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공부방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대선 | 2024.10.12 13:55 | 조회 2124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는 영국 고등교육평가 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가 발표한 ‘2025 THE 세계대학평가’에서 국내 7위, 세계 200-251위에 올랐다.

THE 세계대학평가는 수업·연구·영향력·국제 전망 등을 바탕으로 엄격한 기준을 적용해 세계적으로 높은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세종대는 작년에 비해 국내 순위에서는 한 계단 상승한 7위, 세계 순위에서는 251-300위에서 201-250위로 상승했다.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이번 평가에서도 세종대는 연구품질 부문에서 압도적인 실력을 보였다. 논문의 질적 우수성을 반영하는 논문 피인용 항목이 포함된 연구품질 부문에서 94.3점을 받아 국내 대학 중 유일하게 90점대 점수를 받았다. 순위에서도 작년에 비해 세 계단 상승한 세계 55위, 국내 순위는 작년에 이어 2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세종대 교수진의 우수한 연구력이 또다시 국내외적으로 입증된 것이다.

세종대는 우수한 교원을 채용하기 위해서 학연과 지연을 철저히 배제하고 오직 논문 업적, 연구 과제, 경력 등을 중심으로 평가한다. 수년간 논문의 양적인 성장과 함께 질적 성장을 위해 상위 학술지 게재논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왔다. 또한 교수들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지원하고 전 세계 최고 교수진과의 국제 공동 연구를 적극 장려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논문의 수준으로 세계대학을 평가하는 ‘2024 라이덴대학평가’에서 2년 연속 국내 1위에 오르는 성과를 이뤄냈다.

세종대는 △외국인 교수 비율 △국제 공동연구 △외국인학생 비율 △교환학생 등의 지표가 포함된 국제화 부분에도 국내 2위를 기록해 대학의 국제화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엄종화 총장은 “우리 대학이 유수의 세계대학평가에서 좋은 성과를 받을 수 있었던 건 우수한 교수진의 연구력과 이를 뒷받침한 행정적 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연구 환경을 개선하고,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확장해 우리 대학의 연구 수준을 계속해서 높여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THE 세계대학평가는 전 세계 115개국, 2092개 대학을 평가하여 순위를 선정했다. △교육여건 29.5% △연구환경 29% △연구품질 30% △국제화 7.5% △산학협력 4% 등 5개 평가 항목으로 세부 항목 포함 총 18개 지표에 대한 평가를 매년 진행하고 있다.

                                                   <참고문헌>

  1. 김승현,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조선비즈, 2024.10.11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498개(7/100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353942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517331 2018.07.12
1406 [역사공부방] 『통합정치와 리더십』에서 경합과 협치의 정치 방안 모색 사진 대선 1929 2024.10.13
1405 [역사공부방] 육영수 여사와의 추억 대선 1732 2024.10.13
1404 [역사공부방]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사진 대선 1950 2024.10.13
1403 [역사공부방] 체제 이완 징후 있으나 김정은의 통제권 아직은 견고 대선 1925 2024.10.12
1402 [역사공부방] 고려 남경은 어떻게 조선의 서울이 됐나 대선 2169 2024.10.12
>> [역사공부방]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대선 2125 2024.10.12
1400 [역사공부방] 한국계 미국 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 20여년 만 한인 첫 수상 대선 2146 2024.10.12
1399 [역사공부방] 소설가 한강,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 사진 대선 1971 2024.10.11
1398 [역사공부방] &lt;특별기고&gt; 제578돌 한글날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대선 2136 2024.10.10
1397 [역사공부방] 2024년 노벨 화학상’ 베이커·허사비스·점퍼 공동수상 사진 대선 1937 2024.10.10
1396 [역사공부방]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발표 대선 2130 2024.10.09
1395 [역사공부방] 서붕 박병배 선생 저서 국가유지론 재발간 사진 대선 2010 2024.10.09
1394 [역사공부방] 임금 향한 충절만큼이나 한글 사랑했던 사육신 성삼문의 충절과 한글사랑 대선 2090 2024.10.09
1393 [역사공부방] 세종시의 ‘뿌리’ 한글 널리 알릴 축제 열린다 사진 대선 2337 2024.10.09
1392 [역사공부방] 노벨 생리의학상에 '마이크로RNA 발견' 美앰브로스·러브컨 사진 대선 2168 202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