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시국선언

대선 | 2024.11.06 04:44 | 조회 788


                                                           광복회 시국선언


  광복회는 5일 대한민국이 흔들리고 있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인적 쇄신을 포함한 국정 전반에 대한 쇄신을 요구했다.

  광복회는 먼저 현 상황에 대해 “최근 여야 정치권의 타협정신이 사라지고 윤석열 정부의 정책 실종이 지도자의 리더십 위기에 맞물려 ‘대한민국호(號)’가 흔들리고 있다”고 규정했다.

  이어 “이대로 가다가는 독립선열들이 피 값으로 되찾은 이 나라가 작은 충격에도 좌초되지 않을까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며 “민생은 강퍅해지고 의료대란으로 인해 국민들의 안전은 담보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친일교육을 심으려는 뉴라이트 학자들의 농단도 심화돼 일선의 교육정책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남과 북은 치킨게임을 벌이듯 강대강의 극한 대치로만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광복회는 계속해서 “한미일 편향외교가 부른 북중러 연대로 인해 자칫 우크라이나 전쟁에 휘말릴 지도 모른다는 안보불안감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위기를 초래한 배경으로 윤석열 정부를 정조준하기도 했다.

광복회는 “작금의 대한민국의 위기는 어떤 상황에서도 대한민국 정체성을 지켜나가야 할 고위관계자들의 천박한 역사인식과 국민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친일편향의 인사와 정책에서 비롯됐다”며 “‘일본의 마음’을 먼저 헤아린 일련의 정책들이 지도자들의 잘못된 처신과 맞물려 국정의 난맥상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결국은 세계무대에서 주요국 역할을 해내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서 국정동력마저 떨어뜨렸다”며 “저희 가슴을 더욱 아프게 하는 것은 고위 공직자들이 선택하는 정책들이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을 무색하게 해왔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광복회는 계속해서 “‘일제시기 우리의 국적이 일본’이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을 독립정신을 고양하라고 그 책임자에 앉히고, 식민 지배시기 ‘우리가 무슨 나라가 있었냐’고 큰 소리 치는 정부 고위관계자들, 독립군-광복군-국군이라는 자랑스런 군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자들이 더 이상 해당하는 자리에 앉아 있어서는 안된다”면서 “단순히 일본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해주는 일일 뿐만 아니라 목숨과 전 재산을 걸고 독립운동을 한 선열들을 모욕하는 진실 된 역사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 “대한민국의 독립은 연합국의 승리만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다. 우리 선열들이 목숨을 바쳐 나라의 주권을 찾아 왔고 그 희생과 헌신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가능케 했다”며 “이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부정하는 일은 독립운동가들과 그 후손들에 대한 배신이자, 민족적 배신”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친일교육을 심으려는 뉴라이트 학자들의 농단도 심화돼 일선의 교육정책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남과 북은 치킨게임을 벌이듯 강대강의 극한 대치로만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 용산 내 안보·교육 책임자 등 인적 쇄신을 포함한 국정 전반을 쇄신해 줄 것을 선열 독립정신의 권위로 준엄하게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광복회는 대일항쟁기와 임시정부를 이끈 독립운동 선열들도 위기가 닥칠 때마다 통합과 변화를 위해 목소리를 냈고, 때로는 파벌간 반복과 질시 속에서도 시국선언을 통해 변화와 질서를 이뤄냈다며 앞으로도 침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참고문헌>

  1.  신대원,   "광복회 시국선언, 한민국號 좌초 우려, 尹대통령 각성 촉구”, 헤럴드경제, 2024.11.6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484개(4/99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238776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401563 2018.07.12
1437 [역사공부방]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대선 738 2024.11.07
1436 [역사공부방]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대선 703 2024.11.06
>> [역사공부방] 광복회 시국선언 대선 789 2024.11.06
1434 [역사공부방]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대선 858 2024.11.06
1433 [역사공부방]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대선 823 2024.11.05
1432 [역사공부방]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대선 828 2024.11.05
1431 [역사공부방]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대선 809 2024.11.05
1430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대선 773 2024.11.03
1429 [역사공부방]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대선 838 2024.10.31
1428 [역사공부방] 노벨경제학상이 놓친 동아시아 기적의 비밀 대선 900 2024.10.29
1427 [역사공부방] 가야산 병풍 삼은 서산무형유산의 향연 대선 816 2024.10.29
1426 [역사공부방] 한글문화수도 세종서 즐기는 '한글 놀이'로 즐겨요 대선 863 2024.10.29
1425 [역사공부방] 잊힌 독립투사 김경천의 삶 소설 ‘연해주’로 쓴 송호근 교수 사진 대선 913 2024.10.29
1424 [역사공부방]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과 유럽이 휩쓸까 사진 대선 974 2024.10.29
1423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의 교훈 사진 대선 887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