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왕궁리유적

대선 | 2024.06.01 00:53 | 조회 3786

                        익산 왕궁리유적

백제의 부흥·번영 꿈꾸며 천도를 단행했던 무왕의 숨결이 남아 있는 공간
광활한 대지 고즈넉한 분위기 일품…바쁜 일상 속 쉼과 휴식·힐링 안성맞춤
첨단기술 활용 다양한 전시·체험 프로그램 제공하는 백제왕궁박물관도 인기

image
익산 왕궁리유적 야간 경관/사진=송승욱 기자

세계유산인 익산 왕궁리유적은 백제 무왕 시기에 조성돼 그 규모와 성격이 밝혀진 우리나라 유일의 고대 궁궐 유적이다. 역사적 사료 속에 보이는 7세기의 한반도는 격동의 시기였다. 그 한가운데 백제 무왕이 있다. 격동의 세월 속에서 백제의 부흥과 번영을 꿈꾸며 무왕이 천도를 단행했던 곳, 임금으로서 백성과 나라의 안위를 살피며 부활의 발판으로 삼으려 했던 곳. 그곳이 바로 익산 왕궁리유적(백제왕궁)이다. 왕궁리유적은 익산 용화산에서 뻗어 내린 능선의 남측 끝부분 해발 40m 내외의 구릉에 위치하고 있다. 21만 8155㎡(약 6만 5991평)에 달하는 너른 부지에 1400년 전 백제의 다양한 유적과 유물들이 광활하게 펼쳐져 있는 이곳은 오랜 기간 발굴조사 등을 거쳐 이제는 누구나 가볼 수 있다. 특히 고즈넉한 분위기가 일품으로, 바쁜 일상에 잠시나마 명상이나 사색에 잠겨 쉼과 휴식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인 공간이다. 한 시대를 풍미했을 중심지로서의 영광, 그리고 수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는 유적과 유물들에 한 발 가까이 다가간다면, 1400년 전 백제 무왕의 숨결을 느끼며 따라 걸을 수 있는 길을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image
벚꽃이 만개한 익산 왕궁리유적/사진 제공=익산시
image
벚꽃이 만개한 익산 왕궁리유적/사진 제공=익산시
image
올해 1월 1일 백제왕궁 해맞이 행사 일출 장면/사진=송승욱 기자
image
올해 1월 1일 백제왕궁 해맞이 행사/사진=송승욱 기자
image
익산 왕궁리유적 일몰 경관/사진 제공=익산시
image
익산 왕궁리유적 설경/사진 제공=익산시

사계절 내내 고즈넉한 풍광 ‘매력만점’

왕궁리유적은 사계절 내내 고즈넉하고 아름다운 풍광이 매력적이다.

특히 봄 벚꽃철은 왕궁리오층석탑과 어우러진 벚꽃의 환상적인 자태를 담기 위해 전국의 사진작가들이 모여드는 출사 포인트다.

아울러 일몰이 아름다운 곳으로 입소문을 타며 가족, 연인 단위 방문객들의 발걸음이 끊임없이 이어지기도 한다.

 

또 각종 축제와 행사 때마다 구름 인파가 몰리고, 해마다 해돋이를 즐기기 위해 찾는 이들도 늘고 있는 추세다.

있는 그대로의 모습 자체가 더할 나위 없이 매력적인데다, 익산시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노력이 더해지면서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

특히 세계문화유산의 우수성과 가치, 고즈넉한 주간 풍광과 곳곳을 수놓은 형형색색의 야간 경관, 다채롭고 알찬 프로그램, 방문객들의 편의를 위한 철저한 준비와 세심한 배려 등이 한데 어우러지면서 고품격 관광 명소로 인기를 끌고 있다는 평가다.

문화체육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주관한 ‘2023~2024년 한국관광 100선’에 최종 선정된 바 있는 왕궁리유적에 가면 왕궁리오층석탑이 그 당당한 위용을 뽐내며 오랜 시간 동안 변함없이 든든하게 왕궁을 지키고 있다.

이와 함께 깔끔하게 정리돼 안내판까지 설치된 대형 건물지와 사찰 구역, 석탑 뒤로 금당지와 강당지, 넓은 후원과 대형화장, 공방 구역까지 곳곳의 유적이 그 모습을 드러내며 백제왕궁의 축조 과정과 왕궁에서의 생활을 생생하게 증언해 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시는 매년 문화재(유산) 야행을 비롯해 백제왕궁 천년별밤캠프, 주말 백제왕궁 달빛 공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덕분에 백제왕궁을 찾은 이들은 곳곳에서 이색 체험을 하고 인생 사진을 찍는 등 소중한 추억을 남기며 1400년 전 백제로의 시간여행을 만끽할 수 있다.

image
익산 문화재야행 왕궁리오층석탑 탑돌이 프로그램/사진 제공=익산시
image
익산 문화재야행 백제왕궁 달빛 기원 소원등 날리기/사진 제공=익산시
image
익산 문화재야행 소원 연꽃 띄우기/사진 제공=익산시

다양한 체험을 하고 싶다면 ‘백제왕궁박물관’

고즈넉한 분위기의 왕궁터에서 힐링을 했다면 다양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는 백제왕궁박물관을 추천한다.

