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대선 | 2023.05.08 17:37 | 조회 2802


        김해시 조선 후기 기녀 시인 지재당 강담운 한시 관광콘텐츠 활용


  •   ‘연자루 앞 버들개지/ 버들개지 제비 새끼 석양에 비껴나네/ 제비는 꽃을 쫓고, 꽃은 제비를 쫓아/ 성안의 여러 집으로 흩어져 들어가네 (燕子樓前楊柳花(연자루전양류화)/ 楊花燕子夕陽斜(양화연자석양사)/ 燕逐飛花花逐燕(연축비화화축연)/ 城中散入萬人家(성중산입만인가))’.

      이 시는 조선 후기 ‘지재당 강담운(只在堂 姜澹雲)’의 시집 ‘지재당고’에 ‘금릉잡시’라는 제목으로 수록된 34수 연작시 중 한 편이다. 시에 등장하는 ‘연자루’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으로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와 함께 영남의 3대 누각이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연화사와 동상동 칼국수 타운이 들어서 있다.


      조선시대 기녀 중 송도의 황진이, 부안의 이매창 등은 뛰어난 글 재주로 후대에까지 이름을 남기며 많이 알려져 있다. 김해에도 한 사람에 대한 그리움과 김해의 아름다운 풍경을 시로 노래하며 여성한문학의 맥을 이었던 기녀이자 시인이었던 ‘지재당 강담운’이 있다.

      지재당은 김해의 자연을 노래한 34수 금릉잡시를 썼다. ‘금릉’은 김해를 아름답게 이른 말이다. 금릉잡시에는 구지봉, 수로왕릉, 후릉(수로왕비릉), 파사석, 사충단, 연자루, 함허정, 만장대, 무척산, 분산, 불암, 영운동 등 김해의 문화유적지와 지명이 등장하며 19세기 당시의 풍경을 정감 있게 묘사하고 있다. 이에 김해시는 ‘지재당과 금릉잡시’라는 고유의 역사문화자원을 관광콘텐츠화하기로 했다.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연화사./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연화사./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동상시장 모습./김해시/
    지재당 강담운의 시에 등장하는 조선시대 김해 객사 후원의 누각 ‘연자루’ 자리에 있는 동상시장 모습./김해시/

      우선, 다음 달 지재당의 시집 ‘지재당고’를 우리말로 번역한 ‘그대, 그리움을 아는가’의 저자 이성혜 교수를 초청해 김해문화관광해설사 대상 교육을 실시한다. 기녀 지재당의 삶과 금릉잡시에 묘사된 김해, 금릉잡시의 성취와 의미 등에 대한 지식을 불어넣어 새로운 문화관광해설을 추가하기 위해서다.

      또 문화관광해설사와 함께하는 새로운 도보 해설 관광프로그램 ‘금릉로드’ 도입을 추진한다. 1820년경 제작돼 전해지고 있는 김해 옛 지도(김해부내지도)의 길을 따라 걸으며 조선시대의 김해를 떠올릴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올 하반기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금릉잡시에 등장하는 장소 중 현재 연화사와 동상시장은 조선시대 객사 후원지로서 많은 이야기를 품고 있다. 비석 하나, 풀 하나에 이야기가 숨어 있으며 연화사에는 지재당의 이야기도 있다. 지재당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낸 곳이 김해 객사 후원의 연자루, 함허정, 분성대 등이기 때문이다.

      김해시는 역사적 장소와 진정성 있는 이야기로 관광자원을 창출하고 체험을 통해 관광객들이 재미와 의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관광객들은 김해 원도심 길을 걸으며 과거와 현재가 혼재된 김해의 문화 다양성을 느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은숙 김해시 관광과장은 “지재당과 금릉잡시라는 고유의 자원을 김해의 새로운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고 나아가 김해 원도심의 새로운 활력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참고문헌>

  •   1. 이종구, "조선 송도에 황진이가 있다면, 김해엔 ‘지재당 강담운’이 있었다", 경남신문, 2023.3.28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166개(7/7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48124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208839 2018.07.12
1074 [역사공부방] 윤석열 정권이 생각하는 홍범도의 '죄목' 살펴보니 사진 대선 2064 2023.08.30
1073 [역사공부방] 경술국치일 113주년을 맞이하여 대선 2009 2023.08.28
1072 [역사공부방] 광복회장, 국방부에 “당신들은 독립영웅이 귀찮나” 공개서한 대선 2410 2023.08.28
1071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옥봉 이숙원의 생애와 업적을 추모하고 관광자원화해 사진 대선 2380 2023.08.25
1070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8·15 광복 78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행사 사진 대선 1765 2023.08.15
1069 [역사공부방] 제78주년 광복절 경축식, 이화여대서 열려 사진 대선 2277 2023.08.15
1068 [역사공부방] 충북 옥천 출신의 김규흥은 상해임시정부를 파괴하는 밀정이었다 대선 2056 2023.08.08
1067 [역사공부방] 시기 김부용과 김이양 대감 묘 찾기 사진 대선 1706 2023.08.07
1066 [역사공부방] 한암당 이유립 기념관을 건립해 대전 구도심을 활성화 하자 사진 대선 2620 2023.08.05
1065 [역사공부방] 천안 봉서초 단군상 무단철거 규탄 사진 대선 1887 2023.08.05
1064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제헌절 75주년을 경축하며 사진 대선 1582 2023.07.17
1063 [역사공부방] 단군(檀君)은 신화 아닌 대한민국 국조 (國祖) ​ 사진 대선 2033 2023.07.13
1062 [역사공부방]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행동으로 보여준 일본의 지식인 오에 겐자부로 사진 대선 1827 2023.07.03
1061 [역사공부방] 국조 단군을 아시나요 사진 대선 1875 2023.06.29
1060 [역사공부방] &lt;특별기고&gt; 대한민국 국조인 단군 왕검 탄강 제 사진 대선 1548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