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삶의 추억 원로시인 김광림 별세
1948년 월남 후 등단, 시집 18권출간 전후 황폐한 담은 '꽃의 반향' 호평 일본 등 세계에 한국시 알리기 힘써 이중섭과 우정, 은바기 그림 지켜내
한국 모더니즘 시의 전통을 이어온 것으로 평가받는 김광림 시인이 9일 9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고인은 생전 18권의 시집을 출간했고 한국시인협회장을 지냈다. [사진 한국시인협회]
“꽃은 꺾인 대로 화병에 담아 채우면 / 금시 향기로워 오는 / 목숨인데 / 사람은 한번 꺾어지면 / 그만 아닌가 (중략) 사람도 그만 향기로울 데만 있으면 / 담아질, 꺾이어도 좋은 / 꽃이 아닌가” (1959년 ‘사상계’에 발표한 시 ‘꽃의 반항’)
일상의 기쁨과 슬픔, 삶과 죽음의 의미를 성찰적인 시어로 노래했던 문단의 원로 김광림(본명 김충남) 시인이 9일 별세했다. 향년 95세.
1929년 함경남도 원산에서 태어난 고인은 1948년 단신으로 월남했다. 홀로 시를 습작하던 중 청록파 시인 박두진의 권유로 ‘연합신문’을 통해 시 ‘문풍지’로 등단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육군 소위로 참전하기도 했던 그는 전후인 1959년 첫 시집 『상심하는 접목』을 펴냈다.
1959년 발표한 그의 시 ‘꽃의 반항’은 꽃과 인간의 속성을 대비시키며 전쟁 후의 황폐한 내면을 담아낸 작품으로 호평받았다. 이후 그의 시들은 일상에서 느낀 다양한 감정을 해학과 풍자에 담아 대중들에게 다가갔다. 1989년 출간된 시집 『말의 사막에서』에 실린 ‘덤’에선 “나이 예순이면 / 살 만큼은 살았다 아니다 / 살아야 할 만큼은 살았다 / 이보다 덜 살면 요절이고 / 더 살면 덤이 된다 / 이제부터 나는 덤으로 산다(후략)”며 나이 드는 예술가의 회한과 다짐을 노래하기도 했다. 화가 이중섭(1916~56)과의 인연도 널리 알려져 있다. 두 사람은 해방 직후인 1947년 원산에서 만나, 화가가 작고한 1956년까지 우정을 이어갔다. 이중섭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은박지 그림’은 김광림 시인에 의해 탄생했고, 세상에 살아남았다. 그는 장교로 복무하던 시절 외출을 나올 때마다 이중섭의 요청으로 보급품 박스 속에 있던 양담배 은박지를 모아 전해줬다고 한다. 이후 예술 활동에 회의를 품은 이중섭이 “내 그림은 다 가짜”라며 모두 불살라버리라고 부탁했지만, 그는 잘 보관했다가 이후 이중섭과 같이 머물던 소설가 최태응을 통해 돌려줬다. 그는 2006년 펴낸 『진짜와 가짜의 틈새에서-화가 이중섭 생각』이란 책에 이런 두 사람의 인연을 기록하기도 했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 관리자 | 397129 | 2023.10.05 |
![]() |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 환단스토리 | 561401 | 2018.07.12 |
1503 | [역사공부방] 세월호 참사 11주기, 전국 추모행렬…"더 관심 가져야& | 대선 | 106 | 2025.04.17 |
1502 | [역사공부방] 1927년 “조선은 야만인”에 맞선 청주고의 동맹휴학 | 대선 | 191 | 2025.04.14 |
1501 |
[역사공부방] 충북민속문화연구 분야의 대부 김영진 민속학자의 학문성과
![]() |
대선 | 217 | 2025.04.13 |
1500 | [역사공부방] 한성백제 500년 역사’찾아낸 이형구 선문대 교수 | 대선 | 205 | 2025.04.13 |
1499 |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수립 제106주년을 경축하며 | 대선 | 208 | 2025.04.12 |
1498 | [역사공부방] 대한민국 상해임시정부 수립 제106주년을 경축하며 | 대선 | 207 | 2025.04.12 |
1497 | [역사공부방] <특별기고> 서해수호의 날 10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 대선 | 293 | 2025.03.30 |
1496 |
[역사공부방] 서해수호의 날 10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기념행사
![]() |
대선 | 324 | 2025.03.28 |
1495 |
[역사공부방] 울산천부경연구원
![]() |
대선 | 460 | 2025.03.27 |
1494 | [역사공부방] 안동 천년고찰 고운사 전소 | 대선 | 337 | 2025.03.27 |
1493 | [역사공부방] 계룡의 독립운동가 | 대선 | 331 | 2025.03.21 |
1492 | [역사공부방] 기미년 4.1일 아우내장터 독립만세운동 106주년을 경축하며 | 대선 | 557 | 2025.03.17 |
1491 | [역사공부방] 신상구 박사 은사 명단 | 대선 | 525 | 2025.03.14 |
1490 |
[역사공부방] 관순 열사, 아우내장터 만세운동 주도하다
![]() |
대선 | 549 | 2025.03.12 |
1489 | [역사공부방] 3.8l민주의거 65주년 기념행사 | 대선 | 426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