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공부방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대선 | 2024.10.13 01:44 | 조회 1926

    청의 간섭에도 美 공사관에 태극기 걸며 '자주 외교' 펼쳤죠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옛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은 1889년부터 1905년까지 조선의 외교 활동 공간이었어요. 왼쪽 사진은 19세기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돼요. 건물은 이후 일반 주택 등으로 사용됐어요. 오른쪽 사진은 2012년 우리 정부가 건물을 매입해 옛 형태로 복원한 모습이에요. /국가유산청
미국 워싱턴 DC에 있는 옛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은 1889년부터 1905년까지 조선의 외교 활동 공간이었어요. 왼쪽 사진은 19세기에 촬영한 것으로 추정돼요. 건물은 이후 일반 주택 등으로 사용됐어요. 오른쪽 사진은 2012년 우리 정부가 건물을 매입해 옛 형태로 복원한 모습이에요. /국가유산청

최근 미국의 수도 워싱턴DC에 있는 옛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에서 동판 제막식이 열렸어요. 이 건물이 미국의 국가 사적지로 등재된 것을 기념하는 행사였습니다.

이 건물은 1889년 2월부터 조선의 주미 공관으로 활용됐고, 1905년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잃기까지 16년 동안 조선과 대한제국(1897~1910)이 외교 활동을 하던 공간이었습니다. 우리 정부는 2012년 이 건물을 사들여 보수와 복원 공사를 마친 뒤 2018년 5월 역사전시관으로 다시 문을 열었습니다. 조선과 미국은 언제부터 어떻게 외교 관계를 맺게 됐던 걸까요?

                  불행했던 첫 접촉

다른 서양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19세기 미국은 원래 한반도에 큰 관심이 없었습니다. 1834년(순조 34년) 미국이 아시아 지역에 파견한 에드먼드 로버츠 특사가 보고서에서 조선의 존재를 알리며 ‘장차 이 나라와 교역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지만 그 뒤로 별다른 조치가 있진 않았죠.

미국을 미리견(彌利堅·’아메리칸’을 한자로 적은 것)이라 불렀듯이 조선도 미국의 존재를 알고는 있었습니다. 그러나 1863년 고종이 즉위한 뒤 친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이 집권하며 ‘서양과는 통상을 거부한다’는 쇄국 정책을 펼쳤어요. 1866년 무장한 미국 상선이 대동강을 거슬러 올라가며 행패를 부리다 평양 관민(官民)에 의해 침몰된 ‘제너럴 셔먼호 사건’이 일어났습니다.

1871년 신미양요 당시 미군이 조선군에게서 빼앗은 어재연 장군기(수자기)의 모습이에요. 당시 미국은 강화도를 침공해 조선의 개항을 압박했죠. /위키피디아
1871년 신미양요 당시 미군이 조선군에게서 빼앗은 어재연 장군기(수자기)의 모습이에요. 당시 미국은 강화도를 침공해 조선의 개항을 압박했죠. /위키피디아

이 사건을 빌미로 1871년 미국은 조선을 개항시키기 위해 군함 5척을 출동시켰는데, 이것을 우리는 신미양요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무력을 사용하는 방식을 ‘포함(砲艦) 외교’라고 해요. 강대국이 함대를 파견해 압력을 행사하고, 유리한 조건을 얻어내는 방식입니다. 사실상 일방적인 침공에 가까운 것으로, 조선 입장에선 미국의 첫 접촉이 불행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미국은 이미 1853년 이런 방식으로 일본을 개항시킨 적이 있었습니다. 신미양요 당시 미군은 강화도 일대를 공격했고 압도적인 화력으로 조선군은 완패하고 말죠. 하지만 대원군은 항전 의지를 굽히지 않았어요. 예상치 못한 상황을 맞은 미군은 별 소득 없이 퇴각했습니다. 포함 외교의 실패였죠.

태극기 휘날리며, 역사적인 공식 수교

조선은 1876년 일본과의 강화도 조약으로 개항을 하게 됐습니다. 이어 6년 뒤인 1882년 5월 22일 조선과 미국의 조미 수호통상조약이 체결됐습니다. 정식 국교가 수립됐던 것이죠. 이때 전권부관 김홍집의 명으로 역관 이응준이 태극과 4괘로 이뤄진 태극기를 걸어 게양했는데, 이것이 박영효가 그렸다는 태극기보다 4개월 앞선 최초의 태극기였습니다.

국교 수립 과정에서 미국 측 로버트 슈펠트(1822~1895) 제독의 역할도 있었는데요. 조약을 중개한 청나라의 북양대신 이홍장이 ‘조선은 청의 속국’이라는 문구를 조약문에 넣을 것을 요구했으나, 슈펠트는 ‘조선과 청의 조공 관계는 의례적 관계일 뿐’이라며 거부했습니다.

1883년 보빙사로 파견된 민영익 일행이 당시 체스터 아서 미국 대통령에게 큰절을 올리는 모습을 현지 언론이 삽화로 보도했어요. 절에 익숙지 않은 아서 대통령을 포함해 다들 당황했대요. /주한미국대사관
1883년 보빙사로 파견된 민영익 일행이 당시 체스터 아서 미국 대통령에게 큰절을 올리는 모습을 현지 언론이 삽화로 보도했어요. 절에 익숙지 않은 아서 대통령을 포함해 다들 당황했대요. /주한미국대사관

이듬해인 1883년 조선의 수도 한성에 미국 공사관이 개설됐고, 같은 해 민영익·홍영식·서광범·유길준 등으로 이뤄진 조선 사절단이 보빙사라는 이름으로 미국에 파견됐습니다. 마침 뉴욕에 가 있던 체스터 아서 대통령을 호텔에서 접견했는데, 조선 전통 관복을 입은 사절단이 접견실에서 대통령을 보자마자 넙죽 큰절을 하는 바람에 다들 당황해했다고 합니다.

