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춘당 송준길 이야기

신상구 | 2020.10.17 23:57 | 조회 7353

                                       동춘당 송준길 이야기 

드론으로 촬영한 동춘당 종택 주변. 앞이 동춘당이고 그 뒤가 사당인 ‘송씨별묘’이다. [사진 백종하 사진작가]

 드론으로 촬영한 동춘당 종택 주변. 앞이 동춘당이고 그 뒤가 사당인 ‘송씨별묘’이다. [사진 백종하 사진작가]

    동춘당(同春堂)은 유학자 송준길(宋浚吉‧1606~1672)의 호이자 서재 이름이다. 건물은 대전 대덕구에 있다. 동춘당 뒤쪽에는 송준길을 모신 사당 ‘송씨별묘(宋氏別廟)’가 있다. 배위(配位, 부인) 신주에는 ‘증정경부인진주정씨’로 적혀 있다. 동춘당은 이이, 김장생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였다. 그러면서도 동춘당은 당시 대제학을 지낸 영남학파 정경세의 사위가 됐다.  
    요즘으로 치면 여당과 야당의 실력자가 서로 사위와 장인이 된 것이다. 학맥으로는 기호학파와 영남학파, 정치적으로는 서인과 남인의 통혼이다. 이 무렵 서인과 남인은 냉랭한 관계였다. 정경세는 송준길을 한 번 만나보고 그 사람됨을 기특하게 여겨 딸을 시집보냈다고 한다.  
    송준길은 당시 김장생에게 수학하고 있었는데 이때부터 장인 문하도 드나든다. 동춘당은 그렇게 열려 있었다. 동춘당은 특히 학맥을 떠나 퇴계 이황을 매우 존숭했다. 그는 퇴계의 학문적 장점이 정상신밀(精詳愼密)에 있다며 퇴계를 평생 스승으로 삼았다. 동춘당은 세상을 떠나던 해 꿈속에서 퇴계를 뵙고 ‘기몽(記夢)’이란 시를 남긴다.
 

송준길의 친필 시 ‘기몽’. 1672년 동춘당이 꿈에 퇴계 이황을 만난 느낌을 시로 적은 글이다. [사진 대전시립박물관]

    송준길의 친필 시 ‘기몽’. 1672년 동춘당이 꿈에 퇴계 이황을 만난 느낌을 시로 적은 글이다. [사진 대전시립박물관]

    “평생토록 퇴계 선생 공경해 우러르니/세상 떠나셨어도 그 정신 감통했네/오늘 밤 꿈속에서 가르침 받았는데/깨어 보니 달빛만 창가에 가득하네”  
   동춘당은 주자학을 조선 성리학의 근간으로 세운 것은 이황과 이이로 이해했다. 『국역 동춘당집』의 해제를 쓴 이봉규 인하대 교수는 “그는 학문적으로 이황을 가장 존중했지만 이기(理氣) 등 주요 학설은 이이 입장에 섰다”고 분석한다.
 

송준길이 후학을 양성했던 서재인 동춘당. 글씨는 동지였던 우암 송시열이 썼다. [사진 송의호]

              송준길이 후학을 양성했던 서재인 동춘당. 글씨는 동지였던 우암 송시열이 썼다. [사진 송의호]

    송준길은 정치적으로는 김상헌과 그의 자손들, 그리고 민유증을 비롯한 여흥 민씨 집안 학자들과 밀접하게 교류해 노론 세력을 형성한다. 이후 17세기가 되면 당쟁으로 발전한다. 당쟁으로 흐른 원인 중 하나가 이른바 예송(禮訟)이다. 예송이란 왕실 의례 적용을 둘러싼 정파적 논란이다. 예제(禮制)는 성리학 이념을 현실에서 실현하는 장치였다. 예제 수립은 그래서 성리학자의 주요한 과제가 되었다. 송준길은 예송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노론 입장에 선다. 그는 허목‧윤휴‧윤선도 등 남인 세력의 비판을 방어하는 이론가 역할을 했다.  
    1659년 효종이 승하하자 송준길은 송시열과 함께 상사를 주관한다. 상복(喪服)과 관련해 송준길은 송시열과 함께 장렬왕후(인조 계비)가 1년짜리 기년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선도 등 남인은 3년복으로 맞섰다. 왕통을 계승한 아들을 위해 모후가 어떤 상복을 입을 것인가의 논쟁이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한 복제 문제가 아니라 효종의 종법적 위상을 장자로 볼 것인가, 차자로 볼 것인가의 문제였다. 즉 효종의 정통성과 직결돼 있었다. 조정은 결국 『경국대전』을 근거로 기년복을 받아들였다. 열려 있는 송준길은 승자가 된다. 그러나 15년 뒤 동춘당이 세상을 떠나자 전세는 역전된다. 노론은 실각한다. 열린 자세의 중요성을 다시 돌아보게 된다.
                                                                                         <참고문헌>
   1. 송의호, " 서인이지만 정적 남인의 딸과 혼인한 송준길", 중앙일보, 2020.9.3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50개(1/110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게시글이 잘 안 올라갈때 환단스토리 5263 2025.09.15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48588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716977 2018.07.12
1647 [역사공부방] 새 박사 윤무부 교수님 별세 신상구 399 2025.09.05
1646 [역사공부방] 이유립 선생 제자 양종현 선생 별세 신상구 419 2025.09.01
1645 [역사공부방] 이백하 선생을 세상에 처음 알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신상구를 만나다 사진 신상구 500 2025.09.01
1644 [역사공부방] 서재필 박사에 대한 비판적 평가 신상구 498 2025.08.25
1643 [역사공부방] 제주해녀항일운동 사진 신상구 549 2025.08.23
1642 [역사공부방] 친일파의 거두 윤덕영 신상구 632 2025.08.20
1641 [역사공부방] 이재명 대통령, 80주년 광복절 경축사 전문 사진 신상구 633 2025.08.15
1640 [역사공부방] 한국 광복군 선언문 신상구 585 2025.08.15
1639 [역사공부방] 최교진 교육부장관 후보…진보성향 3선 세종시교육감 신상구 642 2025.08.14
1638 [역사공부방] 태안출신 애국지사 문양목, 고향땅으로 유해 봉환 신상구 661 2025.08.13
1637 [역사공부방] 한국 광복군 신상구 757 2025.08.11
1636 [역사공부방] 재불화가 이성자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790 2025.08.09
1635 [역사공부방] 한국 광복군 선언문 신상구 586 2025.08.09
1634 [역사공부방] '우리겨레 박물관' 우리 역사에 심취한 사학자 복기대 교수 사진 신상구 641 2025.08.09
1633 [역사공부방] 보문산 청심등대세계평화탑 전격 철거의 문제점과 대책 신상구 671 202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