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실력양성론 등 민족운동 정신 다져
밀러, 도산 美 유학길도 직접 도와
국내에 학교 세워 근대 교육 ‘앞장’
1894년 서울 정동 골목을 지나던 한 16세 청년이 금발 선교사에게 전단을 한 장 건네받았다. 먹여 주고 재워 주면서 공부도 가르쳐 준다는 내용에 솔깃한 청년은 선교사가 안내한 학당에 입학했다. 서구 문화와 신학문을 배우며 넓은 세계에 눈뜬 청년은 어려움에 부닥친 조국을 구하기 위한 민족의식을 다져 갔다. 독립운동가이자 대표적 민족운동 지도자인 안창호(1878~1938·대한민국장)의 이야기다.
그리고 청년 안창호를 배움의 길로 이끈 이가 학당 교사이자 선교사인 프레더릭 밀러(1866~1937·한국명 민노아)였다.
밀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출신의 북장로교 선교사로 1892년 한국에 왔다. 1937년까지 45년간 한국에서 선교 활동을 하며 특히 ‘충청 선교의 아버지’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초기 12년간 서울에 머물며 안창호와 깊은 인연을 이어 갔다.
안창호를 처음 만난 때에 밀러는 연세대 설립자인 선교사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1859~1916)가 세운 고아원 겸 교육기관인 구세학당(언더우드학당) 교사였다. 학당은 1905년 그가 교장을 맡은 뒤 경신학교로 바뀌었다.
댓글 0개
| 엮인글 0개
1,484개(4/99페이지)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 관리자 | 238716 | 2023.10.05 | |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 환단스토리 | 401508 | 2018.07.12 | |
1437 | [역사공부방]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 대선 | 738 | 2024.11.07 |
1436 | [역사공부방]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 대선 | 702 | 2024.11.06 |
1435 | [역사공부방] 광복회 시국선언 | 대선 | 788 | 2024.11.06 |
1434 | [역사공부방]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 대선 | 857 | 2024.11.06 |
1433 | [역사공부방]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 대선 | 822 | 2024.11.05 |
>> | [역사공부방]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 대선 | 828 | 2024.11.05 |
1431 | [역사공부방]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 대선 | 808 | 2024.11.05 |
1430 |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 대선 | 772 | 2024.11.03 |
1429 | [역사공부방] 석오 이동녕 선생 | 대선 | 836 | 2024.10.31 |
1428 | [역사공부방]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 대선 | 900 | 2024.10.29 |
1427 | [역사공부방]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 대선 | 816 | 2024.10.29 |
1426 | [역사공부방]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 대선 | 863 | 2024.10.29 |
1425 | [역사공부방] 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 대선 | 913 | 2024.10.29 |
1424 | [역사공부방]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과 유럽이 휩쓸까 | 대선 | 973 | 2024.10.29 |
1423 |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의 교훈 | 대선 | 887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