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기타
199개(2/20페이지)
189.
투르크의 기원과 한민족과의 형제관계 (2)
2023.08.08,
조회 2280
[연구소 칼럼]
투르크의 기원과 한민족과의 형제관계 2
전원철(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3️⃣ 흉노와 딩링(테렉-위구르) 두 가지 이상 종족이 함께 나라를 이룬 흉노국앞서 돌궐이 흉노의 후손이라는 이야기를 했다. 그런데 오늘날 투르크 민족의 일부라는 또 다른 민족이 있다. 바로 키르기...
188.
퉁구스족의 이동과 기원
2023.07.25,
조회 2813
[연구소 칼럼]
퉁구스족의 이동과 기원 (구전口傳 설화를 중심으로)(Ранние стадии этногенеза и миграции тунгусов в эпических традициях эвенков)
저자: 러시아 문헌학 박사 알렉산드르 바를라모브(Александр Варламов...
187.
투르크의 기원과 한민족과의 형제관계 (1)
2023.07.21,
조회 2422
[연구소 칼럼]
투르크의 기원과 한민족과의 형제관계 1
전원철(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최근 6.25 보훈의 달이기도 한 작년 6월 에르도안 정부의 ‘터키’는 국가와 민족명을 ‘튀르키예(Türkiye)’로 바꾸었다.
1️⃣ ‘터키’와 ‘튀르키예’ 국명의 어원인 ‘투르크’의 뜻이 나라의...
186.
한일 간 독도문제의 본질은 냉엄한 국제정치의 논리
2023.07.04,
조회 2703
[연구소 칼럼]
상생문화연구소 정원식
본 칼럼은 필자가 지난 6월 23일(금) 사단법인 《대한사랑》이 ‘국경사(國境史) 연구로 반도사관(半島史觀)을 혁명한다’ 라는 주제로 주최한 ‘2023 대한국제학술문화제’에서 ‘한일 간의 독도문제’가 발발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과 그 배경을 밝히는...
185.
망치를 든 철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4)
2023.07.03,
조회 2252
[연구소 칼럼]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4️⃣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많은 사람들로부터 니체의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는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Also sprach Zarathustra)』(이하 『차라투스트라』)란 작품이 이 시기에 출간돼 나온다. 1883년 라팔로에...
184.
망치를 든 철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3)
2023.06.26,
조회 2506
[연구소 칼럼]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3️⃣ ‘루 살로메’, 그것은 운명의 잔인함
이 무렵 니체에게 삶은 지옥으로 바뀌기 시작한다. 두 군데의 두통과 고통스런 구토를 일으키는 편두통의 엄습으로 그는 몇 주간을 침대에서 누워 지낸다. 시력은 약해지고, 전쟁터에서 얻었던 위장병마...
183.
[장편소설] 천년의 약속 (9)
2023.06.21,
조회 2316
[연구소 칼럼]
천년의 약속(연재소설 9회)
상생문화연구소 노종상
제4장 귀촉도
9️⃣
💬“아직 낮인데, 귀촉도가 왜 벌써 우는 걸까!”
진표는 뜨악한 생각이 들어 혼잣말로 뇌었다. 곁눈질로 보니까 용행자는 여전히 좌선 삼매에 빠져 있었다. 진표는 다시 마음을 챙겨 좌선에 들어가려...
182.
망치를 든 철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2)
2023.06.19,
조회 2512
[연구소 칼럼]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2️⃣ 쇼펜하우어, 바그너와의 인연
다른 위대한 사상가들에 비교하면 단지 사소한 정도의 철학적 지식만을 갖고 있던 니체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입학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어느 날 우연히 한 책방에서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저서인 『의지와 표상으...
181.
이스라엘 여신 문화의 자취
2023.06.16,
조회 3334
[연구소 칼럼]
이스라엘 여신 문화의 자취
김현일(상생문화연구소)
━━━━⊱⋆⊰━━━━
고대 이스라엘인들은 유일신관을 만들어 내었다. 기독교 및 이슬람의 신관은 이스라엘 유대교의 유일신관을 고스란히 계승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고대 이스라엘인들이 처음부터 다른 신들의 존...
180.
[장편소설] 천년의 약속 (8)
2023.06.16,
조회 3398
[연구소 칼럼]
천년의 약속(연재소설 8회)
상생문화연구소 노종상
제4장 귀촉도
7️⃣
개암 조실 도융스님이 백제부흥운동의 지도자 도침의 상좌였다는 말을 들은 진표는 자신의 귀를 의심하였다. 도저히 믿어지지 않는다는 표정이었다. 숲속 작고 외딴 암자인 개암의 한 켠 퇴설당에서 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