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 영성문화 산책
  • 한국의 역사문화
  • 지구촌 보편문화
  • 제5차 산업혁명
  • 연구소 칼럼
  • 태고시대 문명과 여신문화
  • 기타

망치를 든 철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2)

2023.06.19 | 조회 1408 | 공감 0



 상생문화연구소 황경선 연구위원


2️⃣ 쇼펜하우어, 바그너와의 인연


다른 위대한 사상가들에 비교하면 단지 사소한 정도의 철학적 지식만을 갖고 있던 니체는 라이프치히 대학에 입학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어느 날 우연히 한 책방에서 아르투어 쇼펜하우어의 저서인 『의지와 표상으로서의 세계』를 접하게 된다. 이 책의 저자는 인간과 세계에서 본질적인 것은 칸트와 헤겔이 주장하듯 이성이 아니라 오히려 어둠 속에 감춰진 근원적 충동으로 이해되는 의지라고 주장한다.


니체는 이 이론에 사로잡히다시피 한다. 그 후로 쇼펜하우어를 자기에게 “순수하고 성실한 삶과 사유의 자세, 곧 시대에 맞지 않는 삶과 사유의 태도를 가르쳐 줬던” 스승으로 여긴다.


또 한 저녁 모임에서 평소 그의 음악에 강하게 이끌리던 리하르트 바그너와 사귀게 된다. 첫 대면에서 벌써 그의 인품에 반하다시피 한 니체는 이 음악가가 “음악의 본질을 이해했던” 유일한 철학자로 쇼펜하우어를 꼽고 있다는 사실을 “흔쾌하게” 수용한다.


일상적인 고전어 연구는 더 이상 그에게 자극을 주지 못한다. 게다가 한 친척에게서 약간의 재산을 상속받은 터라 아예 자연과학 공부를 새롭게 시작해볼까 하는 생각을 한다. 또한 친구인 에르빈 로데(Erwin Rohde)와 함께 파리로 여행을 떠날 궁리를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중 어느 것도 이뤄지지 않는다. 언어학을 “조상들의 가재家財 도구”로 내팽개치는 사이, 스승인 프리드리히 빌헬름 리츨의 추천을 받은 바젤 대학이 그에게 교수 초빙을 제의하기 때문이다. 바젤 대학은 그에게 희랍어, 희랍문학 교수직을 맡긴다.


니체가 고전 세계에 대해 두각을 나타낼 만큼 해박하며, 또한 이같은 박식함이 ‘라인박물관’이란 잡지에 실린 다수의 기고문들을 통해 입증됐음에도, 그의 교수 임용은 사람들의 이목을 끈다. 이제 겨우 24세인데다 아직 박사란 호칭도 갖고 있지 않았으며, 학위과정도 채 끝맺지 못한 상태였던 것이다. 그렇지만 스승인 리츨은 니체에 대한 자기의 소견을 이렇게 밝힌다.

“… 나는 여태껏 이렇게 어린 나이에 이토록 빨리 이만큼 원숙했던 젊은이를 본 적이 없습니다.”


━━━━⊱⋆⊰━━━━


1869년 모습


니체는 1869년에서 1879년까지 10년 동안, 주민이 3만 명이 조금 못되는 바젤에 머문다. 군사용 참호 옆에 위치한, 단층으로 된 공동주택에 거처를 마련하고 “끊임없이 사람을 새로 사귀는 일이란 끔찍스러울 정도로 지겨운 짓”이라고 투덜대면서도, 비교적 우아한 사교 모임의 초대에는 기꺼이 응한다. 신학자인 프란츠 오버베크(Franz Overbeck)와 저명한 예술사학자인 야곱 부르크하르트(Jacob Burckhardt)를 이때 친구로 사귀게 된다.


특히 바그너와의 교분이 더욱 두터워진다. 1849년의 혁명에 가담한 사실 때문에 독일을 도망쳐 나와야 했던 바그너는 1886년 이후부터, 아직 결혼식을 올리지 않은 아내 코지마 폰 뷜로와 함께 스위스의 피어발트슈테터 호수 근처의 트륍센이란 곳에서 살고 있다. 바그너를 처음 만나러 길을 나서는 니체는 온통 불안한 마음뿐이다. 바그너로부터 초대를 받아서 가는 게 아니기 때문에 자신이 과연 환대를 받을 수 있을지 걱정한다.


