 열려", 천안신문, 

      2017.9.26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542개(12/103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01746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67190 2018.07.12
1375 [역사공부방] 패자부활전 가능하도록 ‘소득 이동 사다리’ 만들어야 대선 3380 2024.09.15
1374 [역사공부방]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 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사진 대선 3288 2024.09.15
1373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추석의 의미와 유래와 민속놀이 사진 대선 3500 2024.09.12
1372 [역사공부방] 북한 MZ 탈북 사유 사진 대선 3345 2024.09.08
1371 [역사공부방]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국제적 위상 대선 3409 2024.09.08
1370 [역사공부방] 친일파 영국 데일리메일 특파원인 프레더릭 아서매켄지가 1907년 고발한 대선 3959 2024.09.07
1369 [역사공부방] 이중섭은 늘 한국인으로서 어떻게 그릴 것인가 고민했다. 대선 3376 2024.09.07
1368 [역사공부방] 이승만의 북진통일론, 당시 국회도 만장일치 지지 사진 대선 3350 2024.09.07
1367 [역사공부방] 역성혁명 성공한 삶, 땅 욕심이 화 불렀나 대선 3744 2024.09.07
1366 [역사공부방] 학력평가원 역사 교과서 해부 대선 3409 2024.09.07
1365 [역사공부방] 북한의 핵위협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세 가지 방법 대선 3588 2024.09.07
1364 [역사공부방] 이승만의 '정읍 선언' 사진 대선 3423 2024.09.06
1363 [역사공부방] 이승만과 김창룡, 6.25전쟁에서 대한민국 지켰다 사진 대선 3424 2024.09.06
1362 [역사공부방] 미분과 적분으로 만든 완벽한 문학 대선 3512 2024.09.05
1361 [역사공부방] 간도협약 사진 대선 3231 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