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대선 | 2024.11.03 11:23 | 조회 772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10월 10일 저녁 유튜브 ‘민음사TV’의 노벨문학상 현장 라이브에 나온 출판사 직원 3인은 전원 ‘해외 문학’ 담당자였다. 지역·성별 안배를 고려해 그들이 유력 후보로 꼽은 작가는 중국의 찬쉐, 일본의 다와다 요코, 캐나다의 앤 카슨 등이었다. 발표자의 입에서 ‘한강’의 이름이 불리는 순간 방송 사고인 듯 모두가 얼어붙었다. ‘한국 문학’ 담당은 참석조차 하지 않은 생중계, “(수상작을 펴낸 출판사 직원들은) 퇴근하다가 다시 회사에 돌아가고 있겠다”고 농담 아닌 농담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 ‘K컬처’를 둘러싼 기류가 심상찮기는 했으나 아무도 ‘감히’ 한국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까지는 기대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거대한 폭풍과 같다. 소설가 한강의 아시아 여성 최초, 한국 첫 노벨문학상 소식은 문학계를 넘어 한국 사회를 강타했다. 가장 빠른 시간에 가장 많은 책이 팔리며 (몇몇) 출판사와 (대형) 서점과 인쇄소들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마땅히 축하할 일이다. 작가 개인의 영광인 동시에 한국 문학의 큰 성취가 아닐 수 없다. “원어로 노벨문학상 수상작을 읽을 수 있게 되었다!”는 말이야말로 언어 공동체로서 우리가 함께 누리는 감격의 표현이다.

열광한 군중의 시간은 지나지 않았지만, 폭풍 한가운데서 맞닥뜨린 특이점들은 기록해 둠직하다. 어떤 사건에도 반응 속도와 양상이 남다른 한국 사회이기에, 월평균 독서량 0.8권으로 세계 최하위권에 속한 국민들이 갑자기 서점으로 몰려가 전작(全作)주의자가 되는 것은 놀랍지 않다. 다만 몇몇을 제외한 다수 출판사들은 존폐의 위기에 놓여 있고, 대형 서점을 제외한 지역의 작은 서점들은 물이 들어와도 맨땅에서 노를 젓는 처지였으며, 앞선 원고들까지 밀쳐두고 밤샘 작업을 하는 인쇄소들이 사양산업에서 벗어나기 어렵다는 현실은 변함없다. 중장기적인 효과를 믿어 보고 싶지만 메말라 사막 같은 문학과 출판에서 낙수효과를 기대하기란 쉽지 않다.

수상작의 내용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당황스럽다. 수상자와 나의 스승이었던 마광수에 대한 ‘마녀사냥’과 이문열의 책에 대한 ‘분서갱유’가 진영을 넘어선 야만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것은 좌우의 문제가 아니다. 역사 왜곡과 표현의 선정성에 대한 비판은 문학에 대한 오해와 소설에 대한 몰이해에서 비롯된다. 안타깝게도, 당신이 불편한 바로 그 지점부터 문학이다. 위로가 될지 모르겠지만, 친일 논란이 있는 인촌상을 비롯해 현대·삼성 등 재벌 기업이 주는 상을 받은 작가에게 좌파 운운은 어불성설이다. 그 와중에 동인문학상은 후보에만 오르고 ‘다행히’ 수상하지 못했다는 반대 진영의 변명은 실소를 자아낸다. (문장으로 적어놓고 보니 얼마나 시시하고 쩨쩨한가!? 한국 문학과 작가들은 그렇게 얄팍하지 않다) 운동적 경험과 상관없이 ‘그 시절’에 머물러 있는 역사의식이 일견 아쉽다 해도, 그 또한 왕관의 무게와 함께 수상자가 감당하며 숙고할 일이다.

                                                              <참고문헌>

  1. 김별아,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조선일보, 2024.11.1일자. A31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484개(4/99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238749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401531 2018.07.12
1437 [역사공부방]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대선 738 2024.11.07
1436 [역사공부방]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대선 702 2024.11.06
1435 [역사공부방] 광복회 시국선언 대선 788 2024.11.06
1434 [역사공부방]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대선 858 2024.11.06
1433 [역사공부방]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대선 822 2024.11.05
1432 [역사공부방]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대선 828 2024.11.05
1431 [역사공부방]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대선 808 2024.11.05
>>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대선 773 2024.11.03
1429 [역사공부방]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대선 836 2024.10.31
1428 [역사공부방]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대선 900 2024.10.29
1427 [역사공부방]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대선 816 2024.10.29
1426 [역사공부방]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대선 863 2024.10.29
1425 [역사공부방] 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대선 913 2024.10.29
1424 [역사공부방]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과 유럽이 휩쓸까 사진 대선 974 2024.10.29
1423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대선 887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