그는 한 농장에 있는 바그너의 집 앞에서 한참을 주저하며 서 있다가 안에서 흘러나오는, “고통스럽게 되풀이 되는 화음”을 듣는다. 작곡가는 ‘지그프리드’의 3막을 작곡하고 있는 중이었다. 하지만 니체는 그를 방해하기로 마음먹는다. 그리고는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따뜻한 환영을 받는다. 그가 기술한 바에 따르면, 이 순간 그는 자기가 “신적인 것에 가까이 다가 서” 있다고 느낀다.


━━━━⊱⋆⊰━━━━


독불전쟁이 발발하자(1870년) 그는 간호병으로 전방에 자원입대한다. 이곳에서 이질과 디프테리아에 걸린다. 바젤로 다시 돌아온 그는 언어학 교수직을 철학 교수직으로 바꿔 보려는 헛된 시도를 한다.


1872년 뜻을 이루지 못한 철학 교수직에 대해 마치 앙갚음이라도 하려는 양, 그는 첫 철학 작품인 『음악의 정신에서의 비극의 탄생(Die Geburt der Tragödie aus dem Geiste der Musik)』(이하 『비극의 탄생』)을 세상에 내놓는다.


리하르트 바그너에 대한 경의의 표시이기도 한 이 작품에는 그 후 그의 전 저작들을 꿰뚫게 될 사상이 이미 나타나 있다. 니체는 세계를 지배하는 원리는 “비극적인 것”이란 데서 출발한다. 피안의 세상에는 기독교가 주장하듯, 구원, 해피엔딩이 있는 게 아니라 소멸, 죽음, 무가 있기 때문이다. 개별적 생명이란 생성했다가 파괴하며 흘러가는 “생명 전체”의 한 물결에 지나지 않는다.


그의 “비극적 생명감”은 이같은 비극적 근본 사건에 상응한다. 니체는 ‘비극적 생명감’이란 말을 단지, 예컨대 한 친구의 죽음에서 느끼게 되는 자각적인 고통의 뜻으로만 이해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그는 우리의 생명감은 원칙적으로 무상함에 대한 통찰에 의해 억눌려져 있다고 믿는다. 우리가 늘 허무를 대면하고 있지는 않지만, 비극적 경험이 우리의 행위 일체를 규정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비극적인 것을 가장 날카롭게 드러내 보이는 렌즈는 비극이다. 니체는 이제 그 근거로 (초기) 고대  비극이 음악, 합창곡에서 발전돼 나왔으며 비극은 열광, 도취와  조화, 질서란 두 삶의 형태를 구체화하고 있다는 점을 든다. 니체는 전자의 혼돈한 삶의 형태는 (술의) 신 디오니소스에게, 후자의 절도 있고 정형화된 삶의 형태는 빛과 예술의 신인 아폴로에게 귀속시킨다.


니체는 특히 디오니소스적인 춤과 도취에 매료된다. 이러한 기분 속에서는 인간은 더 이상 자기를 개별적이며, 개인적인 운명과 죽음으로부터 위협받는 존재라고 느끼지 않으며 오히려 자기 안에서 일종의 우주적인 희열을 경험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철학자에겐 명정酩酊의 디오니소스 제의祭儀는 무상하기 때문에 그 자체 비극적인 현존에 대한 무의식적인 강한 긍정이자 감각적인 것, 충동에 대한 거센 만족인 근원적인 생명의지의 표현이다.


━━━━⊱⋆⊰━━━━


희랍 비극의 죽음(그리고 이와 동시에 강렬한 생명감의 종말)은 약 기원전 450년 인간을 “계몽시키는” 한 사람이 아테네에 나타나는 순간 시작된다. 그 사람은 소크라테스였다.


어쩌면 가장 유명한 철학자일 사람에 대해서 니체는 거의 혐오에 가까운 불쾌한 감정을 갖는다. 소크라테스를 “본능적 지혜”가 없는 사람이라고 판단한 때문이다. 그가 논리학과 이성 그리고 추상적 이론의 시대를 열었으며 그때까지 주로 본능으로 살고 생활하던 사람들을 조롱거리로 만들었다는 것이다. 니체는 또한 자기의 논지에 합당하게, 존재하고 일어난 모든 것을 무리하게 사유과정으로 바꾸려는 그릇된 생각이 소크라테스에 의해 이 세계에 끼어들게 됐다고 주장한다.


이 결과로 “전제적인 논리학자[소크라테스]”의 사상이 옮겨 붙은 사람들, 특히 예술가들, 비극 작가들이 세계를 인과관계란 안경을 쓰고 파악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로인해 그들의 우주적 생명감-근원적 쾌락, 본능, 직관 등-은 위축된다. 이는 니체에겐 재앙적인 손실로서 무엇보다도 소크라테스의 영향을 받은 비극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신비적이며 제의적인 요소들이 지성적인 문제들과 영혼의 분석을 위해 비극에서 사라지게 됐기 때문이다.


