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팔요성

대선 | 2024.05.17 18:08 | 조회 3555

  

                           성심당의 관광자원화 필요성

   최근 중앙언론에 대전의 성심당에 대한 뉴스가 두 번씩이나 크게 보도된 바 있습니다. 하나는 금융 감독원의 발표에 따라 성심당은 지난해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 등 수천 개의 매장을 가진 대형 프랜차이즈의 국내 영업 이익을 넘어섰다는 보도였습니다. 성심당의 연간 매출액은 1243억 원이고 영업 이익은 315억 원으로 집계되었지요.
 
   또 하나는 오늘부터 6월 2일까지 서울에서 전국의 로컬브랜드 100여 개가 참여하는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가 열리는데, 이 행사에 성심당의 참여가 알려지자 온라인 커뮤니티와 SNS에는 "성심당이 서울에서도 빵을 판매하느냐"는 글이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문의가 이어지자 성심당은 "죄송하지만 이번에는 판매 없이 전시만 진행한다"고 양해를 구하면서, 'Only 전시-성심당 빵', 그러면서 '성심당 빵은 대전에서만 판매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힌 사진도 첨부되었습니다.

  성심당은 1956년 어느 날 함경남도 함흥에서 피난 온 고 임길순(1997년 작고) 창업주가 대전역에서 밀가루 두 포대로 단팥빵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오늘까지 68년간 대전에서만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심당이 지금 같은 '기적'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은 창업주의 신앙심을 바탕으로 한 이웃 사랑의 정신이었습니다. 이것이 성심당의 본질이자 정체성이지요. 그런데 1980년부터 지금까지 창업주인 부친의 정신을 이어받고 발전시킨 아들 임영진 대표의 인품과 사랑의 리더십이 결정적이었다고 생각합니다. 30년 동안 멀리서 또는 가까이서 그를 지켜본 필자로서 자신 있게 주장할 수 있습니다.

  임영진 대표는 겸손하고 검소합니다. 자신을 자랑하거나 내세우지 않습니다. 어느 자리에서든지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면서 본인의 주장은 거의 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종 인터뷰나 강연 등을 사양하지요. 처음에 이분이 말솜씨가 없는 것으로 생각했는데, 단둘이 얘길 하다 보면 논리적이고 설득력이 대단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인터뷰 등을 하다 보면 자연히 자신의 업적을 내세울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말하는 것을 줄이고 참다 보니까 오히려 언변이 줄었어요. 겸손한 권위가 그의 최선의 리더십입니다. 그러면서 그는 남에게는 베풀면서 자신에게는 인색합니다. 최근까지 자전거와 오토바이를 타고 다녔는데 얼마 전에 처음으로 자동차를 구입, 운전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두 번째로 임영진 대표는 성심당의 직원은 물론이고 모든 사람을 사랑하고 존경합니다. 꾸미는 것이 아니라 그분의 본성이지요. 이것이 자연스럽게 경영에도 도입되어 '사랑 경영'이 성심당의 특징이지요. '우리 곁에 불행한 사람을 둔 채로 혼자서는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는 것이 임 대표의 철학이며 성심당의 모토입니다. 성심당에는 노동조합이 없습니다. 그래서 노사관계가 아니라 상생 관계라고 하지요. 직원끼리 사랑하고, 직원은 고객을 사랑하고 존중하며, 경영주는 직원을 믿고 사랑합니다. 직원들에 대한 사랑과 존중이 그의 또 다른 리더십입니다

   세 번째는 아버지를 닮은 임 대표의 신앙심입니다. 가톨릭 평신도가 받을 수 있는 최고 훈장인 '성 그레고리 교황 기사 훈장'을 받은 것으로도 그의 신앙심은 인정받고 있으며, 가톨릭교회의 사회 운동인 포콜라레운동을 성심당 경영에도 접목하고 있습니다. 이 운동은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기업인들의 실천 운동으로 성심당은 회사 이익의 15퍼센트를 직원들에게 인센티브로 나누어주고 있으며, 식재료를 비롯한 소모품을 친환경 재료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성심당은 대전의 자부심이며 그 중심에 인간 임영진이 있습니다.

   그런데 성심당을 대전의 관광자원으로 잘 활용하지 못해 아쉽고 안타깝다.


                                                           <참고문헌>
  1. 염홍철, "성심당, 대전의 자부심", 중도일보, 2024.5.17일자. 18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515개(12/101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412387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576934 2018.07.12
1348 [역사공부방] AI·바이오·양자 등 12대 기술에 30조원 투자 대선 2747 2024.08.30
1347 [역사공부방] 헌법정신 부정하는 신 친일파 뉴라이트의 역사 쿠대타 성공 못해 사진 대선 3465 2024.08.30
1346 [역사공부방] 독립운동가의 후손 고려인 돕기 운동 대선 3577 2024.08.29
1345 [역사공부방] 무국적 고려인 시인 이스타니슬라브의 절규와 현실 사진 대선 3114 2024.08.29
1344 [역사공부방] 재일교포 지위 강화는 일본 내 식민지 갖는 효과 사진 대선 2517 2024.08.28
1343 [역사공부방] 조선말 고종 시대 충청도 가야금 명창을 창시한 '박팔괘'를 아시나요. 사진 대선 3263 2024.08.28
1342 [역사공부방] 국학박사 신상구가 최근 발간한 단행본 2권 홍보자료 대한출판문화협회 등록 대선 3118 2024.08.27
1341 [역사공부방] 화장장 1곳당 연 5600명, 죽을 때도 경쟁이다 대선 2794 2024.08.27
1340 [역사공부방] 파월 '피벗 선언' 했는데, 대한민국 빚 3000조 돌파 대선 2669 2024.08.27
1339 [역사공부방] 책 보고 술 마셔도, 꽃 피고 새 울어도 생각나네 사진 대선 2947 2024.08.26
1338 [역사공부방] 이육사의 ‘청포도 고장’ 안동이냐 포항이냐 글자 크기 변경출력하기 사진 대선 2860 2024.08.25
1337 [역사공부방] 새 역사 교과서, 역사논쟁 판 커지나 사진 대선 2933 2024.08.25
1336 [역사공부방] 욕망을 어떻게 다스릴 것인가 대선 2719 2024.08.23
1335 [역사공부방] 尹, '8·15 통일 독트린' 핵심 내용과 북 호응·추진 동력 과제 대선 3393 2024.08.22
1334 [역사공부방] 광복회, 진보도 아니고 보수도 아니다 대선 2956 2024.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