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제헌절 77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 행사
<특별기고>제헌절 77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 행사
충청문화역사연구소장(국학박사, 시인, 문학평론가) 대산 신상구
제헌절(制憲節)은 해방 직후인 1948년 7월 17일 제헌국회 의원들이 우리 조국 대한민국의 헌법을 제정·공포한 날을 기념하기 위해 1949년 만들어진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53호에 의거해 제정된 5대 국경일 중 하나로 올해 77주년을 맞았다.
제헌절은 제정될 당시부터 공휴일이었으나 주 40시간 근무제(토요휴무일) 시행에 따라 2005년 6월 30일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이 개정되면서 식목일과 함께 공휴일에서 제외됐다.
대한민국은 1945년 8월 15일 해방됐고, 미군정(3년)을 거쳤다. 1948년 5월 10일 남한만의 단독 총선거로 국회의원 198명(제주도 2명은 선출 못 함)을 선출하고 5월 31일 제1대 국회가 개원했다. 대한민국 국회는 자유민주국가의 기본법인 헌법을 제정하고 7월 17일 자주독립의 떳떳한 민주국가임을 세계 만방에 공포했다. 그리고 8월 15일 새 헌법에 따라 대한민국 정부가 출범했다.
헌법(憲法)은 국가의 통치 조직과 통치 작용의 기본 원리,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는 근본 규범으로 실정법, 국내법, 공법, 실체법에 해당하며 모든 법의 근본이 되므로 모법(母法)이라고 한다.
독일 바이마르공화국 헌법의 영향을 받은 제헌헌법은 전문(前文)·10장·103조로 구성됐다. 국가체제로 민주공화국을 천명하고 국민주권의 원리, 영토, 국제평화주의를 규정했다. 평등권과 더불어 다양한 자유권을 규정했고 노동3권, 사기업에서 근로자의 이익분배균점권, 생활무능력자 보호 등 사회적 기본권을 규정했다.
정부 형태는 대통령제와 의원내각제 요소가 혼합한 형태를 취했다. 대통령과 부통령을 국회에서 선출하며, 국무총리는 국회 승인을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했다. 국회는 단원제로 했고, 대법원장은 국회 승인을 얻어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했다. 헌법 수호 기관으로 위헌법률심사권을 가진 헌법위원회와 탄핵심판을 담당하는 탄핵재판소를 뒀다.
경제 질서에서는 사회정의 실현을 기본으로 삼고 개인의 경제적 자유는 부차적인 요소로 규정했다.
경성제국대학 3천재 중 한 사람인 현민(玄民) 유진오(兪鎭午, 1906∼1987)법학박사가 기초한 제헌헌법은 이제까지 9차례나 인위적으로 개정되는 과정에서 많이 훼손됐지만, 사회 변화에 따라 새로 요구되는 시대정신이 반영돼 현행 헌법은 제헌헌법보다 현실 적합성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그러나 현행헌법도 시공을 초월하지는 못해 앞으로 시대 변화에 따른 새로운 다양한 시대정신을 반영하도록 일부 개정할 필요성은 있다고 생각한다.
여기서 말하는 시대정신(Zeitgeist)이란 어떤 시대에 사는 사람들의 보편적 정신 자세나 태도를 말한다. 혁신, 정의, 안전, 인권, 상생, 평화통일이 그 예다.
그런데 어떠한 경우에도 최고 권력자인 대통령이 정권을 연장할 목적으로 부당하게 헌법 개정을 하지 못하도록 국민들의 저항권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다행히도 대한민국 국민들은 사회정의에 대한 욕구와 애국심이 강해 4·19혁명, 광주민주화운동, 6·10민주항쟁, 촛불혁명을 통해 저항권을 꾸준히 강화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2025년 7월 17일 제77주년 제헌절을 맞아 '대한민국 국회 민주주의 상징물'을 조성한다고 밝혔다. 이 상징물은 국회 잔디광장 해태상 옆에 설치될 '국회 상징석'으로, '대한민국 국회가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로서 국민과 함께 헌정질서를 지켜나간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상징석에는 "민주주의 최후의 보루, 대한민국 국회"라는 문구가 새겨질 예정이다.
또한, 상징석 아래에는 '국회 타임캡슐'이 매설된다. 이 타임캡슐에는 국회 소속기관이 발간한 대표 입법 및 정책 보고서, 우수 법률안 자료, 독도 관련 간행물 등이 담기며, 100년 후인 2125년 7월 17일 제177주년 제헌절에 개봉될 예정이다.
