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공부방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신상구 | 2024.07.04 10:40 | 조회 5976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돌아왔다.


 
 
  

딸 박정인 씨 27점 대전문학관에 기증
'작고문인 자료전' 서 전시

▲ 병풍, 벽조목 목침, 벼루와 문진, 낙관류 등 대전문학관이 기증받은 故박희선 시인의 유품. 대전문학관 제공

  충청 문단의 대표적 문인 고 야석(也石) 박희선(朴喜宣)시인의 유품이 대전시민 곁으로 돌아왔다. 대전문학관은 차기 기획전시를 앞두고 작고문인 자료를 본격적으로 수집하고 있는 가운데 박희선 시인의 유품 27점을 기증받았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기증받은 유품은 시인이 생전에 가까이 두고 사용하던 머리 병풍, 벽조목 목침, 벼루와 문진, 낙관류, 상패(제1회 구원의 문학상), 시집, 목탁 및 염주 등 총 19종 27점으로 박헌오 문학관장이 논산시 양촌에서 마지막까지 시인을 모시던 딸 박정인 씨를 만나 전달받은 것이다.

  야석(也石) 박희선 시인은 1923년 충남 논산시 강경 출신으로 1943년 전주사범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의 고마자와대학 불교학과에서 수학하였다. 대학 재학 중에 일본 학도병으로 끌려가 중국에서 복무하던 중 일본군을 탈출하고 독립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서울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하다가 1945년 광복을 맞아 출옥하였다. 

  1946년 정훈, 박용래 등과 시동인지 『동백』을 창간하면서 문단활동을 시작하였다. 『동백』에 「신화」, 「백기」 등을 발표하였고, 대표시로는 「화답」과 「지비(紙碑)」가 있다.

   1952년 이후에는 호서문학회에서 활동하며 대표 저서인 동그라미 연가 등 20여 권의 시집을 집필해 대전 시단에 큰 족적을 남겼고, 에세이 반야심경을 비롯한 다수의 불교서적을 펴냈다.

   1965년 입산하여 불교학에 전념하였으며 이후 1998년 타계할 때까지 충청남도 지역의 대표적 시인이자 불교학자로 활약하였다.

   대표적인 시집으로는 1958년 발간한 『새앙쥐와 우표』, 1968년에 발간한 『화염 속에 숨진 미소』, 1974년에 발간한 『차안』, 1980년에 발간한 『안행』 등이 있다. 또한 『선의 탐구』, 『에세이 반야심경』, 『금강경』 등과 같은 불교 연구 저술도 다수 남겼다.

  1989년 빛과 구원의 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96년에는 호서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갑사 만남의 광장에 시비를 건립하였는데, 대표시인 「지비(紙碑)」가 새겨져 있다.  

                                                                <참고문인>

  1. 호서문학회, 『동그라미 연가』, 기획출판 오름, 2001.                                                                                                             2. 최정우,  " 박희선 불    2. 최정우,  "박희선 불교시인 유품, 고향 대전 품으로", 충청투데이, 2013.2.18일자. 22면.




twitter facebook me2day 요즘
1,650개(1/110페이지)
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공지 게시글이 잘 안 올라갈때 환단스토리 38492 2025.09.15
공지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관리자 567652 2023.10.05
공지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환단스토리 737345 2018.07.12
1647 [역사공부방] 새 박사 윤무부 교수님 별세 신상구 698 2025.09.05
1646 [역사공부방] 이유립 선생 제자 양종현 선생 별세 신상구 684 2025.09.01
1645 [역사공부방] 이백하 선생을 세상에 처음 알린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 신상구를 만나다 사진 신상구 822 2025.09.01
1644 [역사공부방] 서재필 박사에 대한 비판적 평가 신상구 716 2025.08.25
1643 [역사공부방] 제주해녀항일운동 사진 신상구 753 2025.08.23
1642 [역사공부방] 친일파의 거두 윤덕영 신상구 888 2025.08.20
1641 [역사공부방] 이재명 대통령, 80주년 광복절 경축사 전문 사진 신상구 840 2025.08.15
1640 [역사공부방] 한국 광복군 선언문 신상구 784 2025.08.15
1639 [역사공부방] 최교진 교육부장관 후보…진보성향 3선 세종시교육감 신상구 847 2025.08.14
1638 [역사공부방] 태안출신 애국지사 문양목, 고향땅으로 유해 봉환 신상구 882 2025.08.13
1637 [역사공부방] 한국 광복군 신상구 997 2025.08.11
1636 [역사공부방] 재불화가 이성자의 생애와 업적 신상구 1059 2025.08.09
1635 [역사공부방] 한국 광복군 선언문 신상구 773 2025.08.09
1634 [역사공부방] '우리겨레 박물관' 우리 역사에 심취한 사학자 복기대 교수 사진 신상구 897 2025.08.09
1633 [역사공부방] 보문산 청심등대세계평화탑 전격 철거의 문제점과 대책 신상구 958 2025.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