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대선 | 2024.11.11 15:32 | 조회 665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 전수용 한국문학번역원장이 11일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어 한국문학을 세계에 알리기 위한 비전을 설명하고 있다.

"우리(한국문학번역원)의 부지런한 활동이 (한국의) 작가들을 세계적인 무대에 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올해 8월 취임한 한국문학번역원 전수용 원장은 오늘(11일) 서울 중구 컨퍼런스하우스 달개비에서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를 열어 그간의 소회를 밝혔습니다.

전 원장은 한국문학을 세계에 더 널리 알리기 위한 앞으로의 활동 목표와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전 원장은 "한강 작가가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이후 그간 번역원이 지원한 작가들 명단과 지원 액수를 살펴봤는데, 한 작가에게 가장 많은 액수를 지원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이어 "총 10억 원을 투입했으며 한 작가의 책 76종을 28개 언어로 번역하는 데 8억5천만 원, 세계적인 문학 행사나 도서전시회에 한 작가를 파견하는 데 1억5천만 원가량을 지원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번역원은 "노벨문학상은 끝이 아닌 시작"이라며 "한국문학이 세계 문학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국제적인 담론 형성과 비평 기반이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번역원은 향후 세계에 한국문학을 알리기 위한 과제로 ▲ 한국문학에 대한 해외 담론 형성 ▲ 글로벌 문학 네트워크 강화 ▲ 한국문학 번역대학원대학 설립 등을 꼽았습니다.

해외에서 한국문학에 대한 담론이 형성되도록 번역원은 외국의 문학 연구자와 번역가, 출판 관계자가 참석하는 포럼을 열고, 현지 언어로 한국문학을 논하는 글을 쓰도록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한국과 해외 문학계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서울국제작가축제 등 국내외 작가, 번역가, 출판인이 협업하고 소통하는 장을 마련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번역원은 현재 운영 중인 번역아카데미를 대학원 수준 교육기관으로 격상해 석·박사 과정에 준하는 학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부 허가를 받을 계획입니다.

전 원장은 "번역원이 2008년부터 비학위과정인 번역아카데미를 운영해왔지만, 학위를 제공할 수 없어 전문 인력으로의 진로를 설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며 "대학원대학으로 전환하면 학위를 받은 원어민이 본국에 돌아가 한국문학 교수, 번역가, 에이전트 등으로 활약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습니다.

번역원은 전임 곽효원 원장 때도 번역대학원대학 전환을 추진했으나 법적, 제도적 한계에 부딪혀 실현시키지 못했습니다.

전 원장은 한국문학의 세계적인 위상과 최근 이룬 성과들도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최근 5년(2019∼2023년) 동안 한국문학의 해외 누적 판매 부수는 약 195만 부로 특히 지난해에는 54만 부가 판매돼 전년도 44만 부 보다 23% 증가했습니다.

지난해 1만 부 이상 판매된 한국 번역문학은 한강 작가의 '작별하지 않는다' 프랑스어판을 비롯해 11종입니다.

한국문학은 2020년부터 올해까지 총 19건의 주요 국제 문학상을 받았습니다.

                                                        <참고문헌>

  1.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SBS뉴스, 2024.11.11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484개(3/99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238716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401508 2018.07.12
1452 [역사공부방] 원불교 명상법 대선 762 2024.11.14
1451 [역사공부방] 한충원 목사가 최근 조카 한강에게 보낸 장문의 공개 편지 [2] 대선 769 2024.11.14
1450 [역사공부방] AI 3대 강국 도약, 속도가 관건이다 대선 598 2024.11.13
1449 [역사공부방] 휴머노이드 로봇 대선 715 2024.11.13
1448 [역사공부방] K-문학 원조 충청 여성문인 세상에 알릴 것 대선 642 2024.11.12
1447 [역사공부방] 벽사(碧史) 한영숙(韓英淑)의 생애와 업적 대선 687 2024.11.12
>>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 끝이 아닌 시작, 문학번역원 대학원 설립 추진 대선 666 2024.11.11
1445 [역사공부방] 성심당 경영학 사진 대선 700 2024.11.10
1444 [역사공부방] 성만으로는 덕이 될 수 없다 대선 684 2024.11.10
1443 [역사공부방]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대선 673 2024.11.10
1442 [역사공부방]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대선 681 2024.11.10
1441 [역사공부방]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대선 668 2024.11.09
1440 [역사공부방] 근대적 시간 관념 사진 대선 675 2024.11.08
1439 [역사공부방]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대선 722 2024.11.08
1438 [역사공부방]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대선 668 2024.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