이들은 한문으로 적힌 보빙사 신임장 원본을 한글로 번역해 언론에 노출했기 때문에, 미국 신문 뉴욕헤럴드는 당시 “조선은 중국·일본과 다른 알파벳을 가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귀국한 홍영식은 고종 앞에서 미국의 교육과 국방 제도를 본받아야 한다고 역설했으나 1884년 갑신정변 때 피살됐습니다. 보빙사가 미국의 에디슨 전기회사와 조선 궁궐 내 전등 설치 주문 계약을 체결한 것은 한미 과학교류의 출발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보빙사의 일원이었던 유길준은 미국에 남아 최초의 조선인 미국 유학생이 됐습니다.

청나라의 간섭에 저항한 ‘자주 외교’

1887년 온건 개화파 인사인 박정양(1841~1905)이 초대 주미 특명전권공사에 임명돼 미국 워싱턴에 파견됐습니다. 박 공사는 미국의 조선 금광 개발 교섭을 도와주는 등의 활동을 했습니다. 여전히 조선의 종주국으로 행세하던 청나라가 ‘우리의 지시를 받으라’는 압박을 했으나, 박 공사는 이를 따르지 않고 각국 공사관을 독자적으로 순방하는 등 자주적인 외교 활동을 펼쳤습니다.

1887년 초대 주미 공사로 임명된 박정양의 사진이에요. 하지만 이듬해 박 공사는 청나라의 압력으로 채 1년도 미국에 머물지 못하고 소환되고 말죠. /위키피디아
1887년 초대 주미 공사로 임명된 박정양의 사진이에요. 하지만 이듬해 박 공사는 청나라의 압력으로 채 1년도 미국에 머물지 못하고 소환되고 말죠. /위키피디아

미국에서 외교 활동을 벌이던 박 공사가 문화적 충격을 받았다는 에피소드도 있습니다. 호텔 엘리베이터를 처음 타 보고 일행 모두 “지진이 일어났다”며 혼비백산했다고 합니다. 또 사교 파티에 참석했다가 여성들이 많은 것을 보고 “저들은 모두 기생인가?”라고 묻기도 했다고 해요. 당시 박 공사는 “저명 인사들의 아내나 딸”이란 대답을 듣고 놀랐다고 합니다. 조선에선 잔치 때 남자들 자리에 드나드는 여성은 기생이나 노비였기 때문이에요. 백악관을 방문해 보니 의외로 화려하지 않은 모습이었다고도 회고했습니다.

조선의 두 번째 외교 공관은 1889년 개설됐고, 고종은 임금이 개인적으로 쓰던 돈인 내탕금 2만5000달러를 들여 1891년 이 건물을 매입했습니다. 이곳이 최근 동판을 붙인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입니다. 이 건물에서도 태극기를 게양하는 등 자주 외교 정신을 계승했다고 합니다.

1905년 을사늑약이 체결돼 대한제국의 외교권이 박탈되자 워싱턴의 공사관은 폐쇄되고 말았습니다. 국권을 상실한 경술국치 두 달 전, 일제는 대한제국 소유의 이 건물을 단돈 5달러에 강제로 매입한 뒤 되팔았습니다. 1910년 6월입니다. 100여 년이 지나 대한민국 정부가 다시 이 건물을 사들일 때까지 그 원형이 남아 있었던 것은 무척 다행이라 하겠습니다. 한미 동맹의 역사적 초석과도 같은 문화유산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문헌>

1. 유석재, "청의 간섭에도 자주적인 대미외교 펼쳤다. ", 조선일보, 2024.10.10일자. A29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495개(7/100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350463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513669 2018.07.12
1403 [역사공부방] 체제 이완 징후 있으나 김정은의 통제권 아직은 견고 대선 1909 2024.10.12
1402 [역사공부방] 고려 남경은 어떻게 조선의 서울이 됐나 대선 2147 2024.10.12
1401 [역사공부방] 세종대, '2025 THE 세계대학평가' 국내 7위에 올라 대선 2105 2024.10.12
1400 [역사공부방] 한국계 미국 작가 김주혜, 톨스토이 문학상 20여년 만 한인 첫 수상 대선 2106 2024.10.12
1399 [역사공부방] 소설가 한강, 한국 최초로 노벨문학상 수상 사진 대선 1933 2024.10.11
1398 [역사공부방] &lt;특별기고&gt; 제578돌 한글날의 역사적 의의와 사진 대선 2107 2024.10.10
1397 [역사공부방] 2024년 노벨 화학상’ 베이커·허사비스·점퍼 공동수상 사진 대선 1906 2024.10.10
1396 [역사공부방] 2024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발표 대선 2095 2024.10.09
1395 [역사공부방] 서붕 박병배 선생 저서 국가유지론 재발간 사진 대선 1978 2024.10.09
1394 [역사공부방] 임금 향한 충절만큼이나 한글 사랑했던 사육신 성삼문의 충절과 한글사랑 대선 2067 2024.10.09
1393 [역사공부방] 세종시의 ‘뿌리’ 한글 널리 알릴 축제 열린다 사진 대선 2291 2024.10.09
1392 [역사공부방] 노벨 생리의학상에 '마이크로RNA 발견' 美앰브로스·러브컨 사진 대선 2127 2024.10.08
1391 [역사공부방] 금강산의 화가 소정 변관식 사진 대선 1894 2024.10.08
1390 [역사공부방] 2024년 노벨문학상 후보자 발표 대선 2007 2024.10.07
1389 [역사공부방] 제4356주년 개천절 경축식 개최 대선 1971 2024.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