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자를 국내 최초로 완역한 동양학자인 묵점 기세춘 선생 타계

신상구 | 2022.05.14 03:24 | 조회 7645


                         묵자를 국내 최초로 완역한 동양학자인 묵점 기세춘 선생 타계
     

  동양 철학자인 묵점 기세춘 선생이 6일 오후 별세했다. 고인은 제자백가 중 한명인 묵자(墨子)를 국내 처음으로 완역한 한학자이며 기모란 대통령비서실 방역기획관의 부친이기도하다.

  고인은 노환으로 지난해 요양원에서 치료를 받아 오다가 세상을 떠난 것으로 전해진다.

   고인은 1937년 전북 정읍에서 조선 중기 성리학자 기대승(1527∼1572)의 15대손으로 태어났다. 전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교사와 공무원을 거쳐 시인 신동엽이 편집주간으로 있던 ‘교육평론’에서 취재부장을 지냈다.

  1963년 동학혁명연구회를 발족시켜 초대 회장을 맡았는데 당시 이 연구회 학술위원장을 맡았던 신영복(1941∼2016) 전 성공회대 교수와 함께 통일혁명당 사건에 연루됐다.

  이 사건으로 고인은 직장을 얻기 어려워져 공장에서 기계 설계를 하며 동양학 저술을 써갔다. 1992년 묵자를 완역한 책 ‘묵자-천하에 남이란 없다’ 상하권(나루)을 펴냈다.

  고인과 문익환(1918∼1994) 목사가 이 책에 대해 주고받은 서신은 1994년 ‘예수와 묵자(일월서각)'라는 책으로 소개됐다. 묵자학당을 만들어 강의했고 여기서 배운 이들이 2009년 묵자학회(현재는 묵자연구회)를 창립했다.

  1994년 신영복 전 교수와 ‘중국역대시가선집’ 4권(돌베개), 2002년 ‘신세대를 위한 동양사상 새로 읽기’ 시리즈로 유가·묵가·도가·주역을 출간했다. 2007년 중국과 조선의 성리학을 정리한 ‘성리학 개론’과 ‘장자’ 완역서를 펴냈고 이후 ‘노자강의(2008)', ‘논어강의(2010)' 등을 출간했다.

                                                     <참고문헌>

   1.  이수진, "‘동양 철학자’ 묵점 기세춘 선생 별세", 이투데이, 2022.5.7일자.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22개(1/108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15959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682486 2018.07.12
1620 [역사공부방] 청주고등학교 개교 100주년 다양한 기념 사업 new 대선 12 2025.07.14
1619 [역사공부방]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YTN 대선 45 2025.07.13
1618 [역사공부방] 울산 반구천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 사진 대선 43 2025.07.13
1617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5부. 용서 두 집안 구영탄 136 2025.07.10
1616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4부.지옥 구영탄 128 2025.07.10
1615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3부. 에덴 동산 구영탄 134 2025.07.09
1614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2부. 아라랏산 구영탄 137 2025.07.09
1613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1부. 사대지서 구영탄 134 2025.07.08
1612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0부. 서전서문 구영탄 136 2025.07.08
1611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9부.을지문덕 구영탄 133 2025.07.08
1610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8부.십계명 구영탄 128 2025.07.08
1609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7부. 광개토 대왕 구영탄 170 2025.07.06
1608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6부.일본 구영탄 159 2025.07.06
1607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5부. 프랑코 부족 구영탄 183 2025.07.06
1606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4부. 주무왕 구영탄 181 2025.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