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종교와 도道
- 9천년 역사문화
- 지구촌 개벽소식
- 미래문명
- 건강한 삶
- 상생칼럼
- 웹툰
- English
- 기타
90개(3/9페이지)
70.
[철학에세이] 하이데거의 사랑 (1) - 사랑이 없으면
2020.09.03,
조회 1096
[상생칼럼]
하이데거는 사랑을 말했을까1) 사랑이 없으면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사랑이 없으면 나는 아무 것도 아닙니다.”
필자는 가톨릭 소속의 ‘살레시오 수도회’가 설립한 고등학교를 다녔다. 이 수도회는 성 요한 보스코(돈 보스코)가 창설한 단체로서 가난하고 어려운...
69.
터키인들의 뿌리 오구즈
2020.08.27,
조회 1906
[상생칼럼]
터키인들의 뿌리 오구즈
상생문화연구소 김현일 연구위원
돌궐 제국은 한 때는 몽골 초원으로부터 중앙아시아를 거쳐 카스피 해 연안까지 지배한 대제국이었다. 그러나 돌궐 제국은 6세기 중반에서부터 8세기 중반까지 200년을 넘기지 못했다.
그것도 659년부터 682년까지...
68.
한시의 고향을 찾아서 (4) - 야망野望
2020.08.20,
조회 1700
[상생칼럼]
왕적王績의 「들을 바라보며(야망野望)」
상생문화연구소 원정근
【제목풀이】
이 시의 제목은 「야망野望」이다. ‘야망’은 들판을 바라본다는 뜻이다. 왕적王績(590?-644)은 수당의 교체기에 생존했다. 자는 무공無功이고 호는 동고자東皐子이며 강주絳...
67.
뮤지컬에 대하여 (1)
2020.08.11,
조회 1355
[상생칼럼]
뮤지컬에 대하여 (1)
상생문화연구소 한봉규 연구위원 (불문학박사)
공연 예술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인류와 함께 발전해왔다. 공연 예술 중에서도 요즘 들어 성공을 거두고 있는 공연예술로는 뮤지컬을 꼽을 수 있다.
노래, 춤, ...
66.
중국의 소수민족 (3) :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2020.08.07,
조회 1665
[상생칼럼]
중국의 소수민족 (3) :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
상생문화연구소 김선주 연구위원
중국의 역사는 다수민족인 한족漢族과 소수의 이민족異民族 사이에 벌어진 지배와 통치의 교체사라고 볼 수 있다.
현재 소수민족 상태로 생활하고 있는 민족의 대부분은 원래 ...
65.
에소테릭 하이데거?!(3) - 해명 - 발현發現(Ereignis)
2020.08.05,
조회 1178
[상생칼럼]
에소테릭(esoteric) 하이데거?! 3
해명 - 발현發現(Ereignis)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5) 해명 - 발현
하이데거에서 시원적이며 본래적인 존재는 숨김과 망각의 은닉으로부터 스스로 그 자신을 열어 밝히는 발현의 사건을 의미한...
64.
에소테릭 하이데거?!(2) - 이성이 발언하면 사유는 침묵한다
2020.07.30,
조회 1464
[상생칼럼]
에소테릭(esoteric) 하이데거?! 2
이성이 발언하면 사유는 침묵한다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2) 존재는 비-근거(Ab-grund)인 심연深淵(Abgrund)
하이데거가 말하는 존재는 우리를 둘러싸고 우리가 이렇게 저렇게 관계 맺는 ...
63.
에소테릭 하이데거?!(1) - 난해하지만 매혹적인
2020.07.29,
조회 1435
[상생칼럼]
에소테릭(esoteric) 하이데거?! 1. 난해하지만 매혹적인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에소테릭 하이데거?!’란 제목으로 다루려는 얘기는 하이데거에 관한 한 가장 먼저 꺼내도 좋은, 아니 꺼냈어야 할 주제가 아닌가 싶다. ‘에소테릭’(비의적秘儀...
62.
‘의열단 창단 제101주년’을 앞두고 (2)
2020.07.28,
조회 1147
[상생칼럼]
항일무력투쟁의 아방가르드 ‘의열단 창단 제101주년’을 앞두고 2
상생문화연구소 정원식 연구위원
(본 칼럼은 2019년 11월 9일 경향신문에 필자가 기고했던 것을 대폭 수정 보완)
‘약산 김원봉 지휘 하에 일사분란한 작탄활동 전개’
1920년 3...
61.
[빅히스토리] 종교로 보는 문명의 발자취
2020.07.27,
조회 2303
[상생칼럼]
본부 교육포교원 박덕규
고대의 종교는?
고대에 족속과 부족 단위의 원시종교는 토템이었습니다. 곰과 호랑이, 개, 돼지, 말, 새 등 토템은 씨족과 혈통을 상징하고 단군조선과 부여의 오가五加, 고구려의 오부제 등에 남았습니다.
하늘의 상제님과 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