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기타
63개(5/7페이지)
23.
8년 전 오늘, 30만 명이 사망한 이유-아이티를 집어삼킨 대지진
2018.01.13,
조회 6903
[지구촌 보편문화]
8년 전 오늘인 2010년 1월 12일(현지시각). 리히터 규모 7의 강진이 아이티를 덮쳤다. 규모 7의 지진은 건물과 도로가 크게 파손되며, 땅이 갈라지고 솟아오르는 현상이 눈에 보일 정도의 강진이다.
22.
美 국방부 컴퓨터 모델로 분석한 서울 핵 피격 시뮬레이션 (신동아)
2017.09.03,
조회 9801
[지구촌 보편문화]
美 국방부 컴퓨터 모델로 분석한 서울 핵 피격 시뮬레이션
“용산 반경 1.8km 이내 초토화, 정부청사·청와대·국회도 직접 피해” (‘신동아’ 2004년 12월호 보도 요약)
‘신동아’는 2년 전 미국의 반핵단체 NRDC(천연자원보호협회·Natural Resources...
21.
[영상] 한미동맹에 대한 민중의식은 보천교의 간태합덕에서 왔다
2017.09.03,
조회 7333
[지구촌 보편문화]
▶ 한미동맹에 대한 민중의식은 보천교의 간태합덕에서 왔다 https://www.youtube.com/watch?v=30Z3YqTF7wM&t=35s
20.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과 세계정세
2017.04.26,
조회 11683
[지구촌 보편문화]
코리아 패싱(Korea Passing)과 세계정세 코리아패싱은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정세에서 한국을 소외시킨 채 논의를 진행하는 소위 '한국 왕따' 현상을 말합니다.
직역하면 '한국 건너뛰기'라는 뜻으로, 미국,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이 한반도 안보 현안에서 정작 주...
19.
[영상]다케시마의 날 무엇이 문제인가?
2017.02.22,
조회 8612
[지구촌 보편문화]
[영상]다케시마의 날 무엇이 문제인가?
조재현과 서경덕 교수가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맞서 독도뉴스 제3탄 ‘다케시마의 날,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주제의 영상을 공개했습니다.
‘독도뉴스’는 일본의 터무니없는 독도 영유권 주장에 맞서 조목조목 반박하는 영상 프로젝트로...
18.
남북극 얼음이 급격하게 녹고 있다
2017.02.21,
조회 8606
[지구촌 보편문화]
남북극 얼음이 급격하게 녹고 있다
북극해의 얼음 표면적이 지구온난화 등의 영향으로 38년 만에 가장 작은 크기로 줄었다고 2월 17일(현지시간) 세계기상기구(WMO)가 밝혔습니다. WMO는 북극해의 얼음 표면적은 올해 1월 1338만㎢로 1년 전보다 영...
17.
정월대보름, 쥐불놀이에 담긴 비밀
2017.02.10,
조회 14525
[지구촌 보편문화]
정월대보름, 쥐불놀이에 담긴 비밀
어린 시절에 겨울 들녁에서 밤새 쥐불놀이를 했던 기억이 있으신가요?
내일은 쥐불놀이를 하던 그날, 정월대보름입니다.
원래 쥐불놀이란 정월 첫 쥐날(上子日)에 '쥐를 쫓는다'는 뜻으로 논 밭둑에 불을 놓은 세시풍속에서 유래했습니다....
16.
흔들리는 한반도, 다가오는 가을개벽을 준비하라!(1)
2017.02.10,
조회 8749
[지구촌 보편문화]
[집중조명]경주 지진 개벽강좌 | 흔들리는 한반도, 다가오는 가을개벽을 준비하라!(1)
“천하에 지진이 자주 일어나면 일이 다 된 줄 알아라.” (도전 7편 17장)
“이 말씀을 마치신 뒤에 “동래울산東萊蔚山이 흐느적흐느적 사국四國 강산이 콩 튀듯 한다.” 하고 노래...
15.
지진은 앞으로 더 자주 더 강하게 일어난다.
[1]
2016.07.09,
조회 16401
[지구촌 보편문화]
지진은 앞으로 더 자주 더 강하게 일어난다.
천하에 지진이 자주 일어나면 일이 다 된줄 알아라 [증산도 도전 7:17:7]
국내 지진 증가 추세
기상청 자료에 따르면 국내 지진 관측이 시작된 1978년 이후 2016년까지 지진 발생 추이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
14.
울산 지진이 주는 강력한 경고
2016.07.06,
조회 11790
[지구촌 보편문화]
동래울산東萊蔚山이 흐느적흐느적 사국四國 강산이 콩 튀듯 한다.(도전5:405) 증산상제님은 동래, 즉 지금의 부산과 울산이 ‘흐느적거린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리고 부산은 하얀 종이 석장이 뜬다고 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