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기타
639개(6/64페이지)
589.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유럽으로 간 도깨비
[1]
2023.10.16,
조회 2349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6>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6. 유럽으로 간 도깨비고대 세계에선 어디에도 확실히 구분되는 경계선이 없었습니다. 인종의 범위와 경계선도, 종교상의 신념의 범위, 종교의 경계선도, 심지어는 국경이라는 개념도 흐렸습...
588.
3대 개벽으로 리뷰(Review)하기 - 세 개의 전쟁(2)
[2]
2023.10.13,
조회 1747
[기타]
한재욱 / 본부도장
(이전 글 보기)👈
━━━━⊱⋆⊰━━━━
〈세 개의 전쟁〉, 2부 투키디데스의 함정
1)현상의 변경이 다큐는 ‘현상現象의 변경變更’(changing status quo)이라는 말을 자주 쓴다. 현상, 나타나 있는 현재의 상태가 바뀌는 것이다. 우...
587.
태고시대문명과 여신문화 (3)
[1]
2023.10.12,
조회 225
[기타]
여신과 함께 나타나는 뱀의 본래적 의미 (2)
글 박준수(이전 글 보기)👈
저번 시간에 이어 뱀과 새가 의미하는 것이 본래 용과 봉이라는 것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전에 먼저 뱀과 새가 의미하는 바를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합니다.
정형진 저자가 쓴 『...
586.
음양오행으로 보는 문화이야기 - 교육과 정치
[1]
2023.10.10,
조회 2681
[지구촌 보편문화]
어머니 문화와 아버지 문화로 보는 교육과 정치
본부 김덕기
들어가는 말우주 만물은 음陰과 양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인류가 이룩한 문명은 여성 문화와 남성 문화의 성격을 띠고 있습니다. 그리고 음과 양이 상생하거나 상극하기도 하는 것처럼, 이들 문화는 서로 ...
585.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도통을 내려주는 신
[1]
2023.10.10,
조회 2299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5>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5. 도통을 내려주는 신도깨비는 자연질서의 중심에서 즉 우주의 중심에서 우주를 다스리는 자연신입니다. 그런데 이런 도깨비가 유라시아 대륙 끝 유럽과 태평양 건너 아주 먼 라틴아메리카에...
584.
태고시대문명과 여신문화 (2)
[1]
2023.10.06,
조회 348
[기타]
여신과 함께 나타나는 뱀의 본래적 의미 (1)
글 박준수(이전 글 보기)👈
우리는 지금 전세계적으로 퍼져있는 남신 문화속에서 살고 있습니다. 서양에서 시작된 이 남신 문화는 유일신 문화였습니다. 그 남신 문화의 배경에는 아담과 이브 그리고 그들을 타락시키는 뱀이 ...
583.
3대 개벽으로 리뷰(Review)하기 - 세 개의 전쟁(1)
[1]
2023.10.04,
조회 2451
[기타]
한재욱 / 본부도장
“천지개벽 시대에 어찌 전쟁이 없으리오. 앞으로 천지전쟁이 있느니라. ······ 뒷날 대전쟁이 일어나면 각기 재주를 자랑하여 재주가 일등 되는 나라가 상등국이 되어 전쟁은 장차 끝을 막으리라.”(증산도 도전道典 5:202:3,11)
들어가며
지난...
582.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소원을 말해봐
[1]
2023.09.26,
조회 2328
[지구촌 보편문화]
<가방 싸고 유럽여행 떠난 도깨비 - 4>
글 오동석
(이전 글 보기)👈
4. 소원을 말해봐
사찰에서는 용의 얼굴처럼 한 도깨비 문양을 많이 만나는데요. 특히 대웅전 또는 대웅보전 안밖에서 많이 보입니다. 오래된 사찰에 가면 부처님을 모신 수미단이 도깨비...
581.
음양오행으로 보는 문화이야기 - 한국인의 통과 의례, 관혼상제
2023.09.25,
조회 3746
[한국의 역사문화]
본부 김덕기
들어가는 말사람의 일생을 기념하는 대표적인 문화는 관혼상제冠婚喪祭입니다. 그중에서 성인식에 해당하는 관례와 결혼하는 혼례, 돌아가신 분에 관한 상례는 전 세계 공통입니다. 지금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관례와 제례는 축소되는 데 반해, 혼례와 상례는 사업화되었...
580.
에벤크족의 곰 신앙과 최고신의 기원
2023.09.21,
조회 2170
[연구소 칼럼]
상생문화연구소 류한나 연구원
(Культ медведя у эвенков и проблема генезиса представлений о верховных духах) 이 글은 아르카디 아니시모브(Аркадий Анисимов)의 저서 『에벤크족 종교와 원시신앙의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