국회 측 관계자는 이번 상징물 조성이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의 위기 속에서도 국민과 함께 헌법 수호의 자리를 지켜낸 국회의 역사적 사명을 되새기고, 앞으로도 국민과 함께 민주주의를 지켜가겠다는 국회의 다짐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상징석은 2025년 7월 17일 제헌절에 공개될 예정이다.
제헌절 77주년을 계기로 제헌헌법 정신을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학생, 일반 시민, 국가공무원, 정치인, 군인들을 대상으로 학교교육과 사회교육을 통해 현장 중심의 법교육과 정치교육, 민주시민교육을 강화해 준법정신과 사회정의를 확립해야 한다. 더욱이 정치군인들이 쿠데타(military coup)로 정권을 잡아 자유, 평등,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는 민주주의 정치를 후퇴시키는 사태가 또다시 발생하지 않도록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테면 민주 헌정을 유린한 독재정권의 인권 탄압과 폭력에 맞서 저항하다가 부상을 당하거나 구속돼 가혹한 고문을 받다가 풀려나거나 목숨을 잃은 민주열사들에게는 포상과 보상을 하고, 헌정질서를 파괴한 쿠데타와 내란으로 정권을 잡고 폭압적인 독재정치를 해 인권을 유린하고 탄압한 반민주 행위자들은 응분의 대가를 치르도록 법질서를 확립해야 한다.
제77주년 제헌절(制憲節) 경축식은 ‘대한민국헌법’ 제정 제77주년을 기념하고 그 역사와 의미를 되새기기 위해 2025년 7월 17일 오전 10시 국회의사당 중앙홀에서 입법·사법·행정부 주요 인사, 주한 외교사절, 헌정회, 제헌유족회 등 6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의례, 기념사, 경축사, 주제영상, 경축공연 순서로 열렸다.
아울러 우원식 국회의장의 경축사와 함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제헌헌법 전문 영상 상영과 낭독 행사, 헌정회 원로회원 등에 대한 감사패 수여 등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행정안전부는 제77주년 제헌절을 맞아 대한민국 헌법 제정을 경축하고, 태극기의 올바른 게양과 관리를 통해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드높이고자 게양된 국기·게양시설 수시 점검, 국기 게양 시 안전사고 예방 등 ‘나라사랑 태극기 달기 운동’을 추진 중이다.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 날짜 |
---|---|---|---|---|
![]() |
[회원게시판 이용수칙] | 관리자 | 517562 | 2023.10.05 |
![]() |
상생의 새문화를 여는 STB 상생방송을 소개합니다. | 환단스토리 | 684161 | 2018.07.12 |
1623 | [역사공부방] 제헌절을 휴일로 정하는 방안을 검토하라 | 대선 | 86 | 2025.07.17 |
>> | [역사공부방] <특별기고>제헌절 77주년의 역사적 의의와 경축 행사 | 대선 | 79 | 2025.07.17 |
1621 |
[역사공부방] <특별기고>『청주고 100년사』발간을 경축하며
![]() ![]() |
대선 | 88 | 2025.07.17 |
1620 | [역사공부방] 청주고등학교 개교 100주년 다양한 기념 사업 | 대선 | 175 | 2025.07.14 |
1619 | [역사공부방] '한민족의 명산'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YTN | 대선 | 109 | 2025.07.13 |
1618 |
[역사공부방] 울산 반구천 암각화, 유네스코 세계유산 됐다
![]() |
대선 | 115 | 2025.07.13 |
1617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5부. 용서 두 집안 | 구영탄 | 217 | 2025.07.10 |
1616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4부.지옥 | 구영탄 | 200 | 2025.07.10 |
1615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3부. 에덴 동산 | 구영탄 | 203 | 2025.07.09 |
1614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2부. 아라랏산 | 구영탄 | 207 | 2025.07.09 |
1613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1부. 사대지서 | 구영탄 | 199 | 2025.07.08 |
1612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70부. 서전서문 | 구영탄 | 202 | 2025.07.08 |
1611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9부.을지문덕 | 구영탄 | 203 | 2025.07.08 |
1610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8부.십계명 | 구영탄 | 197 | 2025.07.08 |
1609 | [역사공부방] 우리의 역사 67부. 광개토 대왕 | 구영탄 | 238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