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기타
66개(3/7페이지)
46.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11)
2020.12.17,
조회 5421
[영성문화 산책]
일신一神의 두 본성, 조화성造化性과 주재성主宰性
상생문화연구소 문계석
「삼일신고」 2장에서는 이렇게 기술한다.“일신은 더 이상 상위가 없는 으뜸의 자리에 있으면서 광대한 덕과 위대한 지혜와 엄청난 힘이 있어 천하의 모든 것들을 생겨나게 하고 무수한 세계를 주관하신다...
45.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10)
2020.09.14,
조회 6121
[영성문화 산책]
“기독교의 유신론은 ‘인격적인 유일신 하나님’에 대한 신앙, 즉 삼수논리의 관점에서 볼 때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신앙이 핵심이다. 그렇다면 기독교의 유신론은 어떻게 출범되었고, ‘삼위일체 하나님’ 신앙은 어떻게 형성되었던 것일까?”
44.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9)
2020.09.04,
조회 5014
[영성문화 산책]
삼신일체三神一體란 무엇인가
상생문화연구소 문계석 연구원
동방 한민족의 역사문화정신에 깃들어 있는 사유방식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삼수논리三數論理에 기반한다. 이는 ‘하나가 체이고 세 손길이 그 작용이다[一體三用]’는 논리이다.
재론하자면 선인仙人 발귀리發貴理는“송가頌...
43.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 (8)
2020.08.26,
조회 4164
[영성문화 산책]
일체삼용一體三用(삼일기체三一其體와 일삼기용一三其用)의 논리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동북아 한민족의 문화정신에는, 마치 선조先祖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gene)처럼, 오래전부터 전수되어 전해지는 민족 고유의 ‘밈(meme)’이 자리하고 있다. ‘밈’이란 사람이나...
42.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7)
2020.08.18,
조회 4779
[영성문화 산책]
“일신一神”의 두 의미, 무형의 원신과 유형의 주재자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삼일신고」에 등장하는 ‘일신一神’은 동북아 한민족이 숭앙해온, 우주만유의 근원으로 전체를 관할하는 최고의 신으로서의 천신天神, 즉 ‘하느님’이다. ‘하느님’은 서구 중세 기독교 초...
41.
구약성서 속의 신비의 인물 멜기세덱
2020.07.27,
조회 8410
[영성문화 산책]
구약성서 속의 신비의 인물 멜기세덱
상생문화연구소 김현일 연구위원
기독교 구약성서의 〈창세기〉는 크게 나눠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지창조로부터 대홍수에 이르는 창세역사와 이스라엘 민족의 조상, 즉 족장들(patriarchs)의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
40.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6)
2020.07.21,
조회 4817
[영성문화 산책]
「삼일신고」 2장에서 “일신一神”의 정체성正體性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일신’의 기원은 ‘대광명’에서 비롯된다. 동북아 한민족의 태고인들은 ‘대광명’의 중심이 되는 태양을 ‘일신’으로 받들었다. 이후 역사가 진행되면서 태양신의 개념은...
39.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5)
2020.07.17,
조회 4948
[영성문화 산책]
「삼일신고」 2장에서 “일신一神”의 기원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삼일신고」의 2장은 “일신一神”을 간략하게 정의하고 있으나, 그 뜻을 명확하게 파악하여 인식하기란 다소 까다롭다. 그럼에도 ‘일신’의 핵심 뜻은 대략 세 관점, 즉 모든 존재의 근원이고, 창조...
38.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4)
2020.06.17,
조회 4308
[영성문화 산책]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4)
「삼일신고」 1장 “허공虛”의 의미
이제 진아眞我가 된는 첩경捷徑으로 인도하는 「삼일신고」의 내용을 본격적으로 파지把持해 보는 쪽으로 사유의 길을 더듬어 나아가 보자. 그러기 위해서는 앞서 소개한 『환단고기』에 편장되어 ...
37.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3)
2020.06.12,
조회 5275
[영성문화 산책]
「삼일신고」의 전문全文에 대한 간략한 해석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환단고기桓檀古記』 『태백일사太白逸史』 「소도경전본훈蘇塗經典本訓」(안경전 역주)에 의거해 볼 때, 한자漢字로 쓰여진 「삼일신고」는 총 366자字로 이루어져 있고, 다섯 장[五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