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기타
199개(6/20페이지)
149.
상생편지_너의 이름은?
2023.01.27,
조회 4239
[연구소 칼럼]
안산에서 잠깐 학원 샘을 할 때였다. 수업 시간에 아이들이 지쳐 보여서.. "애들아 샘이 이름 풀이 해줄까?"하고는 아이들의 이름을 해석해 주기 시작했다.
"종서(宗瑞), 마루 종 상서로울 서. 상서로움이 으뜸이구나! 훌륭한 사람이 되겠는데?""동현(東賢), 동녁 동 ...
148.
철학적, 과학적 사유를 혁명革命한 칸트 (5)
2023.01.25,
조회 4319
[연구소 칼럼]
철학적, 과학적 사유를 혁명革命한 칸트 (5)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5️⃣별들이 빛나는 하늘과 내 마음에 깃든 도덕법칙
이 무렵 칸트는 그간 검소한 생활을 유지한 덕분에 쾨니히스베르크 성城 부근의 프린체신 거리에서 집을 구하고, 1787년 퇴역 군인인 충실...
147.
새해 복 많이 받으셨습니다
2023.01.20,
조회 3838
[연구소 칼럼]
설날에 나누는 덕담에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말이 있습니다. 새해에는 큰 복을 받아서 일이 술술 풀리라는 뜻인데, 예전에는 지금과 달리 과거형으로 덕담을 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새해 복 많이 받으셨습니다." "새해 큰 일을 하셨군요"하는 식입니다. 종교인이...
146.
사유하는 인간, 철학자들의 웃픈 삶 - 칸트(4)
2023.01.13,
조회 4679
[연구소 칼럼]
철학적, 과학적 사유를 혁명革命한 칸트 (4)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4️⃣경험에 앞서서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그렇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것은 철학자가 구분하고 있는 또 다른 차이이다. “분석판단”이 이뤄지기 위해서라면 우리는 굳이 “경험”할 필요가 없다....
145.
육가야 연맹의 탄생과 가야(김해)김씨의 유래 (2)
2023.01.09,
조회 5595
[연구소 칼럼]
육가야 연맹의 탄생과 가야(김해)김씨의 유래 (2)
상생문화연구소 전원철 연구위원
💬‘놋쇠청예’ 김수로 왕과 보주태후普州太后 황옥부인皇玉夫人과의 혼인, 그리고 황후의 출신 문제《기언》의 가락국에 관한 같은 기사는 김수로의 아내에 관해서도 언급한다.“수로가 즉위한 지 ...
144.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16) -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3)
2023.01.05,
조회 3276
[연구소 칼럼]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3)
상생문화연구소 원정근
━━━━⊱⋆⊰━━━━내 동산에 가서,오래오래 돌아오지 못했네.내 동쪽에서 돌아올 제,가랑비 보슬보슬 내렸네.내 동쪽에서 돌아가건만,내 마음 서쪽을 슬퍼하네.평복을 지어,다신 하무를 물지 않으리.꿈틀꿈틀 뽕나무 벌레...
143.
사유하는 인간, 철학자들의 웃픈 삶 - 칸트(3)
2022.12.29,
조회 4747
[연구소 칼럼]
철학적, 과학적 사유를 혁명革命한 칸트 (3)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3️⃣흄을 통해 독단의 잠에서 깨어나다
1770년 무렵 혹은 그보다 더 일찍 “비판적 사유”의 시기가 시작된다. “비판적 사유”는 칸트에게 시대를 초월하는 세계적 명성을 가져다준다. 그러...
142.
육가야 연맹의 탄생과 가야(김해)김씨의 유래 (1)
2022.12.27,
조회 4380
[연구소 칼럼]
육가야 연맹의 탄생과 가야(김해)김씨의 유래 (1)
상생문화연구소 전원철 연구위원
고대사에서 우리 한민족사뿐만 아니라, 일본사와 연관해서도 중요한 우리 고대국가가 육가야 연맹이다. 이 가야연맹은 시조 김수로가 세운 가락국을 포함하여 그의 여섯 형제들이 세웠다고 전해...
141.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15) -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2)
2022.12.23,
조회 3263
[연구소 칼럼]
『시詩·소아小雅·사모四牡』(2)
상생문화연구소 원정근
『시‧패풍‧식미』는 수자리 나간 사람이 아내가 애타게 기다리는 집으로 돌아가고픈 심정을 담은 시다. 훗날 당나라의 시인 왕유王維는 이 시를 활용하여 「위천 땅의 농가(위천전가渭川田家)」라는 시를 지어 집으로 되돌...
140.
사유하는 인간, 철학자들의 웃픈 삶 - 칸트(2)
2022.12.15,
조회 4418
[연구소 칼럼]
철학적, 과학적 사유를 혁명革命한 칸트 (2)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2️⃣ 그의 생애는 삶도 역사도 갖고 있지 않았다
일상 언어에서는 ‘실존’이라는 말이 갖는 독특한 위치가 얼른 눈에 띠지 않는다. 그렇지만 예를 들어 우리가 판사 앞에서 ‘증인 페터가 실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