━━━━⊱⋆⊰━━━━


우리의 사상가는 오성悟性, 또한 학문의 족쇄로부터의 해방을 리하르트 바그너의 음악에서 기대한다. 초기 희랍 비극과 잇닿아 있는 그의 음악을 통해서 현존에 대한 인간의 근원적 쾌락이 다시 새롭게 소생되고, 세계가 디오니소스의 숭배자들이 그렇게 여겼던 것처럼 유일무이한 거대한 “놀이”로 파악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그너는 자연 『비극의 탄생』에 대하여 “나는 이제껏 당신의 책보다 더 훌륭한 책을 읽은 적이 없습니다.”라고 극찬하였다. 하지만 아직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이 흔들리지 않고 있는 학계의 반응은 얼음과 같은 침묵이거나 아니면 독설어린 혹평이었다. 예를 들어 스승인 리츨 교수는 “재치 있는 주정”, “심각한 착란”이란 평을 달며 그 책을 손에서 놓는다. 또한 고대 언어학의 주도적 인물인 울리히 폰 빌라모비츠-묄렌도르프(Ulrich von Wilamowitz-Moellendorf)와 니체의 친구인 에르빈 로데, 바그너간에 책을 둘러 싼 격렬한 논쟁이 전개되기도 한다.


여기다 언어학 연구의 최근 수준에 올라 서 있지 않다는 비난마저 더해져 28세의 교수는 일단은 학자로서의 명성을 잃는다. 니체는 극심한 괴로움 속에서, 자신의 언어학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이 1872/73년 겨울 학기 강의에는 참석하지 않은 사실을 기록한다.


1872년은 그가 건강에 대해 어느 정도 자신을 느끼던 마지막 해이다. 그해 말 바그너와 니체 두 천재 사이에 최초로 사적인 불화가 발생한다. 처음엔 바그너가 실망을 느낀다. 친구가 크리스마스 축제의 초대에 응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4개월 후 이번에는 니체가 마음의 상처를 입는다. 바이로이트의 바그너의 집을 방문해 그의 가족들을 상대로 소크라테스 이전의 철학자들에 대해 설명을 하는데, 오페라 작곡가가 이에 대해 단지 의례적인 관심만을 보일 뿐이다.


또 니체는 바그너의 경쟁자인 요하네스 브람스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은연중 내비치고, 작곡가는 이를 악의적으로 받아들인다. 이렇게 해서 두 사람의 관계는 1876년에 이르러 철학자가 작곡가와 완전히 결별하게 될 때까지, 점차 멀어진다. 1876년은 바이로이트 축제가 열리던 해이다.


니체는 물론 초대를 받아 축제에 참석하지만, 친구는 그를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대신에 바그너는 부유하지만 정신적으론 저급한 명사들에 둘러 싸여 마치 스타처럼 한껏 추켜세워지고 있었다. 화가 나고, 거기다 바이로이트를 지배하고 있던 사교적인 시끌벅적함에 역겨움마저 느낀 철학자는 그길로 바이에른 숲으로 도망쳐 나와 버린다.


두 사람이 마지막으로 만난 것은 니체가 겨울 휴가를 보내고 있던 소렌토에서였다. 함께 산책을 하면서 작곡가는 니체에게 자신이 최근 전력을 기울여 작업하고 있는 “성극聖劇”, “파르시팔(Parsifal)”에 관해 자세히 들려준다. 이 성배聖杯 수호 기사騎士 소재는 기독교적 모티브들로 가득 차 있다. 세례 받는 장면이 나오고 성찬식이 등장하기도 한다. 또한 성聖금요일 그리고 특히 니체를 경악시킨 “동정(Mitleiden)”이 극에서 일정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가 일찍이 예감했던 것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리하르트 바그너는 … 돌연, 어찌할 바를 모르고 굴복하면서 십자가 앞에 쓰러졌다.” 그는 아무 말 없이 작곡가를 그 자리에 세워둔 채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두 사람은 그 후로 다시 만나지 않았다.


다음 글 읽기👉 - 프리드리히 니체(3)


twitter facebook kakaotalk kakaostory 네이버 밴드 구글+
공유(greatcorea)
도움말
사이트를 드러내지 않고, 컨텐츠만 SNS에 붙여넣을수 있습니다.
199개(2/20페이지)