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기타
639개(13/64페이지)
519.
역사를 계급투쟁으로 해석한 카를 마르크스 (1)
2023.03.21,
조회 3327
[연구소 칼럼]
역사를 계급투쟁으로 해석한 카를 마르크스(1)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1️⃣ '카를 마르크스', 더 나은 삶에 대한 상징
부모들은 그를 행운아로 여겼다. 그리고 그가 언젠가 드높은 명예를 얻기를 바랐다. 이것은 약 2백여 년 일이었다.
오늘날 카를 마르크스란 ...
518.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2)
2023.03.20,
조회 3685
[한국의 역사문화]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2)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환단고기桓檀古記』에서 전하는 소도
1️⃣ 소도를 주관한 치우천황“환웅천황이 최초로 나라를 열고 백성들에게 교화를 베풀 때, 천부경을 강연하고 삼일신고를 강론하여 뭇 백성들을 크게 깨우쳤다. 이후에 치우천황...
517.
노르만 정복과 영국의 성씨
2023.03.17,
조회 4437
[연구소 칼럼]
노르만 정복과 영국의 성씨
상생문화연구소 김현일 연구위원
영국에서 노르만 정복 이전에는 성을 쓰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고 한다. 그냥 별명을 덧붙여 이름을 불렀다. 노르만 정복 때부터 소수의 제후들이 자신들의 영지 이름을 성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영국사 책을 ...
516.
봄에 씨를 뿌려야 가을에 거둔다 - 태극太極
2023.03.16,
조회 5634
[한국의 역사문화]
봄에 씨를 뿌려야 가을에 거둔다- 태극 -
본부도장 김덕기
지구는 생명체로 가득한 행성입니다. 무수히 많은 동물과 식물은 천지부모가 낳은 자식입니다. 그런데 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모두 씨에서 태어났다는 것입니다. 동물은 암컷의 난자와 수컷의 정자가 만나서 생긴...
515.
변증법적 논리학을 창안한 헤겔 (4)
2023.03.14,
조회 3705
[연구소 칼럼]
변증법적 논리학을 창안한 헤겔 (4)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4️⃣ 프로이센에 내려앉은 세계이성
헤겔 변증법은 존재-무-생성이란 근본 개념들에 상응하여 3단계의 틀로 이뤄져 있다. 이 세 근본 개념들로부터 그밖의 다른 모든 개념들이 발전돼 나온다. 그뿐만이 아...
514.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1)
2023.03.09,
조회 4585
[한국의 역사문화]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1)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태백일사』의 「소도경전본훈」『태백일사』는 일십당一十堂 이맥(李陌, 1455~1528)이 1520년 66세의 나이에 찬술纂述한 역사경전이다. 그가 『태백일사』를 찬술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왕조의 10대 임금...
513.
[장편소설] 천년의 약속 (3)
2023.02.27,
조회 3702
[연구소 칼럼]
천년의 약속
상생문화연구소 노종상
제2장 출가
━━━━⊱⋆⊰━━━━
3)
진표율사에 대한 전기는 몇 가지가 전해지고 있다. 국내 기록으로는 고려시대의 고승 일연이 쓴 『삼국유사』 권4 제5 「진표전간眞表傳簡」과 「관동풍악발연수석기關東楓岳鉢淵藪石記」(이하 「석기」...
512.
원은 영원한 생명의 고향 - 0무극
2023.02.24,
조회 4374
[한국의 역사문화]
원은 영원한 생명의 고향
- 0 무극 -
본부도장 김덕기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유한합니다. 유한한 존재인 인간은 무한을 동경하고 추구해 왔습니다. 유한의 세계는 인과율이 지배하는 상대계입니다. 그에 반해 무한의 세계는 일체의 분별이 끊어진 절대계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511.
변증법적 논리학을 창안한 헤겔 (3)
2023.02.21,
조회 4171
[연구소 칼럼]
변증법적 논리학을 창안한 헤겔 (3)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3️⃣ 역사는 신이 자신을 인식하는 행보
그러나 헤겔의 야심은 그 자신조차 어렴풋이 느끼고 있는 사태를 독자에게 명확하게 밝혀주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그의 작품을 이끄는 근본이념은 오히려 다음과 ...
510.
프랑스인들의 족보열풍
2023.02.20,
조회 4464
[연구소 칼럼]
프랑스인들의 족보열풍
상생문화연구소 김현일 연구위원
필자가 예전 박사학위논문을 준비하면서 프랑스에 체류하던 중 놀란 것 가운데 하나가 프랑스인들의 족보연구 붐이었다. 프랑스인들이 역사를 좋아한다는 말은 익히 들은 바 있지만 역사학자가 아닌 많은 일반인들이 고문서보관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