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시국선언

대선 | 2024.11.06 04:44 | 조회 3255


                                                           광복회 시국선언


  광복회는 5일 대한민국이 흔들리고 있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인적 쇄신을 포함한 국정 전반에 대한 쇄신을 요구했다.

  광복회는 먼저 현 상황에 대해 “최근 여야 정치권의 타협정신이 사라지고 윤석열 정부의 정책 실종이 지도자의 리더십 위기에 맞물려 ‘대한민국호(號)’가 흔들리고 있다”고 규정했다.

  이어 “이대로 가다가는 독립선열들이 피 값으로 되찾은 이 나라가 작은 충격에도 좌초되지 않을까 우려도 깊어지고 있다”며 “민생은 강퍅해지고 의료대란으로 인해 국민들의 안전은 담보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 “친일교육을 심으려는 뉴라이트 학자들의 농단도 심화돼 일선의 교육정책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남과 북은 치킨게임을 벌이듯 강대강의 극한 대치로만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광복회는 계속해서 “한미일 편향외교가 부른 북중러 연대로 인해 자칫 우크라이나 전쟁에 휘말릴 지도 모른다는 안보불안감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위기를 초래한 배경으로 윤석열 정부를 정조준하기도 했다.

광복회는 “작금의 대한민국의 위기는 어떤 상황에서도 대한민국 정체성을 지켜나가야 할 고위관계자들의 천박한 역사인식과 국민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친일편향의 인사와 정책에서 비롯됐다”며 “‘일본의 마음’을 먼저 헤아린 일련의 정책들이 지도자들의 잘못된 처신과 맞물려 국정의 난맥상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결국은 세계무대에서 주요국 역할을 해내야 하는 중대한 시점에서 국정동력마저 떨어뜨렸다”며 “저희 가슴을 더욱 아프게 하는 것은 고위 공직자들이 선택하는 정책들이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 독립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들의 희생을 무색하게 해왔다는 점”이라고 꼬집었다.

광복회는 계속해서 “‘일제시기 우리의 국적이 일본’이라는 생각을 가진 사람을 독립정신을 고양하라고 그 책임자에 앉히고, 식민 지배시기 ‘우리가 무슨 나라가 있었냐’고 큰 소리 치는 정부 고위관계자들, 독립군-광복군-국군이라는 자랑스런 군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자들이 더 이상 해당하는 자리에 앉아 있어서는 안된다”면서 “단순히 일본의 식민지배를 정당화해주는 일일 뿐만 아니라 목숨과 전 재산을 걸고 독립운동을 한 선열들을 모욕하는 진실 된 역사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 “대한민국의 독립은 연합국의 승리만으로 얻어진 것이 아니다. 우리 선열들이 목숨을 바쳐 나라의 주권을 찾아 왔고 그 희생과 헌신이 오늘의 대한민국을 가능케 했다”며 “이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고 부정하는 일은 독립운동가들과 그 후손들에 대한 배신이자, 민족적 배신”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친일교육을 심으려는 뉴라이트 학자들의 농단도 심화돼 일선의 교육정책이 흔들리고 있다”면서 “남과 북은 치킨게임을 벌이듯 강대강의 극한 대치로만 이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국민의 자존감을 회복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되찾기 위해 용산 내 안보·교육 책임자 등 인적 쇄신을 포함한 국정 전반을 쇄신해 줄 것을 선열 독립정신의 권위로 준엄하게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광복회는 대일항쟁기와 임시정부를 이끈 독립운동 선열들도 위기가 닥칠 때마다 통합과 변화를 위해 목소리를 냈고, 때로는 파벌간 반복과 질시 속에서도 시국선언을 통해 변화와 질서를 이뤄냈다며 앞으로도 침묵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참고문헌>

  1.  신대원,   "광복회 시국선언, 한민국號 좌초 우려, 尹대통령 각성 촉구”, 헤럴드경제, 2024.11.6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11개(5/10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12761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79204 2018.07.12
1549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부. 6대 구을리 환인 구영탄 223 2025.06.28
1548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부. 5대 환인 석제임 구영탄 220 2025.06.28
1547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5부. 주우양 환인 구영탄 230 2025.06.27
1546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4부. 3대 고시리 환인 구영탄 249 2025.06.27
1545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3부. 2대 혁서 환인 구영탄 229 2025.06.27
1544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2부. 1대 환인 안파견 구영탄 246 2025.06.27
1543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1부. 인류 시초 모악산 구영탄 238 2025.06.27
1542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한국전쟁 75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국가기념식 현황 대선 278 2025.06.26
1541 [역사공부방] 참혹했던 6·25 전쟁… 90대 참전용사들의 소원 출처 : 강원도민일보 대선 357 2025.06.23
1540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제70회 현충일을 추념하며 대선 625 2025.06.09
1539 [역사공부방] 이재명 대통령 제70회 현충일 추념사 전문 대선 694 2025.06.06
1538 [역사공부방] 이재명 대통령 취임사 전문 대선 692 2025.06.04
1537 [역사공부방] 세종시, 한글문화도시 비전 발표 [출처] 세종시, 한글문화도시 비전 발표 사진 대선 797 2025.06.02
1536 [역사공부방] 세종시 3년간 200억원 들여 '한글 문화도시' 만든다 사진 대선 835 2025.06.01
1535 [역사공부방] 세종시 ‘한글문화도시센터’ 문 열고 관련사업 본격시동 대선 836 2025.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