기존 왕궁리유적전시관을 새단장해 지난 2022년 8월 문을 연 백제왕궁박물관은 VR과 홀로그램 등 첨단 기술로 백제왕궁과 유적·유물을 재현하고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ICT 활용 스마트 박물관이다.

백제왕궁을 보다 쉽게 접하고 이해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가족이나 친구, 연인 단위 방문객들이 다양한 체험과 휴식을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입구에 들어서면 먼저 왼쪽의 백제왕궁실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이곳에서는 백제왕궁에 담긴 당시 백제 중흥에 대한 무왕의 꿈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백제왕도로서의 익산의 과거·현재·미래는 물론 백제 무왕의 익산 천도설이 기록돼 있는 관세음응험기 전문을 비롯해 백제시대 건물 축조와 왕궁의 생활, 왕궁에서 사찰로의 변화 등이 알기 쉽게 설명돼 있다.

방문객 동선을 고려해 주제별 안내가 이뤄지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직접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대별로 이뤄지는 문화해설사의 도움 없이도 백제왕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ICT 기술을 적극 활용해 방문객들의 이해도 제고와 흥미 유발에 중점을 뒀다.

무빙 디오라마(배경을 두고 축소 모형을 설치해 역사적 사건 등 특정한 장면을 만들거나 배치하는 것)나 3면 영상을 통한 입체감 부각, 왕궁리유적 드론 촬영 영상 송출, 국립익산박물관에 있는 왕궁리오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를 홀로그램으로 표출, 첨단 센서를 통해 화장실 체험 연출, 비눗방울 터치 게임을 통한 유적·유물 안내, 벽면 활용 포토존 구성 등이 대표적이다.

상설전시실에서 나와 가상체험관으로 이동하는 구간은 전면 유리창으로 탁 트인 느낌을 준다.

특히 전북지역 최초로 신설된 개방형 수장고는 시민들이 접하기 어려운 문화재의 보관 방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교육공간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넓은 로비를 지나 2층으로 올라가는 길은 나무 계단으로, 각종 도서와 휴식 공간으로 조성됐다.

2층에는 과거 백제왕궁 정원 시설을 재현해 실제로 물이 흐르는 백제정원실, 영상 상영실, 백제 토기 만들기, 백제 의복 입고 사진 찍기 등을 할 수 있는 VR 체험 공간, 홀로그램 상영관 등으로 조성돼 있다.

또 옥상에는 너른 왕궁리유적을 관망할 수 있는 전망대, 박물관 외부에는 기와를 활용해 조성한 휴게 공간이 마련돼 있다.

백제왕궁박물관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전시 및 체험 프로그램은 백제왕궁박물관 누리집(https://www.iksan.go.kr/wg)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image
백제왕궁박물관 전경/사진 제공=익산시
image
백제왕궁박물관 로비/사진 제공=익산시
image
백제왕궁박물관 로비 및 2층 계단/사진=송승욱 기자
image
백제왕궁박물관 개방형 수장고/사진=송승욱 기자
image
백제왕궁박물관 상설전시실 무빙 디오라마/사진=송승욱 기자
image
홀로그램으로 표출된 왕궁리오층석탑 출토 사리장엄구/사진=송승욱 기자
image
백제왕궁박물관 홀로그램 상영관/사진=송승욱 기자
                                                                              <참고문헌>
  1. 송승욱, "1400년 전 백제왕궁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대전일보, 2024..5.31일자. 10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505개(5/101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397120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561395 2018.07.12
1443 [역사공부방] 순국선열의 날도 반쪽… 광복회 별도 행사열 것 사진 대선 1641 2024.11.10
1442 [역사공부방] 옛 선비 윤기의 ‘빈부설’ 대선 1514 2024.11.10
1441 [역사공부방] 윌리엄 전킨과 유니온신학교 사진 대선 1786 2024.11.09
1440 [역사공부방] 근대적 시간 관념 사진 대선 1575 2024.11.08
1439 [역사공부방] 인문학의 위기, 무엇이 문제인가 대선 1820 2024.11.08
1438 [역사공부방] K-문학 세계화와 ‘번역 예산’ 역주행 대선 1798 2024.11.07
1437 [역사공부방] 늑천 송명흠의 삶과 문학 대선 1500 2024.11.07
1436 [역사공부방] 톨스토이문학상 수상 재미소설가 김주혜 이야기 대선 1915 2024.11.06
1435 [역사공부방] 광복회 시국선언 대선 1820 2024.11.06
1434 [역사공부방] 6·10만세운동 이끈 사회주의자 권오설 ‘역사적 복권’을 사진 대선 1844 2024.11.06
1433 [역사공부방] 청주대 출신 대표 인물 소개 대선 1721 2024.11.05
1432 [역사공부방] 도산 안창호를 민족운동 지도자로 키운 프레더릭 밀러 선교사 사진 대선 1814 2024.11.05
1431 [역사공부방] 노년에 생각하는 삶의 계산서 대선 1861 2024.11.05
1430 [역사공부방] 노벨문학상이라는 폭풍, 그 너머 대선 1537 2024.11.03
1429 [역사공부방] 석오 이동녕 선생 사진 대선 1570 2024.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