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기타
639개(11/64페이지)
539.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7)
2023.04.28,
조회 3893
[한국의 역사문화]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7)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소도의 변천사 4️⃣
🔍삼신을 수호하는 삼시랑三侍郞, 국자랑國子郞 혹은 천지화랑天指花郞
소도의 주체는 ‘낭가郞家’이다. 여기에서 ‘랑郞’이라 함은 “삼신을 수호하는 관료[朗者卽三神護守之官也]”라는 뜻이다. ...
538.
영화 <아바타Avatar> 분석 (3)
2023.04.26,
조회 3166
[기타]
영화 〈아바타Avatar〉 분석 (3)
본부도장 한재욱
🎬 소개
이번 호는 〈아바타〉 영화 분석 3회 차이다. 1회에서는 신단수와 샤먼 문화, 『환단고기』 및 「천부경」과의 연관성에 대해 살펴보았고, 2회에서는 에이와 여신과 가이아, 삼 형제 바위와 바이칼, 언옵테늄과...
537.
음양이 뭔가요? (2)
2023.04.25,
조회 4671
[한국의 역사문화]
태극과 음양의 향연이 펼쳐지는 놀이 문화- 음양 (2) -
본부도장 김덕기
각 민족은 자신만의 고유한 문화를 창조하였습니다. 그중 놀이 문화는 자칫 삭막할 수 있는 삶을 다채롭고 풍요하게 만들었습니다. 놀이는 그 자체로 즐거움을 주지만, 어떤 놀이는 스포츠 경기로 승화...
536.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1)
2023.04.24,
조회 2780
[연구소 칼럼]
우리는 더 나은 세상을 살고 있지 않다
-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1)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1️⃣ 삶은 당혹스런 사건
그는 이미 17세 때 “병과 고통, 죽음을 목격하고, 마치 젊은 부처가 그랬던 것처럼 삶의 연민에 휩싸였다.” 그리고 23세가 되어서는 ...
535.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6)
2023.04.20,
조회 4254
[한국의 역사문화]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6)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소도문화의 변천 3️⃣
🔍대시전의 환웅전, 국조삼신을 모시는 삼성전三聖殿, 불교의 대웅전大雄殿
소도로 지정된 산골짜기에는 신단이 있다.“산골짜기에 나무를 심고 토단을 쌓는 것을 신단이라고 말한다[在山谷而植木...
534.
선仙문화 건강정보 (1)
2023.04.18,
조회 3285
[제5차 산업혁명]
100세 시대, 건강한 삶 유지하기 위한 비결= 점점 늘어 가는 기대 수명, 멀어져 가고 있는 죽음
☞ 현재까지 공식적인 최고 연장자는 122세☞ 80세를 넘어간 한국인의 기대 수명☞ 조금 더 건강하게 수명을 늘리는 방법은?
💊슈퍼센티네리언의 존재‘슈퍼센티네리언Supe...
533.
기독교 성서에 나오는 이스라엘 족보
2023.04.17,
조회 4582
[연구소 칼럼]
기독교 성서에 나오는 이스라엘 족보
상생문화연구소
기독교의 바이블에는 족보가 네 군데 나온다. 구약성서에 두 곳, 신약에 두 곳이다. 신약성서에 나오는 것은 예수의 족보이다. 신약성서의 첫 번째 책인 마태복음과 세 번째 책인 누가복음이다. 아마 신약성서를 읽으려고 마태...
532.
[장편소설] 천년의 약속 (5)
2023.04.14,
조회 2904
[연구소 칼럼]
천년의 약속
상생문화연구소 노종상
제3장 용의 아들
3️⃣
차량은 두 대로 움직였다. 나와 미륵팀 총무 정지원이 탄 SUV 차량은 김현 교수가 운전하였다. 아니, 미륵팀이 김교수의 차에 신세를 지고 있었다. 서울대 사학과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박사 후 과정을 마친 ...
531.
역사를 계급투쟁으로 해석한 카를 마르크스 (4)
2023.04.13,
조회 3008
[연구소 칼럼]
역사를 계급투쟁으로 해석한 카를 마르크스(4)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4️⃣ 위대성에 비해 너무나 적게 주목받은 여성
런던으로의 망명과 동시에 마르크스 가족의 비극은 시작된다. 가장家長은 전혀 안정된 수입을 갖지 못했다. ‘뉴욕 데일리 트리뷴’ 같은 신문에 글...
530.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5)
2023.04.12,
조회 4180
[한국의 역사문화]
한민족의 소도蘇塗 문화 (5)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원 문계석
📑소도문화의 변천 2️⃣
🔍제천의식祭天儀式의 변화 상고시대에 한민족의 제천의식은 하늘에 계신 지존의 삼신일체상제님을 주신主神으로 숭상하고, 신을 맞이하는 종교적인 행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국통國統과 종통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