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종교와 도道
- 9천년 역사문화
- 지구촌 개벽소식
- 미래문명
- 건강한 삶
- 상생칼럼
- 웹툰
- English
- 기타
503개(8/51페이지)
433.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16)
2021.04.15,
조회 2557
[종교와 도道]
‘마음의 방[心房]’, ‘기운의 방[氣房]’, ‘몸의 방[身房]’에는 세 가지 진실한 것, 즉 ‘선善ㆍ청淸ㆍ후厚’와 세 가지 망령된 것, 즉 ‘악惡ㆍ탁濁ㆍ박薄’이 서로 마주치어 뒤섞이는데, 이것들이 출입하는 세 길[三途], 즉 ‘감感’ㆍ‘식息’ㆍ‘촉觸’ 삼문三門이 있다...
432.
지구촌을 위한 증산도 소식지 - 개벽 위클리 49호
2021.04.13,
조회 1396
[English]
[Korean-English] Gaebyeok Weekly - No.49
431.
「삼일신고三一神誥」가 인도하는 진아眞我(15)
2021.04.12,
조회 2522
[종교와 도道]
삼신으로부터 받은 ‘삼진’은 인간의 어디에 머물게 되는가?
‘삼방’은 어떻게 오염되고 변화되어 ‘삼망’으로 불리게 되는가?
‘감感․식息․촉觸’ ‘삼문’은 무엇인가?
430.
지명 시베리아의 유래(2)
2021.04.09,
조회 2227
[상생칼럼]
지명 ‘시베리아’의 유래를 찾아서 (2)
상생문화연구소 홍미선(불어학 박사)
‘시비르’는 종족명인가, 지명인가
‘시베리아’라는 지명이 ‘시비르’ 칸국에서 왔다면, ‘시비르’는 본래 지명이었을까, 아니면 종족명에서 유래했을까?
『몽골비사...
429.
지명 시베리아의 유래(1)
2021.04.09,
조회 2170
[상생칼럼]
지명 ‘시베리아’의 유래를 찾아서 (1)
상생문화연구소 홍미선(불어학 박사)
2019년 여름, 몇 개월 뒤면 Covid-19라는 무시무시한 괴물이 전 지구를 덮쳐 해외여행은 추억 속에 갇힌 꿈이 되어버릴 것을 상상도 못한 채, 나는 시베리아의 한 끝자락을 여행하고 ...
428.
오스트리아 역사기행 (2)
2021.04.07,
조회 1606
[상생칼럼]
할슈타트는 도시가 아니고 작은 마을이다. 인구도 천 명이 안 되며 마을도 호수와 산 사이의 좁은 땅에 들어서 있다. 걸어서 두어 시간이면 모두 둘러볼 수 있는 이 작은 마을은 사실 관광지로서 뿐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아주 주목할 만한 곳이다.
427.
[우리역사 바로알기] 한국사 왜곡의 결정적 사건 8가지 (3)
2021.04.07,
조회 2909
[9천년 역사문화]
단군조선을 계승한 해모수 단군의 북부여와 주몽의 고구려에 관한 지나支那족의 역사 왜곡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려 한다. 특히 고구려의 패망부터 역으로 올라가 주몽의 신원과 그 뿌리를 통해 단군조선에서 북부여로 이어지는 상고사의 국통맥을 함께 알아보자.
426.
고대 지나(支那)에서의 한류(韓流) 3
2021.04.06,
조회 2527
[9천년 역사문화]
나라가 사라짐에 따라 그 자취도 점차 사라지긴 했지만, 고구려 음악인들이 전개한 지나대륙에서의 해외음악활동은 음악사적 관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현상은 조선과 명나라 초기까지 지속된다. 이러한 면면한 전통이 오늘날 Korean waves의 바탕이 된 것은...
425.
지구촌을 위한 증산도 소식지 - 개벽 위클리 48호
2021.04.05,
조회 1280
[English]
[Korean-English] Gaebyeok Weekly - No.48
424.
고대 지나(支那)에서의 한류(韓流) 2
2021.04.02,
조회 2119
[9천년 역사문화]
전원철 (상생문화연구소 연구위원)
지난 번에는 고구려기와 호선무를 이야기했다. 이제 그 당시 사용된 악기와 복식은 어떠했는지 살펴보자. 《구당서》 예악지에 의하면, 고구려의 음악인과 무용수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기록해 놓았다: “고구려음악. 악공들은 새깃으로 꾸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